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뉴 실버 의류제품 요구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er-required Attributes of Apparel Product for New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5 no.1, 2013년, pp.123 - 138  

김차현 (경희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  박재옥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studied the apparel product attributes that women in the new elderly generation require in formal wears and in casual w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esign guideline when considering the changing and diverse buying patterns of the new elderly female consumers as op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뉴 실버여성들의 의류제품 요구속성이 의복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류제품의 세분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소비자 중심의 품질이 좋은 디자인을 설계하기위하여,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 실버여성들이 요구하는 의류제품 속성에 대하여 정성인 연구방법으로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뉴 실버여성의 심리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의류제품의 요구속성이 의복용도별(포멀웨어와 캐주얼웨어)로 차이가 있는지 세분화시켜 파악해보고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속성을 디자인 요소별로 알아봄으로써 뉴 실버여성 측면에서 고려되어져야할 의류제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해볼 때, 의복의 품질 속성은 의복을 구성하는 여려가지 특성으로 제품구매 시 고려하는 소비자들의 평가기준이 되며, 상품의 종류 및 용도와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 실버세대들의 의류제품에 대한 품질속성을 알아보고 의복의 용도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 복잡하고 다양한 의류제품의 세분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소비자 중심의 품질이 좋은 디자인을 설계하기위하여, 새로운 소비자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뉴 실버여성들이 요구하는 의류제품 속성에 대하여 정성인 연구방법으로 심도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뉴 실버여성의 심리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의류제품의 요구속성이 의복용도별(포멀웨어와 캐주얼웨어)로 차이가 있는지 세분화시켜 파악해보고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속성을 디자인 요소별로 알아봄으로써 뉴 실버여성 측면에서 고려되어져야할 의류제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뉴 실버여성을 위한 세분화된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한 지침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량조사를 위한 타당성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 또한 뉴 실버여성의 심리저변에 자리 잡고 있는 의류제품의 요구속성이 의복용도별(포멀웨어와 캐주얼웨어)로 차이가 있는지 세분화시켜 파악해보고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속성을 디자인 요소별로 알아봄으로써 뉴 실버여성 측면에서 고려되어져야할 의류제품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뉴 실버여성을 위한 세분화된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 위한 지침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량조사를 위한 타당성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뉴 실버여성들의 다양한 여가생활 및 사회활동에 따른 다양한 복종의 의류제품 개발의 필요성에 발맞추어 그들이 의류제품에 요구하는 속성과 의복용도별 요구속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뉴 실버여성 소비자들은 기존의 실버세대에 대별되는 세분화된 소비계층으로 그들의 의류제품 요구속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자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았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뉴 실버여성들이 요구하는 의복용도별(포멀웨어와 캐주얼웨어) 요구속성을 심층 면접 대상자의 특성 적으로 알아보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셋째, 뉴 실버여성들이 의류제품 구매 시 고려하는 디자인 요소별 구체적 요구속성을 알아본다.
  • 이상에서 살펴본 결과, 사회 환경이 변화하면서 노인들의 생물학적, 사회심리학적, 경제적인 특징에 있어서 기존 실버와 뉴 실버세대에 차이가 있으므로 뉴 실버 여성측면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의류제품 디자인적 특징이 있을 것이라 보고 뉴 실버여성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의류제품 속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Brody(1977)는 60~64세를 연소노인(young-old), 65~74세를 중고령노인(middle-old), 75세 이상을 고령노인(old-old)으로 구분하였으며, 최성재와 장인협(2006)은 60~69세를 연소노인, 70~75세를 중고령 노인, 75~ 84세를 고령노인, 85세 이상을 초고령 노인으로 구분하고 우리나라 국민연금법의 노령연금 수급연령 기준이 60세이므로 60세 이상을 노인으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뉴 실버의 기준은 경제적인 자립 및 여유, 건강에 관련한 취미활동, 실제 연령에 비한 젊은 마인드의 여부로 하고 조사에 앞서 피조사자에게 직접 질문하여 3개의 기준에 모두 만족되어 타당하다고 사료될 때 조사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12년 8월 10일에서 10월 3일까지 서울과 수도권(성남, 용인, 일산) 및 대구, 부산의 대도시에 거주하는 1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인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 그러나 그간의 노인층 대상의 요구속성 선행연구(김수경, 2006; 김점해, 2011; 김정실, 2006; 노영, 2006; 홍경희, 이윤정, 2010 등)는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정량적으로 알아본 것이며 정성적으로 알아본 선행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이 요구하는 속성을 정성적 조사방법의 하나인 1:1 심층면접법으로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면접은 피조사자의 편의에 따라 조용한 장소에서 평균 40분정도 이루어졌다.
  • 첫째, 뉴 실버여성들이 의류제품 구매 시 고려하는 요구속성을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층의 사회적 노화와 심리적 노화란 무엇인가? 사회적 노화는 노년기로의 전환과 함께 나타나는 노인 개인수준의 사회적 상황 변화를 의미하며, 심리적 노화는 감각, 인지, 정서 및 정신, 성격 등의 심리내적 측면과 심리외적 측면의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퇴행, 유지 및 성숙을 동시에 내포하는 심리적 조절과정을 의미한다(권중돈, 2005). 노년층들의 역할의 변화와 신체적 어려움은 사회적 관계와 활동을 축소시키고, 은퇴, 배우자의 사망 등으로 인한 지위 저하와 역할 상실은 자아 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의 질을 저하시키며, 노인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 및 부정적 시각은 노년층을 더 민감하고 위축되게 한다(김숙응, 이의훈, 2007).
생물학적 노화란? 생물학적 노화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 구조 및 신체내부의 세포, 조직, 장기 등 유기체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쇠퇴적인 현상으로, 시력이 감퇴되고, 색과 촉각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고, 근육의 위축으로 신장이 줄어들고 등이 굽으며, 피하지방이 감소되어 체중이 줄고 주름이 많아지며, 멜라닌 세포의 불규칙한 감소로 피부 톤이 일정치 않으며 머리도 은빛으로 변하게 된다. 또, 근육의 감소와 수축력 약화로 운동 능력이 저하되며, 신경세포 감소에 따라 체온유지 능력이 감퇴된다(권중돈, 2005).
뉴 실버 세대란? 현대사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노인들의 의식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와 노인세대를 하나의 소비계층으로 보기보다는 세분화시키고 있다.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신체건강이 강화되면서 기존의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노인들과 비교하여 자아 중심적이고 적극적인 가치관을 가지는신 노년층을 ‘뉴 실버’세대라 일컫는데, 소일거리로 여생을 보내지 않고 경제적인 여유와 함께 활발한 사회적·경제적 활동을 하며 실제 연령보다 훨씬 젊은 마인드를 가진 자아실현이 가능한 노인을 말한다(김차현, 박재옥, 2012). 노화는 인간의 삶의 과정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타나는 퇴행적인 변화로서 뉴 실버세대에게도 예외 없이 생물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