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To correct the facial asymmetry by mandibular jaw surger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anatomy of the mandible including the mandibular canal positioning of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cross-sectional surface in the bod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하악골의 시상 단면에서 변위측과 반대측의 차이 및 비대칭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Cone beam CT를 이용하여 비대칭군과 대칭군에서 제1대구치의 근심면과 제2대구치의 원심면, 하악지의 오훼돌기 최상방을 지나는 하악골의 시상 단면에서 하악관의 위치와 하악골의 두께, 하악골의 단면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Yoshioka 등19도 하악골의 협측 피질골에서 하악관의 협측면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지각이상의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악관의 위치가 안면 비대칭환자에서 좌, 우측이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해 하악관의 위치를 하악골의 표면에서의 거리를 측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비대칭군에서 변위측과 반대측의 차이는 없었으나, 비대칭이 없는 군과 비교해 볼 때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부위에서 골수강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P<0.
  •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하여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의 하악골의 시상 단면에서 하악관의 위치를 포함하여 여러 계측항목의 변위측과 반대측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비대칭이 없는 환자군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칭이란 무엇인가? ‘대칭’이라는 용어는 물체의 좌, 우가 거울상(mirror images)에서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1. 그러나 사람의 두개 안면 영역에서 이러한 대칭은 거의 없다.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는 무엇이 있나? 안면 비대칭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상악골 자체의 길이 차이, 하악체 길이의 차이, 하악지 길이의 차이, 두개저형태의 차이 등이며3,4, 임상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환자의 성장 방향이나, 성장량에 영향을 주며, 복합적으로 3차원적인 부조화를 야기하여 이부의 편위 및 안면 비대칭으로 표현된다5,6. 안모의 비대칭은 악골과 연관된 현상일 때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며, 이들은 주로 하악골과 연관되어 나타난다7.
안면 비대칭을 보이는 환자에서 하악골의 시상 단면에서 변위측과 반대측의 차이 및 비대칭이 관찰되지 않는 환자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1. 비대칭군에서 하악지 측정지점에서 하악관의 하연에서 하악 하연까지의 거리는 변위측이 반대측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P<0.05), 나머지 측정지점에서의 측정항목의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2. 대칭군에서는 모든 측정지점에서의 모든 측정값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3. 비대칭군은 대칭군에 비해 하악관의 협측면에서 협측피질골의 내측까지의 거리, 하악골의 폭경과 하악골의 단면적이 작았다.(P<0.05) 4. 각 군에서 각 측정값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ronmiller JE. Development of asymmetries. Semin Orthod 1998;4:134-7. 

  2. Burstone CJ.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patients with asymmetries. Semin Orthod 1998;4:153-64. 

  3. Maeda M, Katsumata A, Ariji Y, Muramatsu A, Yoshida K, Goto S, et al.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i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6;102:382-90. 

  4. Baek SH, Cho IS, Chang YI, Kim MJ. Skeletodental factors affecting chin point deviation in female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and facial asymmetry: a three-dimensional an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104:628-39. 

  5. Sakurai A, Hirabayashi S, Sugawara Y, Harii K. Skeletal analysis of craniofacial asymmetries in plagiocephaly (unilateral coronal synostosis).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1998;32:81-9. 

  6. St John D, Mulliken JB, Kaban LB, Padwa BL. Anthropometric analysis of mandibular asymmetry in infants with deformational posterior plagiocephaly.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873-7. Erratum in: J Oral Maxillofac Surg 2005;63:419. 

  7.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y. Angle Orthod 2002;72:28-35. 

  8. Fong JH, Wu HT, Huang MC, Chou YW, Chi LY, Fong Y, et al. Analysis of facial skelet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chin deviation. J Chin Med Assoc 2010;73:29-34. 

  9. Severt TR, Proffit WR. The prevalence of facial asymmetry in the dentofacial deformities population at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7;12:171-6. 

  10. Tani M, Iketani M, Watanabe M, Suda S, Fujimura N, Miyazawa M, et al. Posterior-anterior cephalometric analysis in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ies. J Jpn Stomatol Soc 1989;35:1749-59. 

  11. Pirttiniemi PM. Associations of mandibular and facial asymmetries- a review.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4;106:191-200. 

  12. Obwegeser HL, Makek MS. Hemimandibular hyperplasia-hemimandibular elongation. J Maxillofac Surg 1986;14:183-208. 

  13. Poikela A, Kantomaa T, Pirttiniemi P. Craniofacial growth after a period of unilateral masticatory function in young rabbits. Eur J Oral Sci 1997;105:331-7. 

  14. Persing J, James H, Swanson J, Kattwinkel J;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Practice and Ambulatory Medicine, Section on Plastic Surgery and Section on Neurological Surgery.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itional skull deformities in infants. Pediatrics 2003;112:199-202. 

  15. Choi J, Min S, Oh SH, Kwon KH, Choi MK, Lee J, et al. Skeletal pattern analysis of facial asymmetry patient using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8;34:622-7. 

  16. Westermark A, Bystedt H, von Konow L. Inferior alveolar nerve function after mandibular osteotomies. Br J Oral Maxillofac Surg 1998;36:425-8. 

  17. Yoshida T, Nagamine T, Kobayashi T, Michimi N, Nakajima T, Sasakura H, et al. Impairment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after sagittal split osteotomy. J Craniomaxillofac Surg 1989;17:271-7. 

  18. Yamamoto R, Nakamura A, Ohno K, Michi KI.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canal to the lateral cortex of the mandibular ramus as a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neurosensory disturbanc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490-5. 

  19. Yoshioka I, Tanaka T, Khanal A, Habu M, Kito S, Kodama M,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 alveolar nerve canal position at mandibular second molar in patients with prognathism and possible occurrence of neurosensory disturbance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2010;68:3022-7. 

  20. Hallikainen D, Iizuka T, Lindqvist C. Cross-sectional tomography in evaluation of patients undergoing sagittal split osteotomy. J Oral Maxillofac Surg 1992;50:1269-73. 

  21. Jung YH, Nah KS, Cho BH. The location of the mandibular canal in prognathic patients compared to subjects with normal occlusion.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7;37:217-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