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근, 시금치, 오디즙 첨가 녹두전분 겔의 항산화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Carrot, Spinach and Mulberry Juic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1, 2011년, pp.46 - 52  

차예지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 ,  정연숙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 ,  김재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외식식품산업학부 식품가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성의 생리활성을 함유함과 동시에 기호성을 증대한 녹두전분 겔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당근, 시금치 및 오디 생즙 각각을 첨가한 전분 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첨가, 당근즙, 시금치즙, 오디즙 첨가 전분 겔의 수분 함량은 첨가 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색상은 첨가재료의 색상이 전분 겔에 그대로 착색되었다. 경도는 무첨가 전분 겔에서 가장 높았으며,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및 깨짐성은 당근을 첨가한 전분 겔에서 가장 높았으나 다른 첨가재료와 큰 차이는 없었다. 각각의 생즙을 첨가한 전분 겔의 전자공여능, 환원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즙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SOD 유사활성에서는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에 따른 이수율은 당근, 시금치, 오디 즙을 첨가한 전분 겔이 무첨가 전분 겔에 비하여 낮은 이수율을 보였으며 특히, 오디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이수율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천연 재료를 첨가한 전분 겔은 무첨가 전분 겔에 비해 색상, 향미, 맛이 우수하고 종합적 기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오디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 (MBSJ) containing carrot (CMBSJ), spinach (SMBSJ), and mulberry (MMBSJ) juice. The moisture contents of MBSJ, CMBSJ, SMBSJ and MMBSJ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color of MBSJ was in good accordance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특성을 갖는 당근, 시금치, 오디즙을 첨가하여 천연 색과 향을 조합한 녹두전분 겔을 제조하고,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항산화 특성과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항산화성의 생리활성을 함유함과 동시에 기호성을 증대한 녹두전분 겔 제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당근, 시금치 및 오디 생즙 각각을 첨가한 전분 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첨가, 당근즙, 시금치즙, 오디즙 첨가 전분 겔의 수분 함량은 첨가 재료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색상은 첨가재료의 색상이 전분 겔에 그대로 착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이란? 묵은 메밀이나 도토리, 녹두 등을 갈아서 제조한 전분 겔 식품으로 우리의 정서가 담긴 고유 민속 식품이다(Kim EM 2009). 독특한 맛은 없으나 특유의 향과 질감을 가지며, 열량 (100 g당 37.
당근의 효능은? 당근(Daucus carota L.)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뿌리로 pro- vitamin A인 β-carotene과 α-carotene, lutein과 같은 carotenoid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항암 작용 및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Krinsky NI 1988). 시금치(Spinacia olerecea L.
묵의 특징은 무엇인가? 묵은 메밀이나 도토리, 녹두 등을 갈아서 제조한 전분 겔 식품으로 우리의 정서가 담긴 고유 민속 식품이다(Kim EM 2009). 독특한 맛은 없으나 특유의 향과 질감을 가지며, 열량 (100 g당 37.0 kcal)은 낮고 소화 흡수가 용이하여 저 열량 다이어트 미용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Chang KM 2007). 특히 청포묵은 비교적 낮은 전분 함량에서도 겔 형성 능력이 뛰어나며, 독특한 텍스쳐 특성을 지니고 있어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다(Kim et a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 Carr MC (2003)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88: 2404-2411. 

  4. Chang KM (2007) Manufacturing of functionalized color mook by addition of the color and flavor from natur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2: 365-372. 

  5. Choi EJ, Oh MS (2001) Changes in retro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l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91-398. 

  6. Choi SR (2008)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wpea starch Mook weht Sunggumcho. MS Thesis Sejong University. pp 10-56. 

  7. Chung KM, Lee WJ (1997) Properties of starch gels mixed with mugwort juice. Korean J Food Sci Tehnol 29: 693-699. 

  8.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9. Hill JO, Lin D, Yakubu F, Peter JC (1992) Development of dietary obesity in rats: Influence of amount andcomposition of dietary fat. Int J Obes Relat Matab Disord 16: 321-333. 

  10. Hong JY, Choi YJ, Kim MH, Shin SR (2009)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Korean J Food Preserv 16: 60-67. 

  11. Kang YS, Cho TO, Hong 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added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13-519. 

  12.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yellow soybean powder and mugwort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67-572. 

  13. Kim E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ies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white lotus steam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43-949. 

  14. Koo SJ (1985)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effects of tannin components of acorn starch gel. J Korean Home Econ Assoc 23: 33-47. 

  15. Krinsky NI (1988) The evidence for the role of carotenes in preventative health. Am J Clin Nutr 7: 107-110. 

  16. Maeda N, Hada T, Murakami-Nakai C, Kuriyama I, Ichikawa H, Fukumory Y, Hiratsuka J, Yoshida H, Sakaguchi K, Mizushina Y (2005) Effects of DNA polymerase inhibitory and antitumor activities of lipase-hydrolyzed glycolipid fractions form spinach. J Nutr Biochem 16: 121-128. 

  17.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l Chem 47: 468-474. 

  18. Park GS, Kwon JH, Huh SM (199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ku-Pyun with various starch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452-460. 

  19. Park JH, Kim E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 180-190. 

  20. Park SW, Jung YS, Ko KC (1997) Quantitative analysis of authocyanins among mulberry cultivars and their phamacological screening. HEB 38: 722-724. 

  21. Saeedeh AD, Asna U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22. Shin SR, Hong JY, Nam HS, Yoon KY, Kim KS (2006)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of Korean herbal materials. J Kor Soc Food Sci Nutr 35: 187-191. 

  23. Song ES, Chung HK, Kang MH (1993) Effects of various gelling agents on textural properties of Omija Pyun. Koran J Dietary Culture 8: 289-293. 

  24. Zhu QY, Hackman RM, Ensunsa JL, Holt RR, Keen CL (2002) Antioxidant activities of oolong tea. J Agric Food Chem 50: 6929-6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