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형유형 구분을 통한 고속도로 사고빈도모형 개발 연구
Freeway Crash Frequency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Geometric Alignment Type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13 no.1 = no.47, 2011년, pp.97 - 105  

김상엽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최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성민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조원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김용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각각의 구간에 대한 선형유형을 구분하여 사고빈도모형을 개발하였다. 현재 사고빈도모형 부문의 연구는 주로 고속도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거시적인 측면에서 사고빈도모형이 개발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구간특성이 정확히 반영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고빈도를 예측하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동질구간 분할법을 사용하여 고속도로의 평면선형을 직선부, 곡선부, 연속곡선부로 구분하였고, 이를 군집분석을 통하여 직선부와 곡선부의 유형을 구분하여 고속도로의 각각의 구간별 특성을 반영한 사고빈도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고속도로 각 구간의 사고빈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더 정확하고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것이라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how one can investigate the effects on crash occurrence of freeway geometric design elements including the horizontal, vertical alignment and road environment. At present, the available research results for the most part involve geometric data analysis that are obtained along a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경우 고속도로는 구간별로 다양한 기하구조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간별로 정확한 사고빈도를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각각의 구간별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립하였고, 구분된 고속도로 유형을 직선부, 곡선부, 연속곡선부로 나누어 구간별 선형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사고빈도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제시한 구간 분할법은 연속된 기하구조 보다는 사고 지점에서의 기하구조 특성만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고 지점의 기하구조 특성이 아닌 연속적인 기하구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구간 분할법을 제시한다.
  • 이를 위해 구간분할법을 사용하여 평면선형을 직q선부, 곡선부, 연속곡선부로 나누었으며,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하여 유형을 6가지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사고빈도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사고발생 이전구간의 기하구조를 반영하여 연속적인 차량의 흐름을 반영한 사고빈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구간의 유형구분을 통하여 각 구간의 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사고빈도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간분할법을 사용하여 평면선형을 직q선부, 곡선부, 연속곡선부로 나누었으며, 군집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하여 유형을 6가지로 구분하여 총 9개의 사고빈도모형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익산포항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개발된 사고빈도모형의 예측치와 실제 발생한 6년간의 사고를 비교하였다. 익산포항고속도로는 크게 도동~포항구간 및 익산~장수구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익산포항고속도로의 도동 분기점에서 포항 나들목까지의 68.
  • 본 연구에서 수집된 기하구조 자료는 직선부와 곡선부로 분류하였으며, 표 1과 표 2를 보면 이전구간과 본 구간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는 기하구조의 연속성을 반영하여 사고빈도모형을 개발하려고 했기 때문에 연속된 두 구간의 기하구조 자료를 동시에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사고빈도모형은 대부분 무엇이었는가? 지금까지의 사고빈도모형은 대부분 고속도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사고빈도모형이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고속도로는 구간별로 다양한 기하구조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간별로 정확한 사고빈도를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도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무엇에 따라 발생하는가? 도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단순히 한 지점의 기하구조 특성에 따라 발생하기 보다는 연속된 도로구간의 기하구조에 따라 발생한다. 따라서 구간을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모형식의 형태 및 결과가 달라지므로 적절한 구간 분할법을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속도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사고빈도모형의 한계는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사고빈도모형은 대부분 고속도로 구간 전체를 대상으로 한 사고빈도모형이 대부분이었다. 이 경우 고속도로는 구간별로 다양한 기하구조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구간별로 정확한 사고빈도를 예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각각의 구간별 특성을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정립하였고, 구분된 고속도로 유형을 직선부, 곡선부, 연속곡선부로 나누어 구간별 선형특성이 반영된 정확한 사고빈도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강민욱, 손봉수, 도철웅(2002), 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고속도로 사고빈도모형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2권 6-D호, pp.1077-1088. 

  2. 강승림(2003),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 기반 교통사고 위험도지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1호, pp.21-40. 

  3. 강정규, 이성관(2002),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4호, pp.163-175. 

  4. 이동민, 김도훈, 성낙문(2009),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사고 예측모형 개발(대도시권 외곽 및 구릉지 특성의 도로구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4호, pp.207-215. 

  5. 최재성, 김상엽, 황경성, 김용석, 조원범, 허태영(2010), 차량 속도를 이용한 도로 구간분할에 따른 고속도로 사고빈도모형 개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2, pp.151-159. 

  6. Ciro Caliendo, Maurizio Guida and Alessandra Parisi(2007), A crash-prediction model for multi-lane road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pp.657-670. 

  7. Fitzpatrick, K. et. al. (2000), Speed prediction rot two lane rural highways, Research report FHWA-RD, pp.99-171. 

  8. Jovanis P. and Chang H.(1986), "Modeling the Relationship of Accidents to Miles Travel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68: 42-51. 

  9. Shaw-Pin Miaou and Harry Lum(1993), Modeling Vehicle Sccident and Highway Geometric Design Relationship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5 No.6. 

  10. Shaw-Pin Miaou(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k accidents and geometric design of road section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26 No.4. 

  11. Milton, John and Fred Mannering(1998), The Relationship Among Highway Geometries-Traffic-related Elements and Motor-vehicle Accident Frequencies The Relationship Among Highway Geometrie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5, pp.395-4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