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of Cham-Dang-Gui (Angelica giga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7, 2004년, pp.1112 - 1118  

강순아 (건국대학교 분자생명공학과 생명분자정보학센터) ,  한진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 ,  장기효 (삼척대학교 식품영양학) ,  조여원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참당귀추출물 1 mg/mL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의 free radical소거 효과는 메탄올추출 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상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참당귀 투여에 의하여 화학요법으로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단백질 산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참당귀추출물은 CYP를 투여로 생성된 free radical을 감소시킴으로써 독성을 감소시켜, 혈액학적 빈혈지표가 더 감소되는 것을 막았다고 사료되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있는 한약재로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은CYP투여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참당귀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catalase 활성은 CYP 투여에 의하여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참당귀의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참당귀추출물은 free radical 소거능을 갖고, 화학요법으로 발생된 지질과산화물의 생성을 낮춰 화학요법에 의한 부작용으로 발생되는 혈액학적 수치의 감소를 막음으로써 항산화제로의 활용성을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oxidant effect of Cham-Dang-Gui (Angelica gigas) on cyclophosphamide (CYP) injected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CON (normal group), ANS (CYP-injected and normal diet group), AND (CYP-injected and normal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참당귀추출물의 투여로 인해 혈액학적 빈혈 수치를 향상시킨 요인이라 가정되는 두 번째 요인은 CYP 투여로 인해 CYP가 간에서 활성화하면서 생긴 free radical이 조직 에 손상을 주어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 므로(19), 참당귀추출물로 인해 혈액학적 빈혈수치가 향상된 것은 참당귀추출물의 투여가 EPO 발현에 의한 조혈효과보다는 CYP 투여로 생성된 free radical의 감소효과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YP로 유도된 산 화성 손상의 피해를 개선하는 기전을 살펴보고자 자유기를 포착하는 항산화 능력 을 측정 할 수 있는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효과와 참당귀 열수 추출물의 투여가 혈액과 간 조직에서의 지질, 단백질 산화 억제 능력,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 USA)를 사용하였다. 저철분 식이에 의한 빈혈효과와 CYP 투여에 의하여 상승효과를 주어 체내 철분의 영양 상태를 저하시킨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정상군(CON, 8마리), CYP-정 상식 이 -식 염 수군(ANS, 8마리), CYP-정 상식 이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edical college of Seoul University. 1993. Hematology. Seoul National Univ Publish., Seoul. 

  2. Ma JY, Ha CS, Sung HJ, Zee OP. 2000. Hemopoietic effects of Rhizoma Rehmanniae Preparata on Cyclophosphamideinduced pernicious anemia in rats. Kor J Pharmacogn 31: 

  3. Tas F, Eralp Y, Basaran M, Sakar B, Alici S, Argon A, 

  4. Das UB, Mallick M, Debnath JM, Ghosh D. 2002. Protective 

  5. Ghosh D, Das UB, Misro M. 2002. Protective role of alphatocopherol- 

  6. Kaya H, Oral B, Ozguner F, Tahan V, Babar Y, Delibas N. 1999. The effect of melatonin application on lipid peroxidation 

  7. Feusner J, Hastings C. 2002.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8. Valley AW. 2002. Overview of cancer-related anemia: focus 

  9. Kim DU, Jin JL, Lee JU, Han CH, Min SS, Kim HG, Park 

  10. Cha BH, Oh SH, Yu CJ, Yang CY, Kim GY. 1992.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 stimulation factor treatment of apriority agranulocytosis: 2 Case Report. Korean 

  11. Lee SI, Ahn DG, Shin MG, No SH, Lee YJ, Kim KH. 1982. 

  12. Liu XL. 1984. Twelve cases of aplastic anemia treated mainly by ready Chinese drugs. Cung/ TSA Chih 25: 759-760. 

  13. Bradley RR, Cunniff PJ, Pereira BJ, Jaber BL. 1999. Hematopoietic 

  14. Kim HS, Heu IH, Lee SJ, Ahn HS. 1989. Immunologic characteristic on extract of old anter. Kor J Pharmacogn 38: 

  15. Park KJ, Hong SB, Kim EH, Ma JY, Eun YA, Kim HS. 1998. 

  16. Han DS. 1988. Herbology. Dong-Myoung publicating company, 

  17. Han JA, Jang KH, Kang SA, Choue R. 2003. Hematological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Cham-Dang-Gui on cyclophosphamide induced anemic rat. Korean J Nutrition 36: 1013-1021. 

  18. Kim SH, Lim JS. 1999.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19. Colvin M. 1982. The alkylating agents. In Pharmacological principles of cancer treatment. Chabner B, ed. Saunders, 

  20. Mortensen SR, Chanda SM, Hooper MJ, Padilla S. 1996. 

  21. Lim JP, Song YC, Kim JW, Ku CH, Eun JS, Leem KH, Kim 

  22. Shinnburber RO, Yu TC. 1958. Characterization of the red 

  23. Lee YK. 2000.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and protein sources on lipid metabolism and DMBA induced mammary tumors in rats.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4.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25. Oliver CN, Ahn B, Moerman EJ, Goldstein S, Stadtman ER. 

  26. Marklund S. 1984. Pyrogallol antioxidant. In CRC hanbook of methods for oxygen radical research. CRC Press, New York. p 243. 

  27.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28. Aebi HE. 1984. Catalase. In Methods in enzymatic analysis. 

  29. Claiborne A. 1984. Catalase activity. In CRC hanbook of methods for oxygen radical research. CRC Press, New York. 

  30. Harman D. 1987.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In Mordern 

  31. Kim SM, Cho YS, Kim EJ, Bae MJ, Han JP, Lee SH, Sung 

  32. Choi Y, Kim M,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33. Kaya H, Oral B, Ozguner F, Tahan V, Babar Y, Delibas N. 

  34. Kim SJ, Song BG, Lee EJ, Kim HG, Kim JG. 2000. The effect of Angellica gigas on the relax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and the expression of iNOS. Korean J Immunol 20: 

  35. Kang SY, Lee KY, Park MJ, Kim YC, Markelonis GJ, Oh 

  36. Hur SK, Kim SS, Heo YH, Ahn SM, Lee BG, Lee SK. 2001. 

  37. Roberforid M, Calderon PB. 1995. Free radicals and oxidation phenomena in biological system. Marcel Dekker, Inc, 

  38. Chang NS, Ryu SM. 2001.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diet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 brain region. Kor J Nutr 34: 525-531. 

  39. Rekha PS, Kuttan G, Kuttan R. 2001. Effect of Brahma Rasayana on antioxidant systems and cytokine levels in mice during cyclophosphamide administration. J Exp Clin Cancer Res 20: 219-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