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쉬분석을 이용한 세 가지 요통 장애 설문지의 비교
A Comparison of Three Low Back Disability Questionnaires With Rasch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3, 2011년, pp.94 - 102  

김경모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충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xisting assessment tools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and improve them through combination. A total of 314 patients with low back pain participated. Their condition was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ODQ), the Quebec Back Pain Dis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요통 환자의 평가도구로 널리 쓰이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와 퀘벡 요통 장애 척도, 그리고 요통 기능 척도 등 세 가지의 평가도구에 대해 라쉬분석을 통해 단일 구성 개념 검정과 평정 척도, 항목 난이도, 그리고 분리신뢰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연구 배경을 통해 개발된 세 가지의 평가도구를 통합한 후 재분석 하여 새로운 평가도구 제작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는 평가시간이 5분 이내로 사용하기 쉽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아 국내외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추천되고 있는 평가도구이며(Bombardier, 2000; Rocchi 등, 2005), 퀘벡 요통 장애 척도 역시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장애 정도 변화에 대해 환자 개별적으로 관찰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다(Kopec 등, 1995; Rocchi 등, 2005).
  • 본 연구는 요통 환자의 평가도구로 널리 쓰이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와 퀘벡 요통 장애 척도, 그리고 요통 기능 척도 등 세 가지의 평가도구에 대해 라쉬분석을 통해 단일 구성 개념 검정과 평정 척도, 항목 난이도, 그리고 분리신뢰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한 연구 배경을 통해 개발된 세 가지의 평가도구를 통합한 후 재분석 하여 새로운 평가도구 제작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을 평가하는데 있어 무엇이 중요한가? 최근 요통 환자들의 기능 측정을 위해 관절가동범위나 근력 등의 평가보다 자기기입식 신체기능 평가도구 등과 같은 주관적인 평가도구를 사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Holm 등, 2003). 요통의 평가 및 검사에 대해 검토한 연구(Dagenais 등, 2010)에 의하면 요통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척추의 병리적 손상, 신경학적 손상 여부와 더불어 환자의 병력,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를 통한 증상의 심각성, 기능적 제한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요통의 진단과 평가에는 어떠한 장비를 사용하는가? 일반적으로 요통의 진단과 평가에는 X-ray와 MRI 등의 방사선 진단 장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구조적 이상이나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비특이성 요통의 경우에는 원인규명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Boos 등, 1995). 이는 요통 등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의 경우에는 해부학적 문제와 다른 원인으로 통증이나 기능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방사선 노출의 위험 외에도 실제 요통 발생 원인과 관련 없는 해부학적 진단으로 인해 환자의 증상과 맞지 않는 치료가 제공되어 요통이 악화될 위험이 있다(Chou 등, 2009; Modic 등, 2005).
요통 환자들을 위한 표준화된 검사 도구인 자기기입식 설문지는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환자의 기능 정도는 실제 수행하는 양상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것이 정확할 수 있지만 임상현장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므로, 활동 제한과 관련된 항목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환자에게 작성하게 하는 방법으로 평가하고 있다(Davidson과 Keating, 2002). 표준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는 신체적 활동 제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통합하는데 편리할 뿐만 아니라(Beattie와 Maher, 1997; Delitto, 1994), 치료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신체활동의 변화를 검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Haywood, 2006; Kopec 등, 1995). 또한,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도구는 같은 내용의 평가항목을 환자 및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일관되게 평가 할 수 있어 신뢰성도 높다고 하였다(Waddel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경모, 박소연, 이충휘. 요통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한구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18(2):35-42. 

  2. 박소연. 노인에 낙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기 위한 ABC-BBS의 적용: 사전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2):44-53. 

  3. 박소연, 오재섭, 이충휘. 수정된 오스웨스트리 허리기능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산업장에서의 업무관련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3):26-34. 

  4.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3판. 서울, 학지사, 2010. 

  5. 이충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07. 

  6. 전창훈, 김동재, 김동준 등. 한국어판 Oswestry Disability Index(장애지수)의 문화적 개작.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005;12(2):146-152. 

  7. 지은림, 채선희. 라쉬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2000. 

  8. Beattie P, Maher C. The role of functional status questionnaires for low back pain. Aust J Physiother. 1997;43(1):29-38. 

  9. Bombardier C. Outcome assessments in the evaluation of treatment of spinal disorders: Summary and general recommendations. Spine (Phila Pa 1976). 2000;25(24):3100-3103. 

  10. Boos N, Rieder R, Schade V, et al. 1995. Volvo award in clinical science. The diagnostic accurac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work perception and psychosocial factors in identifying symptomatic disk herniations. Spine (Phila Pa 1976). 1995;20(24):2613-2625. 

  11. Chou R, Fu R, Carrino JA, et al. Imaging strategies for low-back pa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2009;373(9662):463-472. 

  12. Dagenais S, Tricco AC, Haldeman S. Synthesis of recommend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from rec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Spine J. 2010;10(6):514-529. 

  13. Dallmeijer AJ, Dekker J, Roorda LD, et al.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n higher performing neurological patients. J Rehabil Med. 2005;37(6):346-352. 

  14. Davidson M, Rasch analysis of three versions of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Man Ther. 2008;13(3):222-231. 

  15. Davidson M, Keating JL. A comparison of five low back disability questionnaires: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Phys Ther. 2002;82(1):8-24. 

  16. Delitto A. Are measures of function and disability important in low back care? Phys Ther. 1994;74(5):452-462. 

  17. Fairbank JC, Couper J, Davies JB. et al.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66(8):271-273. 

  18. Grotle M, Brox JL, Vollestad NK, Functional status and disability questionnaire: What do they assess? A systematic review of back-specific outcome questionnaires. Spine (Phila Pa 1976). 2005;30(1):130-140. 

  19. Haywood KL. Patient reported outcome I: Measuring what matters in musculoskeletal care. Musculoskeletal Care. 2006;4(4):187-203. 

  20. Holm I, Friis A, Storheim K, et al. Measuring self-reported functional status and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y postal questionnaires. Spine (Phila Pa 1976). 2003;28(8):828-833. 

  21. Kopec JA, Esdaile JM, Abrahamowicz M, et al. The Quebec Back Pain Disability Scale: Measurement properties. Spine (Phila Pa 1976). 1995;20(3):341-352. 

  22. Lewis JS, Hewitt JS, Billington L, et al. A randomized control trial comparing two physiotherapy intervention for chronic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5;30(7):711-721. 

  23. Modic MT, Obuchowski NA, Ross JS, et al. Acute low back pain and radiculopathy: MR imaging findings and their prognostic role and effect on outcome. Radiology. 2005;237(2):597-604. 

  24. Rocchi MB, Sisti D, Benedetti P, et al. Critical comparison of nine different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the evaluation of disability caused by low back pain. Eura Medicophys. 2005;41(4):275-281. 

  25. Roland M, Morris R. A study of the natural history of back pain, Part I: Development of a reliable and sensitive measure of disability in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1983;8(2):141-144. 

  26. Stratford PW, Binkley JM, Riddle DL.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Back Pain Functional Scale. Spine (Phila Pa 1976). 2000;25(16):2095-2102. 

  27. Waddell G. The Back Pain Revolution.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1998. 

  28. Waddell G, Main CJ. Assessment of severity in low-back disorders. Spine (Phila Pa 1976). 1984;9(2):204-2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