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치 후 병발한 안면마비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 사례 보고
A Case Report on Facial Nerve Palsy after Tooth Extraction and Korean Medical Treatments 원문보기

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3 no.2, 2016년, pp.211 - 220  

김대훈 (부산대학교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유리 (부산대학교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배지민 (부산대학교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홍승표 (부산대학교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구본길 (본치과 의원) ,  김재규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  이병렬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  양기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Facial nerve palsy is a rare but well-known complication that occurs after a tooth extraction. The paralysis follows the injection of a local anesthetic, but patients typically recover after a few hour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reports of delayed paralysis, and the cause of de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최근 심미 보철, 매복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수술, 치조골 이식 등과 같은 안면부 외과적 수술이 성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발치 후 안면신경 손상으로 인한 안면신경 마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그간 한의학 분야에서는 상기 연구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보고된 것이 없다. 이에 본 저자는 한의학 분야에서 처음으로 2013년 10월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침구의학과 안면마비클리닉에 입원한 발치 후 병발한 안면마비 환자에게 침, 한약, 부항 등의 한의학적 복합치료를 시행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신경마비란 무엇인가? 안면신경마비는특발성,의인성,외상,종양,감염등다양한원인으로인한대개편측성의안면근육의운동및감각 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말초성과 중추성으로 구분되며1), 대부분의 안면마비는 급성으로 나타나는 원인불명의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벨마비, Bell’s palsy)로 바이러스 감염, 허혈성 혈관질환 및 장애, 신경염, 자가면역성 질환 등의 원인이 가설로 제시되고 있으나 바이러스 감염이가장유력한것으로추정하고있다2).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행시 발생하는 안면신경의 마비가 단기간에 회복되지 않는 경우 유발 원인을 무엇으로 볼 수 있는가? 발치 전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할 때 이하선의 표층엽과 심부엽 사이 안면신경에 마취액이 주입되면 일시적인 안면신경의 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마취액의 효과가 소실되면 수 시간 이내 저절로 회복되어야 한다 5) .만약 단기간에 회복되지 않는 경우 Burke 등 8) 그리고 Pogrel 등 22) 은 마취제 주입에 사용된 주삿바늘로 인한 직접적인 신경의 손상, 신경 내 혈종 또는 압박 그리고 국소 마취제 독성 세 가지로 설명하였으며, Gray 4) 는 설신경을 통한 바이러스의 상행성 감염으로 인하여 지연성 안면신경의 마비가 유발된 것으로 보았다.
안면마비의 원인은 무엇인가? 안면신경마비는특발성,의인성,외상,종양,감염등다양한원인으로인한대개편측성의안면근육의운동및감각 장애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말초성과 중추성으로 구분되며1), 대부분의 안면마비는 급성으로 나타나는 원인불명의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벨마비, Bell’s palsy)로 바이러스 감염, 허혈성 혈관질환 및 장애, 신경염, 자가면역성 질환 등의 원인이 가설로 제시되고 있으나 바이러스 감염이가장유력한것으로추정하고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Kyunghui Korean Medical Hospital. Manual of Acupuncture & Moxibustion. Seoul : Woori Medical Book. 2015 : 189-210. 

  2.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Facial Palsy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aejeon : Hanmi Medical Science. 2014 : 38. 

  3. Holmes P. J., Koehler J., McGwin G. Jr., Rue L. W. 3rd. Frequency of maxillofacial injuries in all-terrain vehicle collisions. J Oral Maxillofac Surg. 2004 ; 62(6) : 697-701. 

  4. Gray R. L. Peripheral facial nerve paralysis of dental origin. Br J Oral Surg. 1978 ; 16(2) : 143-50. 

  5. Tiwari I. B., Keane T. Hemifacial palsy after inferior dental block for dental treatment. Br Med J. 1970 ; 1(5699) : 798. 

  6. Park CE, Choi MS, Chung DH, Byun JY. A Case of Facial Palsy Following Tooth Extraction.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09 ; 52(11) : 924-7. 

  7. Choi MK, Oh SH, Kwon KH, Yang CY, Ji YD, Koh SW. Facial Nerve Palsy Following Dental Extraction : A Case Report.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2003 ; 25(5) : 452-60. 

  8. Burke R. H., Adams J. L. Immediate cranial nerve paralysis during removal of a mandibular third mola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7 ; 63(2) : 172-4. 

  9. Cakarer S., Can T., Cankaya B. et al. Peripheral facial nerve paralysis after upper third molar extraction. J Craniofac Surg. 2010 ; 21(6) : 1825-7. 

  10. Guler D. Peripheric facial and trigeminal paralysis originating from the impacted third molar. Istanbul Univ Dishekim Fak Derg. 1970 ; 1(4) : 321-4. 

  11. Owsley D., Goldsmith J. P. Bell's palsy following primary tooth extraction. A case report. N Y State Dent J. 2012 ; 78(3) : 32-3. 

  12. Petz R., Hunecke H. Complications occurring during the treatment of wisdom teeth and how to prevent them. Dtsch Stomatol. 1967 ; 17(6) : 431-8. 

  13. Sedan J., Pellegrin J. Facial paralysis in a leprotic after tooth extraction. Rev Otoneuroophtalmol. 1953 ; 25(8) : 503-5. 

  14. Tazi M., Soichot P., Perrin D. Facial palsy following dental extraction : report of 2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2003 ; 61(7) : 840-4. 

  15. Vasconcelos B. C., Bessa-Nogueira R. V., Maurette P. E., Carneiro S. C. Facial nerve paralysis after impacted lower third molar surgery :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report.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06 ; 11(2) : E175-8. 

  16. Kim KH, Shin DG, Kim DG. A Case of Facial Palsy and Hearing Disturbance Caused by Traumatic Disorder. J Kor Ori Ped. 2003 ; 17(2) : 137-48. 

  17. Ahn HL, Shin MS. A Case Report of a Patient with Facial Nerve Paralysis Caused by Traumatic Temporal Bone Fracture. J Oriental Rehab Med. 2007 ; 17(1) : 159-66. 

  18. Kim MJ, Song JY, Sung WS et al. Clinical Study on Peripheral Facial Nerve Injury. The Acupuncture. 2012 ; 29(6) : 23-34. 

  19. Yanagihara N. Grading of Facial Palsy.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facial nerve surgery. Amstelveen : Kugler Medical Publications. 1977 : 533-5. 

  20.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Medicine. Seoul : Hanmi Medical Science. 2016 : 638-42. 

  21. Sunderland S. A classification of peripheral nerve injuries producing loss of function. Brain. 1951 ; 74(4) : 491-516. 

  22. Pogrel M. A., Bryan J., Regezi J. Nerve damage associated with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s. J Am Dent Assoc. 1995 ; 126(8) : 1150-5. 

  23. Baugh Reginald F., Basura Gregory J., Ishii Lisa E.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Bell's Palsy.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rgery. 2013 ; 149(3 suppl) : S1-27. 

  24. Kim MB, Kim JH, Shin SH, Yoon HJ, Ko WS. A study of facial nerve grading system. J Korean Orient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 ; 20(3) : 147-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