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버여성의 신체불편 및 의복불편 실태조사
Research on Body Discomfort and Clothing Inconvenience of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7 no.4, 2015년, pp.41 - 54  

김수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강여선 (덕성여자대학교 의상디자인학과) ,  정명숙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status of physical discomfort and clothing life including clothing inconvenience for enhancing self-reliance of elderly women, newly emerging consumer.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346 elderly women who aged 60 or older in Seoul and Seoul Suburbs. Survey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는 뉴 실버세대 여성의 의생활의 불편을 감소시키면서 사고를 예방하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후생활의 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실버전용 의복 패턴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버여성의 일상생활에서의 신체활동 불편요소를 파악하고, 기성복 만족도와 구입기준, 의복의 방해로 인한 의복 불편요소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상생활에서의 편의성과 활동성을 높인 실버전용 의류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실버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실버여성이 대체적으로 겪는 신체변화 및 위험요소로부터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평상복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평상복 개발의 기초자료로 60세 이상 실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신체불편사항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 김혜경(1999)은 실버세대의 많은 수가 노인장애를 겪게 되어 노화가 진행될수록 보행, 착탈의, 식사, 배뇨 등의 일상동작이 어려워지며,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힘이 약해지고 치매 등과 같은 정신질환을 앓게 되는 경우는 타인의 간호에 의지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실버세대에 대한 연구는 건강하고 아직 일할 수 있는 노인층과 타인의 도움에 의존해야 하는 노인층으로 나누어 연구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60대 이상 노인인구를 중심으로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김광석, 2015) 현 시점에서 특정 장애가 없는 실버세대의 의생활의 자립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버여성을 활동에 자립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 장거리 활동이 가능한 경우와 단거리 활동만이 가능한 경우로 구분하여 활동의 개인차에 따른 의복불편사항을 파악하여 의생활의 불편과 불안요소를 차단하는 실버여성복의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는 뉴실버세대 여성의 의생활에서의 불편을 감소시키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실버전용 의복 패턴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60세 이상 실버여성 346명을 대상으로 개별인터뷰 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대상자의 신체 및 활동특성, 신체 불편사항, 기성복 만족도 및 기성복 구입기준, 의복의 방해로 인한 의복불편 현황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실버전용 패턴설계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현 실버 여성들의 신체불편 및 의복불편 현황을 설문을 통해 평상복 착용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는 생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평상복 개발의 기초자료로 60세 이상 실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신체불편사항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 이유는? 홍나영과 지윤영(2000)은 노인전문 요양시설의 간병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거동 불편 노인에게 적합한 기능성 의복을 제안하였으며, 이진숙 외(2014)는 여성노인을 위한 충격보호용 팬츠 개발을 위한 낙상상황 및 후유증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실버여성의 특수한 환경에 도움을 주는 의복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실버여성이 대체적으로 겪는 신체변화 및 위험요소로부터 일상생활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평상복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평상복 개발의 기초자료로 60세 이상 실버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신체불편사항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평균수명 연장, 출산율 감소의 원인은? 본문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평균수명 연장, 출산율 감소에 따라 고령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제연합(UN)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인구고령화 속도가 가장 빨라 2018년이면 14.
국제연합(UN)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언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가? 본문의학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평균수명 연장, 출산율 감소에 따라 고령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제연합(UN)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인구고령화 속도가 가장 빨라 2018년이면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한다고 하였으며, 2026년에는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 비율이 20.8%가 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경기뉴스,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고령사회 극복을 위한 대응전략. 경기뉴스. 자료검색일 2014. 12. 5, 자료출처 http://www.kgnews.co.kr 

  2. 고영준. (2011). 사용자 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방법과 사례, 경기: 이담북스. 

  3. 김광석. (2015. 9. 14). 독거노인의 절대빈곤, 한국 경제의 그늘. 주간동아. 자료검색일 2015. 9. 24, 자료출처 http://weekly.donga.com 

  4. 김수아, 최혜선. (2003). 지수치를 이용한 노년 여성의 하반신 체형 유형화에 관한 연구. 복식, 53(6), 117-130. 

  5. 김수아, 최혜선. (2004). 지수치를 이용한 노년 여성의 상반신 체형 분류와 판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7), 983-994. 

  6. 김수아, 최혜선.(2006).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의복 패턴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2), 1690-1696. 

  7. 김수영, 이의훈, 정승진, 장수지, 신주영. (2011). 실버산업의 이해. 서울: 학지사. 

  8. 김인순. (2000). 노년 여성의 체형특징 및 유형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점해, 이영주. (2006). 노인 여성의 기성복 착용감과 의복행동. 한국생활과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13-114. 

  10. 김차현, 박재옥. (2013). 뉴 실버 의류제품 요구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1), 123-138. 

  11. 김혜경. (1999). 신체장애와 특수의복. 서울: 교문사. 

  12. 문선정. (2008). 장애여성을 위한 유니버설 패션 디자인 개발. 복식, 58(9), 142-150. 

  13. 박혜원, 이현영. (2007).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여가복 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비즈니스학지, 11(4), 42-51. 

  14. 방하연, 김희은. (2013). 일상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실버웨어 제작을 위한 서룬조사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5(1), 147-155. 

  15. 新라이프스타일이 등장한다, 어반맘, 사토리 세대, 노마드워커, 뉴실버. 자료검색일 2015. 4. 20, 자료출처 http://gvalley.etnews.com 

  16. 송영수, 배남규, 조영채. (2015). 우리나라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ADL, IADL)과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2002-2011. 

  17. 여혜린, 권영숙. (2005). 노년기 의생활 실태 조사. 한국의류학회지, 29(1), 177-188. 

  18. 이난희, 김금화. (2007). 고령자(노인)의 체형특성과 의생활 실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6-39. 

  19. 이경화. (1995). 노년여성의 흉부형태분석 및 브래지어 치수규격 설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영주. (2012). 한국과 미국의 70세 이상 노인여성의 의복행동과 선호도 비교.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4(3), 51-65. 

  21. 이용재. (2003). 노년기 여성의 체형에 관한 연구- 65-75세 연령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인수. (2006). 21세기 노인복지론(개정2판). 서울: 대왕사. 

  23. 이진숙, 박정현, 이정란. (2014). 여성노인의 낙상실태 및 충격보호팬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6(6), 945-953. 

  24. 전길양, 임선영. (2008). 노인케어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구상. 

  25. 정삼호. (1988). 성인여성의 의복디자인 선호도와 의복태도에 관한 연구-신체적 조건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생활문화사업연구소 가정문화논총, 제2집, 61-83. 

  26. 한남기, 박은희. (2009). 난연성 소재를 활용한 노인 여성 일상복 디자인 개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18-119. 

  27. 홍나영, 지윤영. (2000). 거동 불편 노인에 대한 기능성 의복 연구(2): 서울, 경인 지역 노인 전문 요양 시설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8(6), 899-914. 

  28. 65세 이상 3명 중 1명은 落傷… 하루 30분씩 '한발 서기' 운동을. 조선닷컴. 자료검색일 2015. 4. 4., 자료출처 http://news.chosun.com 

  29. Stein RK, Gortmaker SL, Perrin EC, Perrin MJ, Pless IB, Walker DK Wertzman.(1987). Severity of illness: concept andmeasurements. Research Consortium On Chronic Illness In Childhood, 330(8574), 1506-15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