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경부통 환자를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1, 2011년, pp.81 - 92  

장현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현희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송창호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bined exercise program group to conventional physioth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ethods :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groups by experimental(n=17) and control(n=17). Combined exercise program group involved stret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만성 경부통 환자의 통증, 기능, 관절가동범위 및 피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절 가동성 운동 및 스트레칭, 안정화 운동, 근력 및 근지구력 운동, 고유수용성 감각운동이 혼합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만성 경부통 환자들의 통증, 기능, 관절가동범위, 피로도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형태를 제시하여 이에 대한 연구와 환자의 재활에 기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반면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실험 전후 근 피로도 변화에 대한보고는 몇몇의 연구에서 확인되었다(Blakely, 1989; Cram, 198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전후 만성 경부통 환자의 근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일본에서 개발된 설문형 피로 자각증상 조사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러나 근전도를 통해 근피로도를 측정한 요통연구(Standridge 등, 1988)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만성 경부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피로도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경부통을 일으키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한편 만성 경부통을 일으키는 요인은 조직손상과 연관되어지는 명확하고 개연성 있는 병리생리학적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같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아 발생하게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Visser과 van Dieen, 2006). 또한 만성 경부통의 다양한 원인 요소와 더불어 치료적 접근법도 여러 각도에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만성 경부통에 대한 최선의 치료적 접근법에 관한 의견도 학자마다 각각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Hudson과 Ryan, 2010).
경부통으로 인해 발생되는 신체적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특히 교통사고로 인한 편타성 손상을 입은 사람의 경우, 만성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으며 실제로 교통사고 후 44%가 사고 후 2년 이상 경부통을 호소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Brison 등, 2000). 이처럼 지속적이고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경부통은 경추부의 움직임을 방해함으로써 경추관절에 기계적 제한을 일으키고, 그로 인한 관절가동범위의 소실, 근섬유의 위축, 관절유착증, 근경련과 같은 신체적 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Lee 등, 2004). 또한 작업환경에 의해 경추부에 가해지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과 외부적 스트레스는 경추관절 위치변화를 가져오며 이는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자세조절을 담당하는 운동계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Adams과 O'Brien, 2002).
만성 경부통 관리에 능동적 치료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여겨지는 근거는 무엇입니까? 또한 최근에는 여러 연구들을 통해 수동적 치료중 재보다 능동적 치료중재가 경부통 환자의 치료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Gross 등, 2004; Verhagen 등, 2007). Bronfort 등(2001)과 Hoving 등 (2006)도 환자들이 직접 참여하는 치료적 운동이 만성 경부통 관리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능동적 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신체 증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Hakkinen 등(2007)은 만성 경부통이경부근육조직 약화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하면서 약해진 근력을 회복시키는 경부근육운동을 강조하여 설명하였다. Sarig-Bahat 등(2003)는 만성 경부통 환자들에 대한 운동치료가 신체적인 증상을 조절하는 이 점 뿐만 아니라 환자의 능동적 참여로 치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심리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능동적 치료방법은 만성 경부통을 호소하고 있는 환자들의 주관적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며(Taimela 등, 2000), 만성 경부통 환자의 치료적 임상지침에 있어서도 근거 있는 치료로 권고될 수 있다고 하였다(Bekkering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dams JR, O'Brien CJ. Unknow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a review of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Asian J Surg. 2002;25(2):188-93. 

  2. Andersen LL, Kjaer M, Sogaard K et al. Effect of two contrasting types of physical exercise on chronic neck muscle pain. Arthritis Rheum. 2008;59(1):84-91. 

  3. Bekkering GE, Engers AJ, Wensing M et al. Development of a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physiotherapy guidelines on low back pain. Aust J Physiother. 2003;49(3):208-14. 

  4. Blakely WW. EMG diagnostic scanning: a selec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sychosom. 1989;36(1-4):35-6. 

  5. Boonstra MC, De Waal Malefijt MC, Verdonschot N. How to quantify knee functio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Knee. 2008;15(5):390-5. 

  6. Brison RJ HL, Pickett W. A prospective study of acceleration-extension injuries following rear-end motor vehicle collisionsy. Journal of Musculoskeletal Pain. 2000;8(1-2):97-113. 

  7. Bronfort G, Evans R, Nelson B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xercise and spinal manip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2001;26(7):788-97. 

  8. Chiu TT, Hui-Chan CW, Chein 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ENS and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Clin Rehabil. 2005;19(8):850-60. 

  9. Cram JR. Surface EMG recordings and pain-related disorders: a diagnostic framework. Biofeedback Self Regul. 1988;13(2):123-38. 

  10. David J, Modi S, Aluko AA et al. Chronic neck pain: a comparison of acupuncture treatment and physiotherapy. Br J Rheumatol. 1998;37(10):1118-22. 

