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Dextran 생성균 및 탁주 효모를 이용한 식혜 발효음료 제조
Production of Sikhae Fermented Beverage using a Dextran Producing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1, 2011년, pp.82 - 87  

황승환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장호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 원료로부터 덱스트란 생성균과 탁주 효모균이 식혜에 첨가된 설탕을 이용하여 올리고당과 알코올을 생산하는 것을 바탕으로 기능성 알코올 발효 음료 제조를 연구하였다. 식혜 제조를 위한 최대 당화 시간은 가용성 고형물의 변화가 증가한 후 완만하게 되어지는 5시간 내외가 차후 알코올성 발효음료 제조를 위해 적당하였다. 알코올 발효 시 탁주 효모만 사용하였을 경우 약 3%(w/v)가 생성되었으며, 덱스트란 생성균만 접종하였을 경우 알코올 발효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덱스트란생성균과 탁주 효모를 혼합 접종하였을 경우 약 4%(w/v)의 에탄올이 생성되었다. TLC 분석 결과, 탁주 효모만 접종했을 경우 올리고당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탁주 효모와 덱스트란 생성균의 혼합 접종시 설탕을 48시간 안에 사용하였으며, 발효 과정 중 올리고당으로 추정되는 점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덱스트란 생성균과 탁주 효모를 이용한다면 기능성 올리고당과 알코올을 생성하여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알코올 발효 음료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ermented alcoholic beverage made from Sikhae,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ice beverage, has been developed using a dextran producing isolate from Kimchi and Takju yeast. When both of yeast and the isolate inoculated for fermented beverage production it produced around 4% (w/v) ethanol and 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혜의 관한 연구는 식혜에 주 재료인 쌀을 달리하여 찹쌀의 품종을 달리하여 식혜 밥알의 당화 정도에 관한 연구(Shin et al 2001), 현미(Lee & Kim 1998), 유색미(Kim et al 1999) 등으로 대체한 연구나, 식혜에 황기 농축액(Min SH 2009)이나 헛개나무 추출액(Kim et al 2007)에 대한 등의 기능성 식품을 첨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안동 식혜에 관한 연구(Choi & Son 1992, Choi et al 1991) 등이 있으나, 전통식혜에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탕이 첨가된 식혜에 탁주에서 분리한 효모와 김치에서 분리한 덱스트란 생성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덱스트란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저 알코올성 발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혜의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식혜의 관한 연구는 식혜에 주 재료인 쌀을 달리하여 찹쌀의 품종을 달리하여 식혜 밥알의 당화 정도에 관한 연구(Shin et al 2001), 현미(Lee & Kim 1998), 유색미(Kim et al 1999) 등으로 대체한 연구나, 식혜에 황기 농축액(Min SH 2009)이나 헛개나무 추출액(Kim et al 2007)에 대한 등의 기능성 식품을 첨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안동 식혜에 관한 연구(Choi & Son 1992, Choi et al 1991) 등이 있으나, 전통식혜에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탕이 첨가된 식혜에 탁주에서 분리한 효모와 김치에서 분리한 덱스트란 생성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덱스트란과 같은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저 알코올성 발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탁주 효모를 접종한 식혜의 발효 중 알코올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6과 같다. 탁주 효모만 접종한 식혜의 에탄올은 6시간까지는 거의 생성되어지지 않았고, 9시간 이후에 소량 생성되기 시작하였으며, 48시간까지는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한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위와 같이 탁주 효모는 48시간까지 알코올 발효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덱스트란 생성균을 단독 접종한 식혜의 발효 중 에탄올은 생성되지 않았으며, pH나 적정 산도 결과를 고려할 때 덱스트란 생성균을 단독으로 사용할 시는 12시간까지 발효가 진행되고, 그 이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pH가 낮아짐에 따라 생육 적정 pH인 pH 5~6 이하로 낮아져(McDaniel et al 1987) 덱스트란 생성균의 성장이 늦어졌거나 당 분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어 효과적으로 발효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덱스트란 생성균과 탁주 효모를 접종한 식혜의 에탄올의 변화는 6시간까지는 거의 생성이 안 되었고, 9시간 이후 생성되어 72시간까지 증가하여 약 4%(w/v)이었다. 알코올의 농도를 부피(v/v)로 환산할 경우, 알코올이 20℃ 실온에서 밀도인 0.
식혜란? 식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음청류로서, 조리서(Lee SW 1978, Lee SW 1987)마다 조금씩 만드는 방법이 다르나, 공통적으로 엿기름의 맥아효소를 이용하여 쌀 전분을 당화시켜 마시거나, 기호에 따라 설탕, 꿀, 생강 등을 첨가하여 끓여 식힌 후 마시는 전통음료(Kim et al 2007)로 단술 또는 감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엿기름에 삭은 밥알을 띄워서 삭은 밥알과 용출시킨 당액을 함께 음용하는 것을 식혜라 하고, 다 삭은 것을 끓여 밥알을 건져낸 후 당액만을 음용하는 것을 감주하고 한다(Lee & Kim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n YG, Kim SK, Shin CS (1997) Studies on Sikhye wine - 1 . Rice Sikhye wine -. Korean J Food & Nutr. 10: 360-364. 

