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의류 설계를 위한 50~60대 여성의 캐주얼 재킷 선호도
Casual Jacket Design Preference of Women Aged 50s-60s for Functional Clothing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2, 2011년, pp.156 - 166  

백경자 (부산대학교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이정란 (부산대학교 생활환경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ual jacket design preferences of women aged 50s and 60s and suggested a prototype design for functional clothing. All age groups liked the casual jacket with a length between the waist and hip, a convertible collar, and a single-breasted design. Those in their 50s pr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캐주얼 재킷 선호도를 조사하고 실제 시판되는 재킷과의 비교를 통하여 실제 그들의 감성에 부합하는 재킷 디자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의 다양한 의복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의류의 설계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50~60대 여성 34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감성에 부합하는 캐주얼 재킷 디자인 선호도와 실버를 소비지층으로 포함하고 있는 브랜드의 시판 재킷 디자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50~60대 여성에게 필요한 기능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합할 수 있는 기능성 재킷의 실험복 프로토타입뿐 아니라 그들의 감성에 적합한 다양한 재킷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실버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 에 본 연구에서는 21세 기를 맞아 과거 와 다른 패션 감성을 가지고 영향력 있는 뉴실버층 소비자 집단으로 부상되고 있는 지금의 50대를 영실버, 60대를 실버로 명명하고 그들의 개성과 기호에 부합하는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봄으로써 실버패션 시장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실버 패션에서 디자인뿐만 아니라 신체적 변화와 저하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는 기능성에 관련된 고려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50~60대 여성에게 필요한 기능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합할 수 있는 기능성 재킷의 실험복 프로토타입뿐 아니라 그들의 감성에 적합한 다양한 재킷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실버 패션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상 본 연구의 캐주얼 재킷 디자인 선호도 분석 결과 및 현재 시판되고 있는 디자인을 참고로 하여 50~60대여성을 위한 캐주얼 재킷의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각 제품의 스타일, 실루엣, 길이, 칼라, 소매부리, 여밈의 6개 항목으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 세미피티드 실루엣에, 옷길이는 허리에서 엉덩이 사이 길이, 컨버터블칼라, 싱글 단추 여밈의 디자인을 가장 선호하였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재킷 디자인을 제시하였다(그림 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의 다양한 의복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성 의류의 설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성과 기호에 부합하는 캐주얼 재킷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보고 현재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의 시판 재킷 디자인 조사를 통하여 기능성 재킷의 프로토타입 (Prototype)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성과 기호에 부합하는 캐주얼 재킷 디자인 선호도를 알아보고 현재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브랜드의 시판 재킷 디자인 조사를 통하여 기능성 재킷의 프로토타입 (Prototype)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50~60대 여성에게 필요한 기능의 웨어러블 디바이 —(Wearable device)를 통합하기 위한 재킷을 설계하되 그들의 감성에 적합한 캐주얼 재킷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더불어 다양한 재킷 디자인 라이브러리를 제시함으로써 실버의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은미, 박은주. (2009). 주관적 연령이 의류 점포의 서비스 품질 지각, 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실버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3), 355-365. 

  2. 김경화, 최혜선. (1996). 노년기 여성 체형의 자세 및 실루엣. 대한가정학회지, 34(2), 183-199. 

  3. 김수경. (2006). 신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유덕, 김미영. (2004). 중, 노년층 여성의 의복 추구이미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746-757. 

  5. 김인화, 권수애. (2007). 중년 여성의 기성복 재킷 구입 실태 및 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31(3), 398-409. 

  6. 김점해, 이영주. (2010). 노인 여성의 패션 아이템별 구매 실태 및 선호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3), 279-290. 

  7. 김정실, 이선재. (2008a). 뉴실버 여성 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 연구 (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32(10), 1535-1547. 

  8. 김정실, 이선재. (2008b). 뉴실버 여성 소비자의 지각연령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 쇼핑성향 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32(11), 1726-1738. 

  9. 남윤자, 유희숙. (1996). 노인계층의 의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I)-노년 여성의 연령 및 체형별 신체만족도와 기성복 사이즈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20(6), 962-974. 

  10. 문명옥, 임희경. (2000). 중년 여성 상반신의 유형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4(3), 301-312. 

  11. 박재경, 이정임, 남윤자, 주소영. (2002). 노년 여성의 신체만족도에 관한 연구-연령 및 비만도에 따른 신체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8), 1186-1195. 

  12. 백경자, 수잔 애쉬다운. (2009). 노년층을 위한 스마트 재킷의 개발 및 평가-미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11(2), 315-3258. 

  13. 백재은. (2005). 노년 여성의 패션에 관한 태도와 기성복 재킷의 선호 디자인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3(6), 990-998. 

  14. 서미아, 이선희. (1995). 노년기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 및 의복 만족도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3(1), 41-64. 

  15. 심정희, 박수진. (2007). 중년 여성의 체형에 따른 의복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31(1), 33-43. 

  16. 심정희, 연명흠. (2007).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패션 제품의 이미지 선호도 (제1보). 디자인학연구, 20(1), 143-154. 

  17. 심정희, 함옥상. (2001). 중년 여성의 체형분류 및 연령별 특징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4), 795-806. 

  18. 심정희. (2003). 중년 여성의 체형에 대한 자기평가. 한국의류학회지, 27(1), 18-28. 

  19. 여혜린, 권영숙. (2005). 노년기 의생활 실태조사. 한국의류학회지, 29(1), 177-188. 

  20. 영실버와 실버들의 의식주와 가치관. (2007, 8). 광고정보, pp.76-79. 

  21. 유경숙. (2000). 노인의 성에 따른 의복 디자인 선호 및 구매에 관한 연구. 복식, 50(7), 155-163. 

  22. 일본 실버산업 현황과 비즈니스 기회. (2010). KOTRA. 자료 검색일 2010, 6. 30, 자료출처 http://www.kotra.or.kr 

  23. 임재린. (2005). 노년 여성을 위한 기능성 의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임재린. (2007). 노년기 여성의 Suit Design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813-824. 

  25. 임춘식. (2010, 3). 실버산업의 유형과 장기적 전망. 서울경제, pp. 37-47. 

  26. 장안화. (2005). 실버패션 디자인 연구-노년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를 중심으로: 델파이법의 적용-.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6), 577-584. 

  27. 장안화. (2006). 실버세대 여성의 의복 디자인 선호도-60대 이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5), 496-504. 

  28. 전경란, 이미숙. (2008).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의복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을 대상으로-. 복식문화연구, 16(3), 444-460. 

  29. 정삼호. (2009). 시니어세대의 연령에 따른 실내복 디자인 선호도 및 구매 행동 연구-50대 이상 중·노년 여성을 중심으로-. 복식, 59(4), 143-154. 

  30. 정삼호, 김수아. (2006). 실버의류 기성복 업체의 실태조사 연구. 복식, 56(4), 15-32. 

  31. 정혜락, 함옥상. (2000). 중년 여성을 위한 기본 원형 설계. 한국의류학회지, 24(1), 105-115. 

  32. 조필교, 추태귀, 구양숙. (1993). 노년층 여성들의 의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3(2), 135-147. 

  33. 조하정. (2007). 실버세대를 위한 센서 기반 헬스 케어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모형.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