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기반의 설계단계 원가예측 시계열모델 -자재가격을 중심으로-
BIM Based Time-series Cost Model for Building Projects: Focusing on Construction Material Pric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 no.2, 2011년, pp.111 - 120  

황성주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김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심지 고밀화에 따른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요구됨에 따라 대규모의 고층 사무공간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주거, 상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밀접하게 연관시킨 고층 복합시설도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대형 건설, 프로젝트는 긴 공사기간이 소요되어 공사비 예측이 쉽지 않으며, 막대한 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비용 예측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극심한 경제변화에 따른 건설자재가격의 변동은 자재비를 포함한 공사비 예측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자재단가 시계열자료를 활용, 미래의 자재단가 예측을 위한 시계열모델을 구축하고 복잡한 모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자재별 최적 예측모델 도출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의 접근을 통해 자재의 투입시기 및 투입물량을 분석, 시계열모델을 통해 예측한 자재단가 예측 값과 조합함으로써 총 자재비를 포함하는 BIM기반 공사원가 예측 시계열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시계열모델의 하나인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ARIMA)모델에 대한 예측력 비교를 통해 자재단가 예측을 위한 적합모델을 도출하였다. BIM기반의 원가예측 시계열모델은 자재의 투입시기별 자재단가 변동치를 예측함으로써 급변하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ise buildings have recently increased over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office facilities, thus an understanding of construction cost for high-rise building projects has been a fundamental issue due to enormous construction cost as well as unpredictable market conditions and fluctuation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철근 자재를 비롯한 기타 다양한 자재에 대해 위와 같은 과정을 수차례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총 자재비 예측과정의 효율을 저해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자재별 시계열자료 입력 시 각 자재에 맞는 최적 ARIMA모델을 출력하는 최적 예측모델 도출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림 5는 자재 별 최적 ARIMA모델 도출시스템의 Framework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단계에서 자재가격변동에 따른 건설비용 예측을 위해 자재단가변동 시계열자료를 분석, 자재 투입시기 별 구매단가 예측을 위한 대형 건설 프로젝트 공사원가예측 시계열모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자재별 적합 시계열모델 도출과정의 간소화 및 표준화를 위한 적합도 판정기준 제시 및 적합모델 도출시스템을 포함한다.
  • 한편, 기존 원가관리 및 예측모델은 2D 도면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건설 프로젝트의 자재비 예측을 위한 자재 투입시기, 투입 물량정보 생성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자재비 중심 공사원가예측 시계열모델은 공사관리 원천정보를 활용한 통합형 공정관리를 위해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하 BIM) 기반으로 구축된다. BIM을 통해 건축물 구성요소(객체)를 바탕으로 투입자재의 종류, 투입시기, 투입물량에 대한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투입시기별 자재단가 예측치를 반영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단계 원가예측 시계열모델을 개발한다.
  • 본 연구는 시계열모델을 통한 건설 프로젝트의 주요 영향요소 분석방법에 착안하여 건설자재가격 변동 예측 시계열모델을 구축한다. 한편, 기존의 시계열예측모델을 활용한 연구들은 총 공사비지수 등 포괄적인 공사정보 예측이 대부분이었다.
  • 본 연구는 위에 제시한 자재단가변동 예측 시계열모델을 바탕으로 BIM 기반 자재비 예측모델 Framework를 제시한다. BIM 기반 원가예측 시계열모델은 크게 (1) BIM 기반 객체별 속성정보 추출 및 물량산출모듈 (2) 시계열모델을 이용한 자재단가 예측모듈 (3) 객체별 물량정보, 자재의 Activity정보 및 자재입고일 정보, 자재단가 예측치정보 등을 활용한 자재비 중심의 원가예측모듈로 구성된다.
  • 본 연구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자재가격변동에 따른 공사비용 예측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계열모델을 통한 자재가격변동 예측 중심의 설계단계 공사원가 예측모델 Framework를 제시하였다. 본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자재별 적합 시계열모델 도출과정의 간소화 및 표준화를 위한 적합도 판정기준 제시 및 최적 예측모델 도출시스템을 포함한다.
  • 본 연구모델은 건설자재 중 가장 큰 변동 폭을 보이는 철근단가에 대한 시계열자료를 바탕으로 최적 시계열예측 프로세스를 통해 자재에 적합한 ARIMA모델을 도출하고, 사후예측 함으로써 철근단가의 향후 12개월 변동 치에 대한 예측력을 비교ᆞ평가하였다. 예측 값은 BIM 기반 원가예측모델에 반영되어 총 공사비변동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또한, 자재단가 예측값을 도출하더라도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재의 투입 시기 및 투입물량 등의 공사정보와 연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각 시계열모델의 표준화 된 적합도 판정절차를 제시하고, 복잡하고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자재별 적합모델 도출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BIM 기반의 공사원가 예측모델 프레임워크를 제안함으로써 자재단가 예측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공사정보와의 연계방안을 도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ox-Jenkins의 ARIMA모델은 어떻게 미래에 대한 예측 값을 결정하는가?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단변량 시계열 방법 중 Box-Jenkins의 ARIMA모델은 확률 및 수리통계 원리에 근거하여 과거 관측 값들의 추세 및 순환요인, 계절성 등을 파악하여 미래에 대한 예측 값을 결정한다(정동빈 2009). ARIMA 모델의 분석 및 예측 프로세스는 그림 1과 같다.
BIM은 무엇인가? BIM은 객체 기반 파라매트릭(Parametric) 모델링 방법으로 벽과 창문 등 건물 구성요소들의 분류를 정의함으로써 건축 모델을 생성, 전달, 분석하는 과정들의 집합이다(Eastman et al. 2007).
Box-Jenkins의 ARIMA모델은 무엇을 갖는 자료에 적용되는 모델인가? ARIMA모델은 자료 계열의 평균이 정상성(Stationary)을 갖는 자료에 적용되는 모델로서 (1) 식별 - (2) 추정 - (3) 검진의 절차를 통해 시계열 자료 예측에 활용된다. 먼저, (1) 식별단계에서는 시계열자료의 정상성을 판단하고 ARIMA(p,d,q)를 구성하는 자기회귀(Autoregresssive: AR) 요소 p와 이동평균(Moving Average: MA) 요소 q를 임시 결정한다(정동빈 2009, 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대한건설협회 (2008). "완성공사원가통계 개황", 대한건설협회 보고서, pp1-16, (2010.12.21). 

