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위탁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 및 근무환경에 따른 위생 직무수행도 평가
A Study on the Hygiene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by Hygiene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n the Gyeongnam Are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9 no.3, 2013년, pp.209 - 222  

임정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현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hygiene practices of contract foodservice employee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on these hygienes practic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0 contract foodservice employees and a total of 232 responses were received and analyz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 학교급식을 제외한 대부분의 급식소에서 수행되는 위생교육은 영양사의 의지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현실이고 대부분의 영양사들이 업무의 과중함과 자료부족 등의 이유로 위생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형편이다(Park 등 2009; Lee 등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ACCP 제도를 적용하기 위한 전단계로써 자율적으로 위생관리를 하고 있는 사업체 위탁급식 업체를 대상으로 관리의 부분별 위생관리 직무수행도 및 위생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였고, 조리종사자의 근무환경에 따라 위생관리 수행도에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향후 HACCP 적용을 위한 위생관리 수행수준 개선을 제언하고 근무환경에 따른 위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소재의 사업체 위탁급식에서 근무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관련 직무수행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많은 단체급식소에서 보다 적극적인 위생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본 연구는 사업체 급식을 제공하고, 자율적으로 위생관리를 하고 있는 사업체 위탁급식업체를 대상으로, 위생관리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여 향후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개선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소재의 사업체 위탁급식업체에서 근무하는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32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3년까지 위탁급식업의 실정은 어떠하였는가? 1988년에 서울 캐이터링서비스 주식회사가 위탁급식경영을 시작한 이래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위탁급식업에 대거 참여하면서 시장규모가 1996년 2조원에서 1998년 IMF 를 거치면서 경영합리화나 효율 극대화 차원에서 기업들의 급식위탁화가 가속화됨에 힘입어 2000년도말에는 5조 600억원, 2002년에는 5조 2천억원, 2004년 5조 8천억원에서 2012년 현재 7조 3천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orea Foodservice Information 2012). 이러한 규모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위탁급식업은 2003년까지 식품위생법에 정식업종으로 분류되지 않아 그 관리기준이 미비한 상황에 처해 있어 위탁급식소에서의 식중독 사고 증가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었다(Moon & Hwang 2003). 위탁급식 전문업체는 지금까지 법적ㆍ제도적인 면에서 위탁급식 업무에 대한 범위, 시설기준, 인력배치, 위탁범위, 관리사항 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기준도 미비한 상태이고 과대경쟁의 유발, 과도한 시설설비 투자, 위생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들이 야기되다가(Eum & Lyu 2003), 2003년 위탁급식업이 식품위생법에서 정식업종으로 분류되어 ‘위탁급식업’이라는 새로운 업종으로 관리되었고, 식품위생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7971호) 제7조 제8호 마목에서 ‘집단급식소를 설치ㆍ운영하는 자와 위탁 계약에 의하여 그 집단급식소 내에서 음식류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영업’으로 규정함으로써 위탁급식 업종이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3).
국내 위탁급식경영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국내 위탁급식 시장은 지난 1980∼1990년대를 지나면서 급격한 환경 변화를 겪어 왔고 내ㆍ외적으로 많은 성장을 하여 왔다. 1988년에 서울 캐이터링서비스 주식회사가 위탁급식경영을 시작한 이래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대기업들도 위탁급식업에 대거 참여하면서 시장규모가 1996년 2조원에서 1998년 IMF 를 거치면서 경영합리화나 효율 극대화 차원에서 기업들의 급식위탁화가 가속화됨에 힘입어 2000년도말에는 5조 600억원, 2002년에는 5조 2천억원, 2004년 5조 8천억원에서 2012년 현재 7조 3천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Korea Foodservice Information 2012). 이러한 규모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위탁급식업은 2003년까지 식품위생법에 정식업종으로 분류되지 않아 그 관리기준이 미비한 상황에 처해 있어 위탁급식소에서의 식중독 사고 증가에 대한 대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었다(Moon & Hwang 2003).
식품위생법 등의 제도적인 관리에도 불구하고 급식과 외식의 증가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는가? 위탁급식 전문업체는 지금까지 법적ㆍ제도적인 면에서 위탁급식 업무에 대한 범위, 시설기준, 인력배치, 위탁범위, 관리사항 등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기준도 미비한 상태이고 과대경쟁의 유발, 과도한 시설설비 투자, 위생 및 안전사고 등의 문제들이 야기되다가(Eum & Lyu 2003), 2003년 위탁급식업이 식품위생법에서 정식업종으로 분류되어 ‘위탁급식업’이라는 새로운 업종으로 관리되었고, 식품위생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7971호) 제7조 제8호 마목에서 ‘집단급식소를 설치ㆍ운영하는 자와 위탁 계약에 의하여 그 집단급식소 내에서 음식류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영업’으로 규정함으로써 위탁급식 업종이 법적 근거를 갖게 되었다(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3).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인 관리에도 불구하고 급식과 외식의 증가로 식중독 발생유형이 집단화ㆍ대형화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표한 2012년 식중독 발생통계에 의하면 2012년 한해 식중독발생건수는 266건이었고, 그 중 집단급식소에서 식중독사고가 발생한 건수는 학교급식 54건, 사업체 9건이라고 발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 JM (2012): Hygiene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Masters degree thesis. Kyungnam University. pp.58-59 

  2. Bae HJ, Lee HY (2010): Importance evaluation about the remedies for improve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by foodservice managers. Korean J Community Nutr 15(2):266-274 

  3. Choe SH, Kim SH, Gwag DG (2003): The survey of perception on obstacles in implementing generic HACCP plan for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J Korean Diet Assoc 9(3):209-218 

