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 군산 연안의 2001년부터 2010년까지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변동
The Variation of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the Costal Area of Gunsan, Yellow Sea from 2001 to 2010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17 no.4 = no.47, 2011년, pp.357 - 365  

허승 (국립수산과학원) ,  권정노 (국립수산과학원) ,  박종수 (국립수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0년까지 년 4회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조사시기별 및 정점별 변동을 분석하였다. 용존성무기질소(DIN)의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과 저층 모두 비슷한 농도 분포를 보였는데, 10년간 표층 평균은 0.421mg/L(0.198~0.846mg/L)였고, 저층 평균은 0.344mg/L(0.148~0.717mg/L)였다. 연도별 평균값은 표층에서 2002년 0.846mg/L로 가장 높았고 그 이후 차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2010년 0.198mg/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층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군산연안의 10개 정점에서의 DIN의 10년간 평균의 암모니아질소, 아질산질소 및 질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27%, 3% 및 70%정도로서 대부분 질산질소였으며, 표 저층간의 차이도 거의 없었다. 용존성무기인(DIP)의 연 평균값은 2002년 저층에서 0.085mg/L로 높은 값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표 저층간의 농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10년 평균이 0.024mg/L 였으나, 2008년 0.021mg/L, 2009년 0.007mg/L, 2010년 0.008mg/L로 농도가 급격히 낮아졌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DIN/DIP 농도비를 비교한 결과 표층에서 평균 6.0(3.2~10.1), 저층에서 평균 4.6(2.6~7.0)으로서 2002년을 제외하고는 연도별 및 표 저층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2004년부터 조사된 용존성무기규소는 7년 평균이 표층에서 0.372mg/L, 저층에서 0.352mg/L로 표 저층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표층에서 2005년 평균 0.552mg/L, 2006년 평균 0.575mg/L의 값을 보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9년에는 0.130mg/L로 최소값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염분과 용존성무기영양염류와의 10년간 상관관계는 표층에서 용존성무기질소는 -0.72, 용존성무기인은 -0.46, 용존성무기규소는 -0.63 이었으며, 저층은 용존성무기질소는 -0.70, 용존성무기인은 -0.44, 용존성무기규소는 -0.57로서, 군산 연안의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은 금강으로 부터의 담수유입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금강을 통해 용존성무기질소가 많이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존성무기영양염류는 군산시에 가까운 정점 1, 2, 3에서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금강과 군산시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조사 시기에 따른 농도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연도별 평균값을 보면 2001년부터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그 원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iation of the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were investigated four times per year in the costal area of Gunsan, Yellow Sea from 2001 to 201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10 stations and phsico-chem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includ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suspended solids, dis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해 군산 연안해역에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조사한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용존성무기영양염류의 조사시기별 및 정점별 변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금강이 인근 해역에 미치는 영향 및 새만금방조제 완공 전의 군산 연안의 해양환경에 대한 분석으로서, 최근 군산 인근해역에서 발생한 김황백화 현상에 대한 원인 규명 및 새만금 방조제 축조에 따른 군산 인근 해역의 해양환경변동 연구에 크게 유용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산항의 하역시설 규모는? 군산연안은 금강과 만경강이 유입되며, 최근 군산항은 서해안시대를 맞아 공업생산활동을 갖춘 항구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현재 군산항은 5천∼5만톤급 선박 23척을 동시 접안할 수 있는 4,806 m의 접안시설과 연간 1,734만3천 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시설을 갖추고 있다. 군산항 주변에는 28.
군산 연안해역의 특성은? 군산 연안해역은 금강으로 부터의 담수 유입 영향과 조석, 조류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적으로 수괴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수시로 변하는 해역이다(양 등, 2000). 특히, 담수 유입의 영향으로 염분약층이 형성되어 용존성무기영양염류를 많이 포함한 저염수가 표층수를 형성하며, 풍수기와 갈수기에 따라서 수직적인 염분 차이에 의해서 성층의 강도가 변하는 부분 혼합형 하구의 특성을 보인다(최 등, 2000). 새만금 지역은 전라북도의 주요하천인 만경강과 동진강이 흐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활하수가 이들 지역으로 유입되고 있다.
군산항 주변에 이루어지는 사업은? 군산항 주변에는 28.37 ㎢의 국가․지방산업단지와 군산자유무역지역이 있고, 군산항을 포함한 주변 지역과 새만금지역을 새만금· 군산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여 산업 및 관광단지 조성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권정노, 김종구, 고태승(2001), 장기관측자료에 의한 금강하구둑 수문조작에 따른 수질 변화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348-354. 

  2. 김종구, 김양수(2002),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I.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제35권, pp. 348-355. 

  3. 박승윤, 김형쳘, 김평중, 박경수, 박정숙(2007), 아산연안 수질환경의 특성과 장기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6권, 제12호, pp. 1411-1424. 

  4. 양원석, 최용규, 조성환(2000), 군산연안의 적조발생과 동태 연구, 서해수산연구소보고서, pp. 264-278. 

  5. 양재삼, 김기현, 김영태(2003), 곰소만 조간대 해수 내 질소 성분의 시공간적인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제8권, 제3호, pp. 251-261. 

  6. 유병철, 유선재, 조주환(1994), 금강 하구에 나타나는 황색 수색대의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pp. 97-105. 

  7. 이상호, 권효근, 최현용, 양재삼, 최진용(1999),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II.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한국해양학회지, 제4권, 제4호, pp. 255-265. 

  8. 최용규, 이삼근, 박경구, 이영식(2000), 전북 연안의 담수 유입과 관련된 DIN, DIP의 계절 변화, 국립수산진흥원연구보고, 58, pp. 114-124. 

  9. 최현용, 이상호, 유광우(1999), 금강하구언 대량 방류시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제4권, 제1호, pp. 1-9. 

  10. 해양수산부(2002),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p. 330. 

  11. Antia, N. J., C. D. McAllister, T. R. Parsons, K. Stephens and J. D. H. Strickland(1963), Future measurements of primary production using a large volume plastic sphere. Limnology and Oceanography, Vol. 8, pp. 166-1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