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겨릅나무 목질부에서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 Wood of Acer tegmentosum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1, 2011년, pp.104 - 112  

권동주 (강원대학교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김진규 (한림대학교 천연의학연구소) ,  배영수 (강원대학교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 산겨릅나무의 식물화학적인 연구는 수피부에 국한되어 있으며, 목질부의 성분연구는 전혀 보고된 것이 없다.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 목질부로부터 2개의 flavan 3-ol, 3개의 phenolic acid/alcohol 및 2개의 coumarin 화합물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및 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catechin (1), (-)-epicatechin (2), $p$-hydroxybenzaldehyde (3), syringic alcohol (4), $p$-tyrosol (5), scopoletin (6) 및 cleomiscosin A (7)으로 동정하였으며, 그 중 $p$-hydroxybenzaldehyde (3), syringic alcohol (4), scopoletin (6) 및 cleomiscosin A (7)는 산겨릅나무에서는 처음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catechin (1)과 (-)-epicatechin (2)은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A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th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stem bark of $Acer$ $tegmentosum$, and no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for stem wood of $A.$ $tegmentosum$. Two flavan 3-ols (1 and 2), three phenolic a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간에서 간질환, 항암, 숙취해소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겨릅나무의 수피와 목질부 중 식물화학적인 연구가 수행된 적이 없는 목질부를 대상으로 칼럼크로마토그래피와 NMR 등의 분광학적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7개의 페놀성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였으며, 분리 화합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겨릅나무의 효능을 민간에서는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는 우리나라 의 지리산 천왕봉 일대, 중부이북의 고산지대와 만주, 아무르와 우수리강 유역의 일부 산지에만 분포하고 있는 낙엽소교목으로 산저릅나무, 참겨릅나무, 봉목이라고도 부르며 민간에서는 산청목, 벌나무로 잘 알려져 있는 수종이다. 산겨릅나무의 효능을 민간에서는 잎과 잔가지, 수피를 지방간, 간염, 간경병 증, 간암에 뚜렷한 치료 작용이 있으며, 특히 간에 쌓인 독을 풀고 간세포를 살리는 효능이 있고, 이뇨작용이 탁월해 부종이나 신장염에도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산겨릅나무의 분포지역은 어디인가?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는 우리나라 의 지리산 천왕봉 일대, 중부이북의 고산지대와 만주, 아무르와 우수리강 유역의 일부 산지에만 분포하고 있는 낙엽소교목으로 산저릅나무, 참겨릅나무, 봉목이라고도 부르며 민간에서는 산청목, 벌나무로 잘 알려져 있는 수종이다. 산겨릅나무의 효능을 민간에서는 잎과 잔가지, 수피를 지방간, 간염, 간경병 증, 간암에 뚜렷한 치료 작용이 있으며, 특히 간에 쌓인 독을 풀고 간세포를 살리는 효능이 있고, 이뇨작용이 탁월해 부종이나 신장염에도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산겨릅나무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 Hur[5,6] 등(2006, 2007)은 어떤 보고를 하였는가? 산겨릅나무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Shin[3] 등(2006)이 수피 추출물이 간암, 위암, 폐암 등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Park[4] 등(2006)은 수피로부터 flavonoid, quinone 및 coumarin 등 10개의 다양한 페놀성 화합물을 분리하여 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Hur[5,6] 등(2006, 2007)은 isoprenoid와 phenolic glycoside 등의 화합물을 수피에서 분리하였고, Kwon [7] 등(2007)은 수피에서 6"-O-galloylsalidroside를 비롯한 5개의 페놀성 화합물을 보고하였으며 Tung[8] 등(2008)은 flavonoid와 phenylethyl glycoside 등의 15개의 화합물을 수피에서 분리하여 보고하였다. 산겨릅나무에 대한 식물화학적인 연구는 수피부에 집 중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목질부에 대한 연구는 보고 된 것이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태욱. 1996. 한국의 수목. 교학사. pp. 476. 

  2. 조재명 외 12명. 2003. 원색 약용?식용 수목도설. 유성사. pp. 163. 

  3. Shin, I. C., J. H. Sa, T. H. Shim, and J. H. Lee. 2006.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4): 322-327. 

  4. Park, K. M., M. C. Yang, K. H. Lee, S. U. Choi, and K. R. Lee. 2006. Cytotoxic phenolic constituents of Acer tegmentosum Maxim. Arch. Pharm. Res. 29(12): 1086-1090. 

  5. Hur, J. M., E. J. Yang, S. H. Choi, and K. S. Song. 2006. Isolation of phenolic glucoside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2): 149-152. 

  6. Hur, J. M., M. Jun, E. J. Yang, S. H. Choi, J. C. Park, and K. S. Song. 2007. Isolation of isoprenoidal compounds from the stem of Acer tegmentosum Max. Kor. J. Pharmacogn. 38(1): 67-70. 

  7. Kwon, D. J. and Y. S. Bae.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Acer tegmentosum Bark. J. Korean Wood Sci. and Tech. 35(6): 145-151. 

  8. Tung, N. H., Y. Ding, S. K. Kim, K. H. Bae, and Y. H. Kim. 2008. Total Peroxyl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the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im. J. Agric. Food Chem. 56(22): 10510-10514. 

  9. Agrawal, P. K. 1989. Carbon-13 NMR of flavonoids. Elsevier. pp. 437-445. 

  10. Harbone, J. B. and T. J. Mabry. 1982. The flavonoids: advance in research, Chapman and Hall Ltd. pp. 421-426. 

  11. Pyo, M. K., Y. K. Koo, and H. S. Yun-Choi. 2002. Anti-platelet effect of the phenolic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agnolia obovata. Nat. Prod. Sci. 8(4): 147-151. 

  12. Gutierrez, A. B. and W. Herz. 1988. Bisabolones and other constituents of Mikania shushunensis. Phytochemistry 27(12): 3871-3874. 

  13. Takaya, Y., T. Furukawa, S. Miura, T. Akutagawa, Y. Hotta, N. Ishikawa, and M. Niwa. 2007. Antioxidant constituents in distillation residue of Awamori spirits. J. Agric. Food Chem. 55(1): 75-79. 

  14. Saleem, M., J. K. Hyoung, C. Jin, and S. L. Yong. 2004. Antioxidant caffeic acid derivatives from leave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7(3): 300-304. 

  15. Ray, A. B., S. K. Chattopadhyay, C. Konno, Y. Kiso, and H. Hikino. 1985. Structures of cleomiscosins, coumarinolignoids of Cleome viscosa seeds. Tetrahedron 41(1): 209-214. 

  16. Kumar, S., A. B. Ray, C. Konno, Y. Oshima, and H. Hikino. 1988. Cleomiscosin D, a coumarino-lignan from seeds of Cleome viscosa. Phytochemistry 27(2): 636-6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