$\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Muscle Strengthening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for Preventing Falls Among the Elderly in Korea: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3, 2011년, pp.38 - 48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인수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which fall-prevention program offered in community settings in Korea is the most effective in strengthening muscles. Muscle weakness is one of the major risk factors causing falls among the elderl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clinical controlled trials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상 예방프로그램의 효과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출판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구미옥 등(2005)과 박승민(2010)이 노인을 위한 낙상예방 운동중재 효과에 대해 분석했지만 국내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이유로 국외에서 실시된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하였고, 김원옥 (1998)은 노인들에서 발생하는 낙상 빈도와 위험요인,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고찰연구를 발표하였지만 종설연구였으며, 정복자(2008)의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연구대상, 운동유형, 운동의 구성요소, 측정항목 등의 4가지 변인에 대해서 단순히 빈도와 백분율을 제시하여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여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예방프로그램이 낙상관련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만 미국 노인협회(2001)에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낙상 위험요인과 상대적 위험도를 제시한 문헌에 근거하여, 근력약화, 낙상경험, 보행장애, 균형장애, 보조기구 사용, 시력장애, 관절염, 일상생활동작 장애, 우울증, 인지기능장애, 80세 이상의 순서로 나타나, 낙상발생에는 근력약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 낙상은 예방이 가능하므로 낙상으로 인한 의료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예방프로그램을 시도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Sattin, 1992).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다양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함으로써 한국 실정에서 가장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하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하는데 적합한 대상 논문을 수집후 개별연구들에서 측정된 효과크기가 동일한 모집단에서 추출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동질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동질성이 확보된 경우에는 연구내 변동량(within-study variation)을 고려한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를 추정하기 위해서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였다(Borenstein 등, 2009).
  • 효과크기의 계산을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검사(pre-post test) 결과를 사용해서 ‘표준화된 평균차 변화(standardized mean change difference)’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Becker, 1988; Morris와 DeShon, 2002; Netz 등, 2005; Roberts 등, 2006). 실험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낙상예방 프로그램 실시하기 전과 후의 차이에 대한 표준화된 평균차이를 계산하여 낙상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군 및 대조군의 사전-사후 효과크기 계산은 일반적인 효과크기(d)를 계산하는 방법과는 차이가 있으며, 사전-사후 효과크기는 처치집단인 실험군 및 대조군 각각의 사전평균(Xtrt, Ytrt)과 사후평균(Xcrt, Ytrt)의 차이를 사전평균의 표준편차로 나눠주었다.
  • 이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낙상예방 프로그램 중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종합해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낙상예방 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0년 기준 전 세계에서 낙상으로 인한 사망하는 인구는 몇 명인가? 특히 노인군에서 넘어지게 되면 골절, 뇌손상 등 신체기능을 저하시키거나 낙상 후 불안 등 심리기능을 저하시켜 낙상 경험이 없는 노인군에 비해 조기에 노인요양시설로 입소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으로 이환되거나 사망할 가능성도 높다(Brown, 1999; Rubenstein와 Josephson, 2002; Tinetti 등, 1988). 낙상으로 인한 사망은 전 세계에서는 매해 283,000명(2000년 기준)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40% 이상이 70세 이상의 노인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eden 등, 2002). 인구 10만명을 기준으로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60∼69세에서는 9.
낙상이 발생하는 위험 요인은 어떻게 나뉘는가? 낙상이 발생하는 위험 요인은 크게 외재적 요인(조명의 조도, 실내외 바닥의 높낮이나 경사, 욕실 바닥 등의 주위 환경과 관련된 요인)과 내재적 요인(근력약화, 보행 장애 등의 신체적 요인, 약물 복용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Hill-Westmoreland 등, 2002). 특히, 하지 및 상지근력 약화, 균형 및 보행 장애, 시력감소, 감각약화 등 노화로 인하여 이동능력이나 활동성 부족으로 낙상이 발생하거나 재발 된다고 알려져왔다(Moreland 등, 2004; O'Loughlin 등, 1993; Tinetti 등, 1988).
어떤 위험요인을 줄이면 다른 질환과 달리 예방 할 수 있는 질환으로 인식되는가? 낙상이 발생하는 위험 요인은 크게 외재적 요인(조명의 조도, 실내외 바닥의 높낮이나 경사, 욕실 바닥 등의 주위 환경과 관련된 요인)과 내재적 요인(근력약화, 보행 장애 등의 신체적 요인, 약물 복용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Hill-Westmoreland 등, 2002). 특히, 하지 및 상지근력 약화, 균형 및 보행 장애, 시력감소, 감각약화 등 노화로 인하여 이동능력이나 활동성 부족으로 낙상이 발생하거나 재발 된다고 알려져왔다(Moreland 등, 2004; O'Loughlin 등, 1993; Tinetti 등, 1988). 이러한 위험요인을 줄인다면 노인인구에서 흔히 발생하는 심혈관계나 호흡기계 질환과는 달리 예방할 수 있는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Chou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구미옥, 전미양, 김희자 등. 노인 낙상예방 운동중재 문헌분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005;35(6):1101-1112. 

