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을 이용한 천년초(Opuntia humifusa) 열매 발효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eonnyuncho Fruit (Opuntia humifusa)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4, 2013년, pp.434 - 440  

박민주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년초 열매의 기능성 및 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SM을 이용하여 천년초 열매 추출액의 젖산 발효를 수행하였다. 천년초 열매의 수분함량은 71.7%, 가식부 65%로 나타났으며, 점질물 함량은 1.8%로 측정되었다. 천년초 열매 추출액은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조도와 점탄성이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잔존하는 미생물은 $80^{\circ}C$에서 30분 열처리에 의해 사멸 되었으며, 천년초 열매색소는 비교적 안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고분자 dextran 생성을 위해 sucrose 함량을 20%까지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sucrose 첨가량과 발효 시간이 증가할수록 점질물 함량 및 점조도는 증가하였으며 퍼짐성은 감소하였다. Sucrose을 20% 첨가하여 3일 동안 발효한 발효물의 점질물 함량이 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ucrose 전환율은 90%를 보였다. 특히 sodium citrate 3% 첨가 시 발효 3일째 발효물의 점질물은 7%까지 증가하였고, 점조도 역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된 천년초 열매 추출액은 생성된 고분자 dextran에 의한 높은 점성 성질을 나타내면서, 가공적성 증진과 probiotics가 강화된 기능성 발효물로 전환될 수 있었다. 또한 기능성이 강화된 천년초 발효 소재는 기능성식품 및 가공식품의 소재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 properties of Cheonnyuncho fruit paste (CFP) were enhanced by fermentation,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SM. The stability of CFP pigment was maintained and microorganisms in crude CFP were sterilized by heating at $80^{\circ}C$ for 30 min. The production of dextran in CFP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질물 및 색소 등의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천년초 선인장 열매를 발효식품소재로써의 응용범위를 높이기 위해 천년초 열매 추출물을 미생물 사멸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안정화시키는 열처리 조건을 확립하며, 이상 젖산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dextran 생성을 통한 물성개량 및 probiotic이 강화된 발효물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인장 줄기는 민간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는가? 선인장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력이 뛰어난 대표적인 식물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선인장의 줄기를 변비치료, 이뇨작용,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며(1), 한방에서는 신경성 통증의 치료, 건위자양강장제, 해열진정제, 소염해독, 이질 치료 및 피를 맑게 하고 하혈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선인장은 한방에서 어떻게 이용되어 왔는가? 선인장은 건조한 기후에 적응력이 뛰어난 대표적인 식물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선인장의 줄기를 변비치료, 이뇨작용, 장운동의 활성화 및 식욕증진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으며(1), 한방에서는 신경성 통증의 치료, 건위자양강장제, 해열진정제, 소염해독, 이질 치료 및 피를 맑게 하고 하혈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dextran가 이용되는 식품 공업 분야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의해서 생산되는 dextran은 FDA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로부터 식품 첨가물로써의 사용이 허가된 바 있다(18). 이는 젖산균이 균체 밖에서 생산하는 다당류 중에서 구성 당인 glucose 가 주로 α-(1→6)결합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다당류로서 sucrose 제품의 결정방지, 유체식품의 물성 조절 등 식품 공업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19,20). Dextran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Leuconostoc mesenteroides는 이상젖산 발효균주로서 발효성 당인 sucrose를 기질로 하여 dextran을 생성하는 젖산균으로서 자연발효 식품에 널리 존재한다(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140-141 (1996) 

  2. Cha MN, Jun HI, Lee WJ, Kim MJ, Kim MK, Kim YS.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cactus (Opuntia humifusa) fruit. Food Sci. Biotechnol. 22(2): 523-529 (2013) 

  3. Askar A, El-Smamhy SK. Chemical composition of prickly pear fruit. Dtsch. Lebensm-Rundsch. 77: 279-281 (1981) 

  4. Lee YC, Pyo YH, Ahn CK, Kim SH. Food functionality of Opunria ficus-indica var. cultivated in Jeju island. J. Food Sci. Nutr. 10: 103-110 (2005) 

  5. Lee KS, Oh CS, Lee KY.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4-478 (2005) 

  6. Kim MJ.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by different addition ratios of prickly pear powder during storage. M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008) 

