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단체급식 영양사의 위생교육 실행 수준에 따른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실천 수준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2, 2011년, pp.151 - 158  

이재영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연미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영양정책지원팀) ,  이유진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운주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on the sanitation knowledge and management practice level of culinary employee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sanitation knowledge and management practice level of culinary employe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문항들은 조사대상자들은 잘 모르는 문항에 대해서 무성의한 대답을 하는 경향이 있어 실제와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응답 보기 중 ‘잘 모르겠다’라는 답이 가능하도록 하여 응답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에서 학교를 제외한 단체급식소의 위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위생관리 영역별로 영양사의 위생교육 실행과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실천수준을 조사하여 서로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단체급식소의 위생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영양사의 위생교육 실행에 따른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실천수준 간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급식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시기는 언제인가? 단체급식은 가정 외의 장소에서 상업성 및 비상업성 목적으로 학교, 사업체, 병원, 대학교, 행정부서, 사회복지시설 등의 조직구성원들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1967년 식품위생법에서 집단급식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이후(대한영양사회 급식관리지도서 1996) 국내 단체급식소는 2007년 현재 30,610개소로 집계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식중독의 예방과 통제 및 식품의 안전성 유지를 위해 조리종사자에게 어떤 방법을 실시하고 있는가? 따라서 식중독의 예방과 통제 및 식품의 안전성 유지에 조리종사들의 개인위생 및 위생 습관의 올바른 실천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종사자를 위한 위생교육과 훈련은 영양사의 급식 관리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업무의 하나로 식품위생법에서도 매월 1회 1시간 이상 실시하도록 명시되어 있다(식품위생법규 2008). 또한 대부분의 식중독 문제는 위생교육을 통해 줄일 수 있으며(Rovert 1992; Bolton 1997), 조리종사자에게 자신의 식품취급습관이 고객의 건강과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단기간의 훈련이라도 급식종사자의 작업 수행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Reed 1982).
단체급식이란 무엇인가? 단체급식은 가정 외의 장소에서 상업성 및 비상업성 목적으로 학교, 사업체, 병원, 대학교, 행정부서, 사회복지시설 등의 조직구성원들에게 급식을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1967년 식품위생법에서 집단급식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된 이후(대한영양사회 급식관리지도서 1996) 국내 단체급식소는 2007년 현재 30,610개소로 집계되고 있다(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brecht JA. summer SS, and Hemmeman A.(1992), Food safety in child care Facilities, Dairy Food and Environmental Sanitation, 12(12):740 

  2. An GB, Yon MY, Lee YJ, Kim WJ 2009. Comparison of customer satisfaction by operation types of business foodservice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4(6):721-727 

  3. Bolton L.(1997), The rise of foodborne illness. Restaurant Hospitality 31:156-161 

  4. Chang HW, Bea HJ 2010. Assessment of food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food service workers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s implementing HACCP. Korean J Food Cookery Sci. 26(6):781-790 

  5. Cohen E, Reichel A, Schwartz Z 2001. On the efficacy of an inhouse food sanitation training program-statistical measurements and practical conclusions. J Hospitality Tourism Res. 25(1):5-16 

  6. Eo GH, Ryu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7(1):56-64 

  7. Hong WS, Yim JM. 2009. Evaluation of eoodservice employees` eanitary performance and sanitar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6(3):252-262 

  8. Hong WS, Yoon JY. 2003. Foodservice employees' sanitation and hygiene practice in school foodserv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9(4):403-412 

  9. Kim DJ, Kim GJ 2010.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2):291-307 

  10. Kim GJ, Park SS 2008. A Study on sanit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for each types of employees in food-service facility,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1(4):115-137 

  11. Kim G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 -Seoul, Gyeonggi,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5):576-589 

  12. Kim JG 1997. Analysis of problems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s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outbreaks discover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f some outbreak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2(3):240-253 

  13. Kim JG 1997. Analysis of problems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s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outbreaks discover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f some outbreaks,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2(3):240-253 

  14. Kim JG 2000.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sanitation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nd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5(3):186-198 

  15. Kim SH, Lee YW.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 fperation in Pusan.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6(1):1-10 

  16.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Journal of Human Ecology, 43(11) 127-140 

  17.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Occurrence of foodborne illness. 2008. http://www.kfda.go.kr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atical data. 2008. http:// www.kfda.go.kr 

  19. Korean Dietetian Association. 1996. Meal service management guide 

  20. Lee EY, Choi ST, Lee SB 2007. An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the food service factors in the contracted food service management industry, Korean J Hospitality & Tourism 26:113-129 

  21. Lee JH, Park JS. 1999. Attitudes of non-commercial foodservice dietitans toward hiring older workers. Korean J Nutr, 32(7):824-826 

  22. Lee KE, L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597- 605, 2009 

  23.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p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2(1):68-81 

  24.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1):22-31 

  25. Lim YH, Kwak H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Korean Journal of Dietary Culture, 21(4) 381-387 

  26. Lyu ES. 1999.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 of Pusan and Kyung Nam. Korean J Food Science, 28(4):942-947 

  27. Moon HK, Hwang JO 2003. Study on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application for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1):71-82 

  28.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2001.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6(4):280-294 

  29. Park SH, Jung HA, Bae HJ, Joo NM 2009. A study on differences of sanitation education and sanitation knowledge between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in commercial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3) :306-315, 2009 

  30. Reed L.E.(1982), Training effectivenss in school foodservice. J. Am Dietet. Assoc. 81(8):176 

  31. Robert A, Lynch(2003), A comparison of food safety knowledge among restaurant Managers by source of Training and Experience in Oklahoma county, Jounrnal of Enviromental Health 9:9-14 

  32. Roh BU 1997. Food safety policies on school lunch program in foreign countries-Food Safety Policies Practiced Especially in U.S.A.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12(4):361- 366 

  33. Smith K, Shillam P 2000, Anevaluation of food safety training using videotaped instruction, Foodservice Research Intermational, 12:41-50 

  34. Stevenson RK 1987. A food service estabilishment evaluation program procedure of the 1980's and 1990's. J Environ Health, 50(1):25-28 

  35. Um YH 2010. A study on actual sanitary management conditions and dducation pla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Th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3):237-249 

  36. Woo IA, Hwang YK, Lee YS 2008. The status and the actual sanitation management conditions of food servic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 Food & Nutr, 21(3):355- 365 

  37. Yang HS, Han EH, Sohn HS, Rho J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eduation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Jeoju. Korean J. of Human Ecology, 9(3):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