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령기 ADHD 아동의 주증상과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School-Age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2, 2011년, pp.256 - 268  

박완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서지영 (영남외국어대학 간호과) ,  김미예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meta-analysis to examine recent domestic articles related to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school-age children. Methods: After reviewing 213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09 from and cited in RISS, KISS, and DBpia, the rese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각 기존연구의 분석결과에 관한 것으로 결과변수, 각종 통계 수치와 그 산출을 위한 각종 통계기법에 관한 것이다. 그 외 자료의 미비점에 대한 처리는 자료 분석 방법에서 논의하였다.
  • 이는 연구문제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일반적인 결과를 찾거나 결론을 유도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 새로운 설명 메커니즘의 도출을 가능하게 하고 불필요한 연구나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 있어 이미 다른 연구자들이 범한 과오를 피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되어진 ADHD 조사연구들의 관련변인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학술지 게재 논문 중 관련변인들의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계량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ADHD 관련변인의 통합적 분류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 및 ADHD 조사연구의 유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학령기 ADHD 아동의 발달단계에서 바람직한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러한 비효율성을 감소키고 ADHD 연구방향을 재조명하기 위해 통합적인 메타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ADHD 아동에 대한 연구변수들의 개별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통계적으로 재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연구문제에 관련된 일련의 연구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일반적인 결과를 찾거나 결론을 유도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 새로운 설명 메커니즘의 도출을 가능하게 하고 불필요한 연구나 앞으로 진행될 연구에 있어 이미 다른 연구자들이 범한 과오를 피할 수 있게 한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조사되어진 ADHD 조사연구들의 관련변인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학술지 게재 논문 중 관련변인들의 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계량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ADHD 관련변인의 통합적 분류와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 및 ADHD 조사연구의 유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학령기 ADHD 아동의 발달단계에서 바람직한 도움을 주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는 ADHD 중재연구가 아닌 조사연구만으로 관련변인에 대해 계량적으로 통합한 우리나라 최초의 메타분석이라는 점과 학령기에 ADHD 질병관련 특성이 학교에서의 학습능력요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전체적이고 계속적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위한 Screening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높은 수준의 근거중심 결과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또한 그 변인들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 ADHD의 형태적 특성을 제시하고 어떤 영역의 조사연구가 더 필요한지 추후연구의 방향성을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ADHD 아동에 대한 관련특성을 파악한 조사연구에 대해 국내 최초로 메타분석을 시도하여 추후 ADHD 아동을 위한 연구의 초석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효과검증을 위한 결과 변수의 범주는 선행연구(Majewicz-Hefley & Carlson, 2007; Van der Oord, Prins, Oosterlaan, &Emmelkamp, 2008)와 분석에 사용된 논문의 결과변수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령기 ADHD 아동의 관련변인 특성을 확인하고 추후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국내에서 1990년부터 2009년까지 20년 동안 이루어진 학령기 ADHD 아동 관련 조사 연구를 메타분석하였다. 통합적 메타분석에서 학령기 ADHD 아동인 경우 과잉행동충동성이 주의력결핍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들의 취약한 학습능력관련변인이 이러한 주증상과 관련이 높아 연구설계 시 숙지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ADHD 아동의 관련변인에 대한 논문을 분석하였다. 학령기 ADHD 아동의 범위는 초·중등교육법 제2장 의무교육의 제13조 2항에 의하면 초등학교 취학의무가 있는 아동의 연령은 만5세에서 13세까지이므로 이 범위의 조사연구만을 선택하였다.
  • 본 연구는 학령기 ADHD 아동의 관련변인에 대해 메타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 이후 국내 학령기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학령기 ADHD 아동 관련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둘째, 각 기존연구가 전제하고 있는 분석대상에 관한 것으로 주요 분석대상, 분석단위 및 수준 등의 분포상태이다. 셋째, 각 기존연구의 분석결과에 관한 것으로 결과변수, 각종 통계 수치와 그 산출을 위한 각종 통계기법에 관한 것이다. 그 외 자료의 미비점에 대한 처리는 자료 분석 방법에서 논의하였다.
  • 메타분석에서 연구들을 종합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출판되지 않은 연구결과들을 포함하지 않은 채 그대로 종합했을 때의 편중(bias)이다. 즉, 메타분석의 결과로 종합된 효과가 일반적으로 유의한데, 이러한 결과가 과연 몇 편의 논문이 추가됨으로써 전반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겠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때 추가되는 논문 수를 Nfs이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DHD 아동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성인 ADHD로 이행될 경우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 2006). ADHD 아동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성인 ADHD로 이행될 경우,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경향을 나타내고, 이는 반사회적 범죄와 관련되어 범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이처럼 ADHD 아동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핵심증상 이외에 사회적 부적응 및 정서적 어려움들이 수반됨을 고려할 때, 학령기 ADHD 아동의 일차적인 ADHD 증상의 감소와 함께 사회적응과 정서적 측면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주 증상은 무엇인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과잉행동·충동성을 주증상으로 학습 및 사회적 기능에 막대한 장애를 초래하는 가장 흔한 소아정신과 질병 중 하나로 1-20% (Biederman et al., 2005; Park & Kim, 2008)로 계속 증가되는 추세이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인한 이차적인 어려움을 만드는 정서적 문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2005; Park & Kim, 2008)로 계속 증가되는 추세이다. ADHD는 그 자체의 증상뿐 아니라 학습장애, 기분 장애, 불안장애, 품행장애 및 적대적 반항장애 등의 공존질환으로 여러 가지 정서적 문제들로 인해 이차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특히 ADHD 아동의 80%가 청소년기에도 같은 증상을 보이며, 많게는 50-75%의 아동이 성인기에도 ADHD 증상을 보인다(Kessl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iederman, J., Kwon, A., Aleardi, M., Chouinard, V. A., Marino, T., Cole, H., et al. (2005). Absence of gender effects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indings in nonreferred subject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 1083-1089.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July). Diagnose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United States, 2004-2006. Vital and Health Statistics, 10(237), 1-22. Retrieved August 10, 2010, from http://www.cdc.gov/nchs/data/series/sr_10/Sr10_237.pdf 

