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실버웨어 제작을 위한 설문조사 연구
Actual Clothing Conditions for the Elderl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ADL Level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1, 2013년, pp.147 - 155  

방하연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  김희은 (경북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mand to complement the elderly body shape with comfortable clothing has greatly increased with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their improved social-economic level. However, apparel industries have not provided significant production and sale strategies that reflect and consider elderly b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의복의 구성 요소 중 여밈구는 의복 착탈의 시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로, 적절하게 개선한다면 의복 전체의 편리성 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추, 지퍼, 벨크로, 훅, 스냅 등의 여밈구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단추와 지퍼의 불편사항과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품질·취급주의 표시 라벨’ 문항을 통해 품질·취급주의 표시 라벨의 활용도와 불편사항에 대해 조사하였다.
  • 따라서 품질·취급주의 표시 라벨의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품질·취급주의 표시 라벨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노화에 따른 신체변화가 건강한 실버세대에게도 수반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ADL 평가 항목과 같은 일상생활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실버세대가 착용 의복에 대해 느끼는 불편사항과 요구사항 등의 특성에 대해 설문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활동성과 편의성을 높인 실버웨어의 제작 및 실버의류산업 활성화의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실버세대의 ADL수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의복 사용 시의 불편사항 및 요구사항과 의복 구매 및 관리에 대한 실버세대의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의 방법을 채택하였다. 설문의 대상은 만 65세 이상의 여성 62명, 남성 38명 총 100명이었으며, 설문 방법은 일대일 면접설문방법으로, 2011년 11월에 대구지역 노인복지회관을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의 ADL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실버웨어 제작을 위한 의복 착용 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인의 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된 K-ADL을 통해 일상생활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검증된 건강한 만 65세 이상 실버세대 1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설문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설문조사 방법은 실버세대가 느끼고 있는 의복에 대한 불편사항과 요구사항을 보다 현실적이고 다양하게 수렴 할 수 있어 정성적인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응답에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실버세대의 인구의 전망은? 과학기술, 의료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수준 향상과 함께 생명연장으로 이어져 사회를 빠른 속도로 고령화 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2010)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실버세대의 인구가 2000년도에 이미 전체 인구의 7%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이면 전체 인구의 14%를 넘는 고령사회로, 2026년경에는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ADL이란? 일상생활 활동에서 활동의 제약이나 장애 정도를 파악할 수있는 것으로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옷입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이동, 화장실사용, 대소변조절 등과 같은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서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Won et al., 2002).
건강한 실버세대의 가령에 따른 체형 변화 중 둘레 항목은 어떠한가? 의류브랜드의 사이즈체계에서 간과되고 있는 건강한 실버세대의 가령에 따른 체형 변화를 보면 나이가 들수록 등이 둥글게 굽고, 다리는 ‘O’ 자형으로 변하며, 무릎이 굽어 전체적으로 높이 항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가슴이 처지고, 허리와 배 부위가 비만해져서 가슴, 허리, 배, 엉덩이 간의 둘레 차이가 줄어든 밋밋한 체형으로 변화하게 되며, 목이 앞으로 숙여지고 굵어져서 전체적으로 둘레 항목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적 변화가 반영되지 않은 의복을 구입하여 착용한다면 일상생활 활동에 제약을 받거나, 불쾌감을 겪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inconvenient truths and tasks of senior market'. (2009, August 12). LG Business Insight. Retrieved June 23, 2011, from http://www.lgeri.com 

  2. Chung, S. H. (2005). The development about fashion trend reflection in a domestic and foreign silver br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5(2), 1-17. 

  3. Chung, S. H., & Kim, S. A. (2006).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ilver apparel bran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6(4), 15-32. 

  4. Civitci, S. (2004). An ergonomics garment design for elderly Turkish men. Applied Ergonomics, 35, 243-251. 

  5. Hoffman, M. A. (1979). Clothing for the handicapped, the aged, and other people with special needs. Iowa City: Thomas-Books. 

  6. Kim, G. Y., & Lee, J. R. (2010). Perception of women aged 50's and 60's for high functional silver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92-1402. 

  7. Kim, H. Y. (1998). Clothing condition of elderly men focusing on somatotype variation and satisfaction with ready-to-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2), 193-202. 

  8. Kim, S. B. (1991). Studies on family caregiving, clothing and nutrition of disabled elderly (Part I) - A study on the motor ability traits of the hemiplegic aged and their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9), 1-18. 

  9. Kim, S. B., Hahm, O. S., & Seo, S. L. (1993). A study on the fastening performance and finger function of the cerebral palsied.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2(2), 45-62. 

  10. Lim, H. J., Kim, K. H., & Kim, J. H. (2008).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L of elderly people living in facilit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0, 125-146. 

  11. Lim, H. J., & Lee, K. H. (201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and configuration of item in foreign adaptive-clothing for the disabled sen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3(1), 17-24. 

  12. Magermans, D. J., Chadwick, E. K. J., Veeger, H. E. J., & van der Helm, F. C. T. (2005). Requirements for upper extremity motions du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Clinical Biomechanics, 20, 591-599. 

  13. Okada, N. (2005). Changes in the physical abilities of the elderly and the effect these have on their clothing requirements. Journal of Japan Society of Home Economics, 56(6), 363-368. 

  14. Rhie, S. G., Choi, M. Y., & Won, H. R. (2006). The health and dietary management of impaired elderly by ADL in Gyeonggi,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7(3), 159-174. 

  15. Row, Y., & Park, J. O. (2011). Study of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fit of middle and elderly wome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1), 214-229. 

  16. Ryou, E. J., Park, H. W., & Bae, H. S. (2006). The clothing wearing conditions of dementia in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4), 123-131. 

  17. Siu, Y., & Fan, J. (1999). Clothing preferences of elderly women in comparison with young females in Hong Kong.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90(1), 38-47. 

  18. 'Sizing systems for elderly women's garments'. (2004, December 22). Korea Standards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July 4, 2012, from http://standard.ats.go.kr/code02/user/0B/03/SerKS_View.asp?ks_noKSK0055 

  19. 'Sizing systems for male adult's garments'. (2009, December 18). Korea Standards Information Center. Retrieved July 4, 2012, from http://standard.ats.go.kr/code02/user/0B/03/SerKS_View.asp?ks_noKSK0050 

  20. Sperling, L., & Kalsson, M. (1989). Clothing fastners for long-termcare patients. Applied Ergonomics, 20(2), 97-104. 

  21. 'Statistics of the baby boomersaaa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2010, May 10). Statistics Korea. Retrieved June 24, 2011, from http://www.kostat.go.kr 

  22.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Cho, K. H., Shin, H. C., Cho, B. R., Oh, J. R., Yoon, D. K., Lee, H. S., & Lee, Y. S.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6(2), 107-120. 

  23. Yeo, H. R., & Kwon, Y. S. (2005).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s clothing lif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177-1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