  4. Chong YK, Kwak TK (2000): Perceived performance of sanitar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manager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5(1):100-108 

  5. Eo CH, Rye K, Park SJ, Kwak TK (2001): Need assessments of HACCP-based sanitation train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based on sanitation knowledge test of employees. J Korean Diet Assoc 7(1):56-64 

  6. Eum YR, Lyu ES (2003): Analysis of current operational practices and issues of contract-managed foodservice companies in Republic of Korea. J of the Korean Diet Assoc 9(3):197-208 

  7. Han JH, Yi NY, Hong WS (2009): Identifying the effect of personal, foodservic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foodservice managers' job satisfaction by the contract management company scal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2):216-228 

  8. Her WY (2006):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among foodservice employees. Masters degree thesis. Yongnam University. pp.64-67 

  9. Hong WS, Yin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4):382-395 

  10. Hwang HO, Kim HA (2012):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perceptions of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s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0):1475-1485 

  11. Hwang JO (2002): Study on sanitary knowledge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HACCP management for dieticians and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Masters degree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p.76-81 

  12. Jung KH (2003): Estimation of school-meal cooking staffs' knowledge and executive degree of the HACCP system: of Ansan, Siheung areas.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50-52 

  13. Kim GM, Lee SY (2008): A study on the sanitation management status and barriers to HACCP system implementation of school foodservice institu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3(3):405-417 

  14. Kim MJ, Roh PU (2000):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for school lunch menu in primary schools. J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 26(2):177-188 

  15. Kim SH, Lee YW (2001):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Pusan. J Fd Hyg Safety 16(1):1-10 

  16. Kim YO, Kwon SJ, Ly SY (2009): Perceived performance of HACCP for school foodservice managers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1):223-236 

  17. Kim YS (2003): The importance of hygiene condition and HACCP system application at school food service. Food Science and Industry 36(2):92-98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poisoning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e-stat/index.do?nMenuCode19. Accessed June 20, 2013a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haccphub.or.kr/company/company_01.do. Accessed February 25, 2013b 

  20. Korea Foodservice Information. Direct foodservice maket by government leading. Available from: http://monthly.foodbank.co.kr/news/view.php?secIndex32522&page1&back. Accessed July 2, 2012 

  21. Korea Ministry of Goverment Legislation. Food Sanitation Law.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main.html. Accessed April 22, 2003 

  22. Kwak TK, Lee KM, Chang HJ, Kang YJ, Hong WS, Moon HK (2005): Analysis of critical control points through field assessment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290-300 

  23. Kwon SH, Lee HO, Chung DH, Sin WS, Eom AS (2003):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for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o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5):647-658 

  24. Lee HO, Shim JY, Shin HA, Chung DH, Om AS (2002): Recognition study on introduction of HACCP to industry foodservi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3):355-363 

  25. Lee JY, Seo JS, Bang BH, Jeong EJ, Kang NE, Lee JY (2003): A survey on industry needs for education programs of HACCP professionals in food service facilities. J Vocat Educ Res 22(3):105-122 

  26. Lee JY, Yon MY, Lee YJ, Kim WJ (2011): Culinary employees'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 levels according to dietitians' sanitation training performance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industry in the Chungbuk provinces. Korean J Food Culture 26(2):151-158 

  27. Lee KE, Ryu K (2004): Influences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9(5):597-605 

  28. Lee SG, Gil BI (2007):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HACCP training for employee cooks of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the Kyeonggi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5):746-752 

  29. Lee SY, Jang YS, Choi HJ (1999): Current status and further prospect on HACCP implementation in Korea (specially on catering).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3):14-26 

  30. Lim YH, Kwak HO (2006): A study on the sanitary management practices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Korean J Food Culture 21(4):381-387 

  31. Lyu ES (1999): Food sanitary procedures of employees in business &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of Pusan and Kyung 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4):942-947 

  32. Lyu ES, Chang HJ (1995): Food sanitary practices of the employees in university and industry foodservices. Korean J Soc Food Sci 11(3):274-281 

  33. Moon HK, Hwang JO (2003): Study on hygie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job performance levels for HACCP application for employees at contract foodservic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1):71-82 

  34. Nam EJ, Lee YK (2001): Evaluation of sanitary management based on HACCP of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Taegu and Kyungpook areas. J Korean Diet Assoc 7(1):28-37 

  35. Park JY, Yang HW, Park HH (2007): A study on the level of hygiene practices and strategy in the contract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4):589-596 

  36. Park JY, Ahn SS, Park HH (2006): A study on differences of food hygiene knowledge and practices between housewives and the contract foodservice employees. Korean J Food & Nutr 19(3):301-310 

  37. Park MK (2004):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Capital (IC) measurement tool on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FMC) and analysis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Intellectual Capital. Masters degree thesis. Yonsei University. pp.59-70 

  38. Park SH, Jung HA, Bae HJ, Joo NM (2009): A study on differences of sanitation education and sanitation knowledge between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and managers in commercial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14(3):306-315 

  39. Shim JY, Om AS, Lee HO (2002): The sanitary management procedures of the industry foodserviec in Seoul. Korean J of Living Science Research 20(1):131-147 

  40. Soh GS, Kim YS, Shin DH (2007): A survey on the sanitary management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J Fd Hyg Safety 22(1):63-75 

  41. Song IS, Chae IS (2008):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of HACCP system in Jeju. Korean J Nutr 41(8):870-886 

  42. Song SI (2006): Ontracting outfoodservice operation. Hotel Resort Casino Research 5(2):447-464 

  43. Yoo WC, Kim JW (2000): Development of generic HACCP model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Korean J Soc Food Sci 16(3):232-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