  11. Dusunceli Y, Ozturk C, Atamaz F et al. Efficacy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for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Rehabil Med. 2009; 41(8):626-31. 

  12. Eltayeb S, Staal JB, Hassan A et al. Work related risk factors for neck, shoulder and arms complaints: a cohort study among Dutch computer office workers. J Occup Rehabil. 2009;19(4):315-22. 

  13. Evans R, Bronfort G, Nelson B et al. Two-year follow-up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spinal manipulation and two types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2;27(21):2383-9. 

  14. Falla D, Bilenkij G, Jull G.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demonstrate altered patterns of muscle activation during performance of a functional upper limb task. Spine(Phila Pa 1976). 2004;29(13):1436-40. 

  15. Ferrari S, Monticone M. Efficacy of a multimodal rehabilitation program in a dental hygienist with upper quadrant disorders. Description of a case report with one-year follow-up. G Ital Med Lav Ergon. 2009;31(4):407-13. 

  16. Gross AR, Hoving JL, Haines TA et al. Manipulation and mobilisation for mechanical neck disorder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4;(1):CD004249. 

  17. Hakkinen A, Salo P, Tarvainen U et al.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stretching on neck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chronic neck pain. J Rehabil Med. 2007;39(7):575-9. 

  18. Hanten WP, Olson SL, Russell JL et al. Total head excursion and resting head posture: normal and patient compari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62-6. 

  19. Hoving JL, Koes BW, de Vet HC et al. Manual therapy, physical therapy, or continued care by a general practitioner for patients with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Intern Med. 2002;136(10):713-22. 

  20. Hudson JS, Ryan CG. Multimodal group rehabilitation compared to usual car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A pilot study. Man Ther. 2010;15(6): 552-6. 

  21. Jull G, Falla D, Treleaven J et al. Retraining cervical joint position sense: the effect of two exercise regimes. J Orthop Res. 2007;25(3):404-12. 

  22. Kjellman G, Oberg B, Hensing G et al. A 12-year follow-up of subjects initially sicklisted with neck/shoulder or low back diagnoses. Physiother Res Int. 2001;6(1):52-63. 

  23. Kogler A, Lindfors J, Odkvist LM et al. Postural stability using different neck positions in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neck trauma. Acta Otolaryngol. 2000;120(2):151-5. 

  24. Lafond D, Champagne A, Cadieux R et al. Rehabilitation program for traumatic chronic cervical pain associated with unsteadiness: a single case study. Chiropr Osteopat. 2008;16:15. 

  25. Lee H, Nicholson LL, Adams RD. Cervical range of motion associations with subclinical neck pain. Spine. 2004;29(1):33-40. 

  26. Meeus M, Nijs J. Meirleir KD.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patients with the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Eur J Pain. 2007;11(4):377-86. 

  27. Pikula JR. The effect of spinal manipulative therapy (SMT) on pain reduction and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acute unilateral neck pain: a pilot study. J Can Chiropr Assoc. 1999;43(2):111-19. 

  28. Punnett L, Wegman D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epidemiologic evidence and the debate. J Electromyogr Kinesiol. 2004;14(1):13-23. 

  29. Roijezon U, Bjorklund M, Bergenheim M et al. A novel method for neck coordination exercise--a pilot study on persons with chronic non-specific neck pain. J Neuroeng Rehabil. 2008;5:36. 

  30. Sarig-Bahat H. Evidence for exercise therapy in mechanical neck disorders. Man Ther. 2003;8(1):10-20. 

  31. Sjolander P, Michaelson P, Jaric S et al. Sensorimotor disturbances in chronic neck pain-range of motion, peak velocity, smoothness of movement, and repositioning acuity. Man Ther. 2008;13(2):122-31. 

  32. Standridge RK, Kondraske GV, Mooney V et al.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myoelectric spectral moment changes: analysis of common parameters. IEEE Trans Biomed Eng. 1988;35(10):789-97. 

  33. Taimela S, Takala EP, Asklof T et al. Activ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a prospective randomized intervention. Spine (Phila Pa 1976). 2000;25(8):1021-7. 

  34. Verhagen AP, Scholten-Peeters GG, van Wijngaarden S et al. Conservative treatments for whiplash.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7;18(2):CD003338. 

  35. Visser B. van Dieen JH. Pathophysiology of upper extremity muscle disorders. J Electromyogr Kinesiol. 2006;16(1):1-16. 

  36. Ylinen J, Kautiainen H, Wiren K et al. Stretching exercises vs manual therapy in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trial. J Rehabil Med. 2007;39(2):126-32. 

  37. Ylinen J, Takala EP, Nykanen M et al. Active neck muscle training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eck pain in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3;289(19):2509-16. 

  38. Young IA, Cleland JA, Michener LA et al.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patient-specific functional scale, and numeric pain rating scale in patients with cervical radiculopathy. Am J Phys Med Rehabil. 2010;89(10):8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