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오미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8 no.3, 2011년, pp.290 - 298  

성기천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 Omija belongs to magnoliaceae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light red-violet color of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th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추출실험에 사용된 기기는 natural extract equipment(국산)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서 오미자의 약리 및 화학적 특성은 항균실험과 염색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항균실험에서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박테리아 균)과 aspergillus niger(곰팡이 균)를 사용 하였고, 이들 균주는 한국화장품 연구소내 미생물 센터에서 협조를 얻어, 실험하였다.
  • 본 연구는 천연 오미자 성분을 추출하여, 오미자 추출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염색실험을 통한 약리, 화학적 특성과 무기 및 유기 성분을 분석, 이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및 기기분석 결과 얻은 결론은? 1. 추출실험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158.0g이 얻어졌고, 오미자 추출수율은 약 19.0%가 나타났으며, 오미자 추출물의 성상은 점성 액체인 적색-자색(red-violet color) 계통의 색상이 나타났다. 2.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시료용액에 미생물인 ATCC-01(staphylococcus aureus)과 ATCC-02(aspergillus niger)를 접종, 배양한 미생물의 생균 수는 배양시간이 72hrs(3day)이후부터 음성반응(negative reaction)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Control-01(staphylococcus aureus)과 Control-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초기부터 미생물의 생균 수가 급격하게 양성반 응(positive reaction)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미자 추출물이 미생물에 항균효과가 있습을 알 수 있다. 3. 오미자 추출물을 염료로 사용하여 섬유인 면(cotton)과 견(silk)에 매염제를 사용하 여, 염색한 결과 미색(ivory color)계통으로 염색이 나타났으며, 이것을 주사용 전자현미경(SEM)으로 학인한 결과 염색상태가 밝고 연하게 나타났다. 이는 오미자 성분이 천연염료로서 사용이 가능함을 알수 있다. 4. 기기분석 결과 ICP/OES 측정에서는 K (107.30ppm), Na(2.110ppm), Ca(0.935ppm), Mg(0.891ppm), Li(0.270ppm) 등의 다양한 무기성분이 검출되었고, GC/MSD 측정에 서는 benzene(10.808), a-pinene(13.996), phenol(14.183), β-terpene(15.840), a-terpinolene(17.616) 등의 방향족 유기 성분이 확인되었다.
오미자는 품종이나 재배환경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오미자는 품종이나 재배환경에 따라 천연의 향기(odor)와 맛(taste), 그리고 천연의 색상 (color)에 다소 차이가 있다. 천연의 향기는 지방족 및 방향족 성분인 알카로이드(alkaloid)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 테르펜(terpene)류, 페놀(phenol)류 등의 성분에 의해서 나타나며, 천연의 맛은 유기산이나 당류에 의해서 나타난 다.
오미자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일반적으로 오미자의 성분은 수분 80.0%, 단백질 1.2%, 지방질1.0%와 기타 포도당, 비타민 -C, 그리고 유기산과 무기염 등의 다양한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 B. Arno, A. Cano, J. F. Alcolea, and M. Acosta, Estimation of Free Radical-Quenching Activity of Leaf Pigment Extracts, phytochem. Anal., 12, 138 (2001). 

  2. H. S. Choi,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izandra Chinensis Seed Extract to Skin, ph.D. Thesis, Department of Biology, Daegu Catholic Graduated School, KDMT 1200961364, 3 (2009). 

  3. F. S. EI. Feraly, S. F. Cheatham, and R. L. Breedlove, Antimicrobial Neolignan of Sassafras Randaiense Roots, J. Natural Product, 46, 493 (1983). 

  4. K. Y. Kim, J. H. Nam, and T. O. Kwon, General component of Omija, Organic Acid and Anthocyanin Color of Omija, Korean J. Food sci. Technol., 5(3), 178 (1973). 

  5. Y. IKeya, H. Taguchi, I. Yosioka, and H. Kobayashi,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 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karm. Bull, 27(6), 1395 (1979). 

  6. Y. IKeya, H. Taguchi, I. Yosioca, H. Kobayashi,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 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karm. Bull., 27(6), 1383 (1979). 

  7. Y. IKeya, H. Taguchi, I. Yosioca, H. Kobayashi,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 III.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karm. Bull., 27(10), 2536 (1979). 

  8. Y. IKeya, H. Taguchi, Ⅰ. Yosioca, H. Kobayashi,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 Ⅳ.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Five New Lignans Gomisin-A, B, C, F and G, and the Absolute Structure of Schizandrin, Chem. Pkarm. Bull., 27(6), 1395 (1979). 

  9. H. J. Kwon and C. S. Park,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Korean J. Food Technol,. 15(4), 587 (2008). 

  10. M. Nomura, M. Nakachiyama, T. Hida, Y. Chtaki, K. Sudo, T. Aizawa, M. Aburada, and K. Miyamoto, I. Gomisin-A, A Lignan Component of Schiandra Fruit, Inhibits Development of Preneoplastic Lesions in Rat Liver by 3-Methyl-1, 4-dimethylaminoazobenzene, Cancer Lett, 76, 11 (1994). 

  11. H. K. Kim, G. M. Na, S. H. Ye, and H. S. Han, Extraction Characteristic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5), 484 (2004). 

  12. B. S. Ko, S. K. Park, S. B. Choi, D. W. Jun, M. K. Choi, and S. M. Park,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Schizandra Fructus, J.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47(2), 258 (2004). 

  13. K. I. Lee, M. G. Lee, and S. W. Lee,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Korean J. Dietary Culture, 4, 173 (1989). 

  14. J. Uitto, M. J. Fazio and D. R. Olsom, Molecular Mechanism of cutaneous Aging, J. Am. Acad. Dermatol., 21, 614 (1989). 

  15. S. H. Lee and M. Y. Chun,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Dyeing of Korea Tradition Natural Dye, KINX2008114116, 5 (2008). 

  16. M. Miski, A. Ulubelen, C. Johnson, and T. J. Mabry, Antibacterial Activity Studies of Flavonoids from Salvia palaestima, J. Natural product, 46(6), 874 (1983). 

  17. Y. K. Kim and K. C. Sung etcs, Introduction to Organic Chemistry, Sci. Tech., 2, 118 (2001). 

  18. K. C. Sung,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rtermisia Extrac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26(1), 309 (2003). 

  19. Y. J. Cho etcs, Biological Activity of Omiz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3), 198 (2007). 

  20. B. B. Ko, S. K. Park, and Choi, A Study on the Blood Sugar Drop Effect of Omija Extrac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2), 258 (2004). 

  21. M. Y. Song, A Study on the Cosmetics Pharmaceutical Effect of Schizandra Chnensis and Application of Cosmetics Industry, Master Thesis, Daegu Oriental Medicine Graduated School, 1 (2007). 

  22. G. S. Lee, S. H. Kim, and S. R. Hong, Experiment of Microbiology, Bureau of Publication, Won Kwang University, 41 (1992). 

  23. S. H Lee and M. Y. Chu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Dyeing of Korean Tradition Nature Dye, KINX 2008114160, 5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