  7. Park MK, Lee YJ, Kang ES.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22-826 (2005) 

  8. Lee KS, Kim MG, Lee KY.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s of cactus Chounnyuncho (Opuntia humifusa)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68-1272 (2004) 

  9. Kwon DK, Song YJ. Effect of Opuntia humifusa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in rats fed a high-fat diet. Korean J. Exer. Nutr. 9: 183-188 (2005) 

  10. Kim SY.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compounds of Korean perennial cactus Opuntia ficus-indica var. (Cheonnyuncho). MS thesis, Hoseo University, Asan, Korea (2003) 

  11. Kim KT, Choi AR, Lee KS, Joung YM, Lee K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61-468 (2007) 

  12. Jang SY.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rice cake with Cheonnyuncho fruit powder. MS thesis, Kyunggi University, Suwon, Korea (2010) 

  13. Park SM, Ahn IS, Hong SM, Kim DS, Kwon DY, Yang HJ.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Opuntia humifusa water extracts and methyl sulfonyl methane on the layin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294-300 (2010) 

  14. Lee SP, Whang K, Ha YD. Functional properties of mucilage and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21-826 (1998) 

  15. Hasler CM. Functional Foods: the western perspective. Nutr. Rev. 54: S6-10 (1996) 

  16. Kim JW.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from meju fermented with pure microbes.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007) 

  17. Lee WK. Functional soy yogurt production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2009) 

  18. Dziezak JD. Phosphates improve many food. J. Food Tech. 44: 80-86 (1990) 

  19. Jeanes A. Dextran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Wiley press, New York, NY, USA. pp. 805-824 (1966) 

  20. Debelder AN. Dextran. pp. 513-542. In: Industrial Gums, Polysaccharides and Their Derivatives. Whistler RL, Bemiller JN (ed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NY, USA (1973) 

  21. Kwon KY. Studies on the mixed ferment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bulgaricus.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1993) 

  22. Hepner G, Fried R, St. Jeor S, Fusetti L, Morin R.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and milk. Am. J. Clin. Nutr. 32: 19-24 (1979) 

  23. KFDA.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fse.foodnara.go.kr/origin. Accessed May 21, 2009. 

  24. Park SJ, Lee JH, Rhim JH, Kwon KS, Jang HG, Yu MY. The change of anthocyanin and spreadmeter value of strawberry jam by heating and preserv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65-369 (1994) 

  25. Sawaya WN. Khatchadourian HA, Safi WM, Al-Muhammad HM.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rickly pear pulp, Opuntia ficusindica and the manufacturing of prickly pear jam. Int. J. Food Sci. Tech. 18: 183-193 (1983) 

  26. Son MJ. Optimization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extract and its application for jelly.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eagu, Korea (2004) 

  27. Shamala TR, Prasad MS. Preliminary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high and low viscosity dextran by Leuconostoc spp. Process Biochem. 30: 237-241 (1995) 

  28. Santos M, Teixeira J, Rodrigues A. Production of dextransucrase, dextran and fructose from sucrose us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412(f). Biochem. Eng. J. 4: 177-188 (2000) 

  29. Kim DS, Thomas S, Fogler HS. Effects of pH and trace minerals on long-term starvation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Appl. Environ. Microb. 66: 976-981 (2000) 

  30. Sarwat F, Qader SAU, Aman A, Ahmed N. Production & Characterization of a unique dextran from an indigenous Leuconostoc mesenteroides CMG713. Int. J. Biol. Sci. 4: 379-386 (2008) 

  31. Jang KH, Choi JH, Lee JM, Lee JH, Jang SY, Jeong YJ.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kefir beverage added fruit juice. Food Sci. Nutr. 7(3): 35-38 (2002) 

  32.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1997) 

  33. Hwang SG. Isolation of bacteria producing dextran from fermented kimchi and optimization of dextran production. MS thesis, Joongbu University, Geumsan, Korea (2007) 

  34. Gilliland SE, Anna ED, Speck ML. Concentrated cultures of Leuconostoc citrovorum. Appl. Microbiol. 19: 890-893 (1970) 

  35. Kim WJ, Kang KO, Kyung KH, Shin JI. Addition of salts and their mixtures for improvement of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88-191 (1991) 

  36. Li L, Wei XY, Zhang YB, Du XH, Ren JP, Bilige M.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dextran produc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China Dairy Industry 37(6): 16-19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