  2. 구미옥, 전미양, 은영. 노인 낙상예방 맞춤운동의 개발 및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6;36(2):341-352. 

  3. 김민정. 발목 근력강화 운동이 노인의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4. 김선희.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운동프로그램 적응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5. 김원옥. 노인의 낙상에 관한 고찰. 재활간호학회지. 1998;1(1):43-50. 

  6. 류명인, 소희영.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체력, 낙상관련지각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4):620-628. 

  7. 박승민. 외국의 노인 낙상 예방 프로그램 메타 분석: 70대와 80대 고령자 집단의 비교. 한국노년학: 2010;30(1):49-63. 

  8. 방현석. 단계적 저항운동과 걷기 및 운동중지가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체력과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9. 배영실. 낙상예방운동이 시설여성노인의 하지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1. 

  10. 변영희. 시니어로빅 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적기능과 낙상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11. 성순창, 이만균. 탄력저항성 운동과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등속성 근기능, 균형 능력 및 균형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07;18:21-33. 

  12. 송라윤, 엄애용, 이은옥 등. 골관절염 여성에게 적용한 타이치 운동과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관절염증상 및 낙상공포감에 대한 효과비교. 근관절건강학회지. 2009;16(1):46-54. 

  13. 심재훈.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운동치료의 효과: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9;16(3):50-59. 

  14.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9. 

  15. 유인영. HSEP를 적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신체균형과 보행, 하지근력, 낙상공포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학. 2009;29(1):259-273. 

  16. 윤성진. 노인 낙상예방을 위한 근력운동. 스포츠과학. 2006;88-95. 

  17. 이혜영, 이금재. 슬골관절염 노인환자의 타이치운동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2008;38(1):11-18. 

  18. 이혜정, 이만균, 홍광석. 9주간의 댄스스포츠 트레이닝이 여성 노인의 낙상관련 변인에 미치는 여향. 체육과학연구. 2009;20(4):778-790. 

  19. 이충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07. 

  20. 전미양. 낙상 예방 프로그램이 양로원 여성 노인의 보행,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21. 정복자. 노인의 낙상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2008;12(1):1-9. 

  22. 조경숙, 강현숙, 김종임 등.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타이치, 타이치-자조관리 및 자조관리과정의 효과 비교. 근관절건강학회지. 2007;14(1):77-85. 

  23. 조재혁, Isokinetic 운동이 노인 여성의 낙상관련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24. 최명애, 전미양, 최정안. 걷기 훈련이 재택 노인의 낙상방지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0;30(5):1318-1332. 

  25. 최상웅. 저항성 운동 및 평형성 운동이 낙상경험 여성 노인의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6. 최승욱, 이소은. 노인 여성을 위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008;17(2):669-678. 

  27. 최정현, 문정순, 송경애. 태극운동이 낙상 위험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기능 및 낙상발생에 미치는 효과. 류마티스건강학회지. 2003;10(1):62-76. 