  2. Ann YG, Lee SK (1996) A definition and historical study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ikhye. Korean J Food & Nutr 9: 87-91. 

  3. Ann YG (1997)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 Korean J Food & Nutr 10: 87-91. 

  4. Choi C, Lim SI, Seog HM (1991) Change in composition during aging of traditional Andong Sickhae. J Korean Soc Food Nutr 20: 381-387. 

  5. Choi C, Son GM (1992)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andong sikhe with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Dietary Culture 7: 259-270. 

  6. Choi HJ, Cheigh CI, Kim SB, Lee JC, Lee DW, Choi SW, Park, JM, Pyun YR (2002) Weissella kimchii sp. nov.,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rom Kimchi. International J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52: 507-511. 

  7. Chung CH (2002) A potential nutraceutical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 (ATCC 13146); production and properties. Ph D Dissertation Louisiana State University. 

  8. Daeschel MA, Fleming, HP, Mcfeeters RF (1988)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cucumber juice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yeasts. J Food Sci. 53: 862-869. 

  9. Fleming HP, McFeeters RF, Thompson RL, Sanders DC (1983) Storage stability of vegetables fermented with pH control. J Food Sci 48: 975-982. 

  10. Han HU (2006) Monograph Kimchi, A Great Legacy. Hanul. Paju. 

  11. Jeon ER, Kim KA, Jung LH (1998) Morphological change of cooked rice kenel during saccharification for Sikhe. Korean J Soc Food Sci 14: 91-96. 

  12. Kim HH, Park GS, Jeon J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Sikhe prepared with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48-857. 

  13.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66-271. 

  14. Kim MS, Han TR, Yoon HH (1999)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hikhe made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672-677. 

  15. Lee CH, Kim SY (1991)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I. Recent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6: 55-60. 

  16. Lee SW (1987) Study on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Hyangmoonsa. Seoul, Korea. p 193. 

  17. Lee SW (1978) The history of Korean food. Hyangmoonsa. Seoul, Korea. p 136. 

  18. Lee WJ, Kim SS (1998) Preparation of sikhe with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6-150. 

  19. McDaniel N, Henderson LA, Watson Jr BT, Heatherbell D (1987) Sensory panel training and screening for descriptive analysis of the aroma of Pinot Noir wine fermented by special strains of malolactic bacteria. J Sens Stud 2: 149-167. 

  20. Min S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hikhe prepared with Astragalus membranaceus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216-223. 

  21. Morris ER, Curture AN, Ross-Murphy SB, Rees DA (1981) Concentration and shear rate dependence of viscosity in random coil polysaccharide solutions. Carbohyd Polmers 1: 5-21. 

  22. Park JH, Bae SM, Yook C, Kim JS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23. Shin SY, Sung YM, Kang MY (2001) Saccharific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hikhe made from glutinous rice variet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11-18. 

  24. Robyt JF (1986) Dextran. In: Mark HF, NM Bikales, CG Overbergerand, G Menges (Eds),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4. John WiIey & Sons, New York, pp 752-767. 

  25. Robyt JF (1995) Mechanisms in the glucansucrase synthesis of poly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 from sucrose. Adv Carbohydr Chem Biochem 51: 133-144. 

  26. Vartanian LR, Schwartz MB, Brownell KD (2007) Effects of soft drink consumption on nutrition and heal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erican J Public Health 97: 667-67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