  3. Chang, E. J. (2005). A preliminary study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childre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3(1), 63-84. 

  4. Cho, S. C. (2001).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6. DuPaul, G. J., Barkley, R. A., & Connor, D. F. (1998). Stimulants. In R. A. Barkely (E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pp. 510-551). New York: Guilford Press. 

  7. Eun, K. S., Ryu, S. Y., & Jung, C. H. (2005). Distribution change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1, 78-88. 

  8. Gaub, M., & Carlson, C. L. (1997). Gender differences in ADHD: A meta-analysis and critical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6, 1036-1045. 

  9. Hedges, L. V., & Olkin, I. (1983). Regression models in research synthesis. The American Statistician, 37, 137-140. 

  10. Jeong, Y. C., Lee, J. B., Park, H. B., Cheung, S. D., Sung, H. M., & Sakong, J. K. (2001). Developmental change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7(1), 137-146. 

  11. Kessler, R. C., Adler, L., Barkley, R., Biederman, J., Conners, C. K., Demler, O., et al. (2006).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DHD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3, 716-723. 

  12. Kim, M. D. (2008). Research trend of ADHD: Based on the articles in KRH registered (proposed) journal of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4, 279-299. 

  13. Lee, H. L., & Hwang, S. T. (1996). Clinical stud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7(1), 14-22. 

  14. Lee, J. B., Bae, J. W., Cheung, S. D., Kim, J. S., Seo, W. S. Bai, D. S., et al. (2003).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with attention deficit or hyperactivity. Journal of Korean Nueropsychchiatric Association, 42, 231-245. 

  15. Lee, S. J., Ha, E. H., & Oh, K. J. (2008). Discriminating of ADHD children with K-CBCL sub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 191-207. 

  16. Littman, E. B. (2000). ADHD underdiagnosed in girls. Family Practice News. Retrieved April 1, 2000 from http://www.highbeam.com/doc/1G1- 62050618.html 

  17. Majewicz-Hefley, A., & Carlson, J. S. (2007). A meta-analysis of combined treatments for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Journal of Attention Disorders, 10, 239-250. 

  18. Nylund, D. (2008). Treating huckleberry finn (M. H. Kim, Trans.). Seoul: Inner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19. Orwin, R. G. (1983). A fail-safe N for effect size.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 157-159. 

  20. Park, J. H., & Kim, Y. H. (2008). Analysis of relationship to the enjoyment for physical activity and the rate, on the sex and the age, of ADHD children in DSM-IV-T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7, 801-809. 

  21. Seo, J. Y., & Park, W. J. (2010). The meta analysis of trends the effects of non-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school aged ADH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9, 117-132. 

  22. Silver, L. B. (1990).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s it a learning disability or a related disorder? Journal of Leaning Disabilities, 23, 394-397. 

  23. Van der Oord, S., Prins, P. J. M., Oosterlaan, J., & Emmelkamp, P. M. (2008). Efficacy of methylphenidate, psychosocial treatments and their combination in school-aged children with ADHD: A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8, 783-800. 

  24. Wolraich, M. L., Wibbelsman, C. J., Brown, T. E., Evans, S. W., Gotlied, E. M., Knight, J. R., et al. (2005).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mong adolescents: A review of the diagnosis, treatment, and clinical implications. Pediatrics, 115, 1734-17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