  28. 통계청. 2007년 사망 및 사망원인통계결과. 통계청. 2008. 

  29. American Geriatrics Society, British Geriatrics Society, an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Panel on Falls Prevention: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 Am Geriatr Soc. 2011;49(5):664-672. 

  30. Backer BJ.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change measures. Br J Math Stat Psychol. 1988;41:257-278. 

  31.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et al.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UK, John Wiley & Sons, Ltd., 2009. 

  32. Brown AP, Reducing falls in elderly people: A review of exercise interventions. Physiother Theory and Pract. 1999;15:59-68. 

  33. Campbell AJ, Spears GF, Borrie MJ. Examination by logistic regression modelling of the variables which increase the relative risk of elderly women falling compared to elderly men. J Clin Epidemiol. 1990;43(12):1415-1420. 

  34. Carter ND, Kannus P, Khan KM. Exercise in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rationale and the evidence. Sports Med. 2001;31(6):427-438. 

  35. Chang JT, Morton SC, Rubenstein LZ, et al.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BMJ. 2004;328(7441):680. 

  36. Chou WC, Tinetti ME, King MB, et al. Perceptions of physicians on the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integrating fall risk evaluation and management into practice. J Gen Intern Med. 2006;21(2):117-122. 

  3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s. Hillsdale, NJ, Routledge Academic. 1988. 

  38. Fuller GF. Falls in the elderly. Am Fam Physician. 2000;61(7):2159-2168. 

  39. Harrington L, Luquire R, Vish N, et al. Meta-analysis of fall-risk tools in hospitalized adults. J Nurs Adm. 2010;40(11):483-488. 

  40. Hedge LV, Olkin I.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85. 

  41. Hill-Westmoreland EE, Soeken K, Spellbring AM. A meta-analysis of fall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How effective are they? Nurs Res. 2002;51(1):1-8. 

  42. King MB, Tinetti ME,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rsons. J Am Geriatr Soc. 1995;43(10):1146-1154. 

  43. Logghe IH, Verhagen AP, Rademaker AC, et al. The effects of Tai Chi on fall prevention, fear of falling and balance in older people: A meta-analysis. Prev Med. 2010;51(3-4):222-227. 

  44. Moreland JD, Richardson JA, Goldsmith CH, et al. Muscle weakness and fal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2004;52(7):1121-1129. 

  45. Morris SB, DeShon RP.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 Methods. 2002;7(1):105-125. 

  46. Netz Y, Wu MJ, Becker BJ, et al.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 Aging. 2005;20(2):272-284. 

  47. O'Loughlin JL, Robitaille Y, Boivin JF, et al.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falls and injurious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m J Epidemiol. 1993;137(3):342-354. 

  48. Panel on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nd British Geriatrics Society. Summary of the updated American Geriatrics Society/British Geriatrics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 J Am Geriatr Soc. 2011;59(1):148-157. 

  49. Peden M, McGee K, Sharma G. The Injury Chart Book: A graphical overview of the global burden of injurie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50. Roberts BW, Walton KE, Viechtbauer W. Patterns of mean-level change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the life course: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 Bull. 2006;132(1):1-25. 

  51. Rubenstein LZ. Falls in older people: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Age Ageing. 2006;35(Supple 2):ii37-ii41. 

  52. Rubenstein LZ, Josephson KR. The epidemiology of falls and syncope. Clin Geriatr Med. 2002;18(2):141-158. 

  53. Sattin RV. Falls among older persons: A public health perspective. Annu Rev Public Health. 1992;13:489-508. 

  54. Sherrington C, Whitney JC, Lord SR, et al. Effective exercise for the prevention of fal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2008;56(12):2234-2243. 

  55. Song KY, Moon JS, Song H, et al. Fall prevention exercise program for fall risk factor reduction of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Korea. Yonsei Med J. 2003;44(5):883-891. 

  56. Tinetti ME, Speechley M, Ginter S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elderly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N Engl J Med 1988;319(26):1701-17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