  2. 정동빈 (2009). SPSS-PASW 시계열 수요예측 1, 한나래아카데미. pp.11-186. 

  3. 조담 (2006). 금융계량분석, 도서출판 청람. pp.193-253. 

  4. 한국물가정보(KPI). "주요 건설자재 물가정보 서비스" (2010.12.21). 

  5. Ashuri, B. and Lu, J. (2010). "Forecasting ENR Construction Cost Index: A Time Series Analysis Approach", Construction Research Congress 2010, ASCE, pp.1345-1355. 

  6.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and Liston, K. (2008).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Manag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John Whiley & Sons Inc., USA, pp.25-64. 

  7. Issa, R. A. (2000).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Predicting Construction Material Prices", Proceedings of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in Civil and Building Engineering, ASCE, pp.1129-1132. 

  8. Jrade, A. and Alkass, S. (2007). "Computer-Integrated for Estimating the Costs of Building Project", The Journal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13(4), pp.205-223. 

  9. Lu, T. and Abourizk, S. M.. (2009). "Automated Box-Jenkins Forecasting Model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18(5), pp.547-558. 

  10. Ng, S. T., Cheung, S. O., Skitmore, M., and Wong, T. C. (2004). "An Integrated Regression Analysis and Time Series Model for Construction Tender Price Index Forecasting",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2(5), pp.483-493. 

  11. Shaheen, A. A., Fayek, A. R., and Abourizk, S. M. (2007). "Fuzzy Numbers in Cost Range Estimating", Th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3(4), pp.325-334. 

  12. Shane, J. S., Molenaar, K. R., Anderson, S., and Schexnayder, C. (2009). "Construction Project Cost Escalation Factors", Journal of Management in Engineering, 25(4), pp.221-229. 

  13. Stoy, C., Pollalis, S., and Schalcher, H. (2008). "Drivers for Cost Estimating in Early Design: Case Study of Residential Construction", Th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4(1), pp.32-39. 

  14. Trost, S. and Oberlender, G. (2003). "Predicting Accuracy of Early Cost Estimates Using Factor Analysi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Th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9(2), pp.198-2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