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에 관한 연구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1, 2011년, pp.115 - 126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differences in work environment,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in nurses in Korea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Method: Participants were 242 nurses working in 13 general hospitals. Burn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진현상이 집단적 경향을 보이는 특성상 여러 병원 혹은 특정병동 또는 부서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 볼 것을 제안한 타 연구(June & Byun, 2009)를 토대로, 병상규모, 인력, 운영실태 등이 각각 다른 전국의 신생아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간호 관리자와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 업무환경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 정도를 파악해 봄으로써 신생아중환자실 업무환경에 대해 살펴볼 기회를 갖고 추후 조직 및 인력관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신생아중환자실 간호 관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업무환경과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신생아중환자실 조직 및 인력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신생아 중환자실의 간호업무환경과 간호사들의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정도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이라는 특수 단위를 단일 대상으로 하여 병원신생아간호사회에 등록된 전국의 1700 여명의 회원 중 240 여명의 간호 관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을 살펴본 첫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미숙아 출생률은 국가의 중요한 보건지표이며 과거에는 생존할 수 없었던 고위험신생아들의 치료성적을 증가시키는 데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 관리자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 업무환경에 따른 업무 스트레스, 이직의도 및 소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중환자실은 어떤 곳인가? 신생아중환자실은 생후 28일 이내의 아기 중 출생 시 체중이나 재태기간과 무관하게 출산과정이나 자궁 외 생활로의 적응과정에서 야기되는 상태나 환경으로 인해 이환율과 사망률이 평균보다 높은 고위험신생아와 37주 미만의 미숙아를 살리고 치료하는 곳이다. 국가와 지역 간의 의료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근 주산의학과 신생아학의 눈부신 발달 및 신생아집중치료의 발전으로 1500g 미만 극소미숙아의 생존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으며(KSIS, 2011) 특히 1,000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 즉, 초미숙아(micropremie)인 재태연령 23+3주, 출생체중 441g 까지도 생존하고 있는데(Chang et al.
소진이란? 소진은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의 결여 증상으로 개념화되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여 조직구조, 스케줄, 인력, 업무량, 관리여부, 사회적 지지, 공격적이며 위압적인 보호자, 의사소통 부재 등의 외적요인과 스트레스 대처기전, 자아상, 강인성 등 내적 요인이 파악된 바 있으며 두통, 혈압, 과민성대장증상과 같은 신체적 증상과 업무에 대한 동기부여 저하, 냉소주의(cynicism),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행동학적 증상이 그 특징으로 나타나게 된다(Maslach, 1997). 중환자실은 환자의 간호에 간호사의 역할이 일차적으로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들이 겪게 되는 스트레스로 결국 소진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부정적인 자아개념과 직업적 태도를 가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른 구성원과의 협동심과 사기를 저하시키고 환자간호에도 악영향을 끼치며 간호조직의 결과로 볼 수 있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Aiken et al.
소진 결과에 따르는 경제적 비용을 기업이나 기관입장에서는 하찮은 일로 취급해서는 안되는 이유는? , 2002; Cho & Kim, 2010; Dessy, 2009; June & Byun, 2009; Moon, 2010; Park, 2002; Song, Kang & Lee, 1998; Yoon & Kim, 2010). 소진으로 인해 이직이 발생하게 되면 생산성 감소, 전문가 손실, 추가적인 고용과 훈련이 요구되며, 직원들은 열정적으로 업무에 임하기보다는 최소한의 노력만 하게 된다. 따라서 소진 결과에 따르는 경제적 비용을 기업이나 기관입장에서는 하찮은 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iken, L. H., Clarke, S. P., Sloane, D. M., Soklaski, J., & Silber, J. H. (2002). Hospital nurse staffing and patient mortality, nurse burnout and job dis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8(16), 1987-1993. 

  2. Baernhold, M., & Mark, B. (2009). The nurse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ates in rural and urban nursing unit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8), 994-1001. 

  3. Chang, Y. S., Kim, Y. J., Koo, S. H., Lee, J. H., Hwang, J. H., Choi, C. W., et al. (2005). Outcomes and management of fetal infants with birth weight below 500g at a tertiary center.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48(9), 939-945. 

  4. Cho, C. H., & Kim, M. S. (2010, November). An effect of nurse's job stress and job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large-sized hospital in Daegu, Gyungyk area,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366-380. 

  5. Cho, Y. A., Kim, G. S., Kim, E. S., Park, H. M., Yu, M., Lim, E. O., et al. (2009).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29-141. 

  6. Choi, H. Y. (1994). A study on affecting factors of social workers burnou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Choi, K. J. (2007).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hee University, Seoul. 

  8. Dessy, E. (2009). Effective communication in difficult situation: Preventing stress and burnout in the NICU. Early Human Development, 85(10), S39-S41. 

  9. Gillespie M., & Melby, V. (2003). Burnout among nursing staff in accident and emergency and acute medicine: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2(6), 842-51. 

  10. Gu, M. O. & Kim, M. J. (1985). An analytic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39-49. 

  1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9). 2009 Business report. Seoul: Author. 

  12. June, K. J. & Byun, S. W. (2009). Nurse's burnout research throughout the past 10 yea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3), 305-313. 

  13. Kang, M. J., & Lee, H. J. (2006).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communication related factors and personnel turnover rat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681-690. 

  14. Kim, H. K., et al. (2005).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of the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0(2), 7-18. 

  15. Kim, H. O., & Lee, B. S. (2001). The influence of nur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n intention of resigna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7(1), 85-95. 

  16. Kim, S. I., & Kim, J. A. (1997). A study on nursing unit culture, efficiency on nursing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2), 17-40. 

  17. Kim, W. O., Moon, S. J., & Han, S. S. (2010). Contingent nurses' burnout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6), 882-891.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1). Statistics of birth in whole nation & cities and provinces (1998-2009). Retrieved January, 2011, from http://kosis.kr/abroad/abroad_01 List.jsp. 

  19. Lee, J. H. (2005). Work stress and coping type of nurses by clinical ladd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Maslach, C., & Jackson, S. E. (198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1. Maslach, C., &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1st Ed.). CA: Jossey-Bass. 

  22. Maslach, C. (2004). Different perspectives on job burnout. Contemporary psychology. APA Review of books, 49(2), 168-170. 

  23. Moon, S. J. (2010).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 of changing work plac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hee University, Seoul. 

  24. Park, C. S. (2002).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8(4), 550-558. 

  25. Park, S. Y. (1994).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s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level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Pape T. M., Guerra, D. M., Muzquiz, M., Bryant, J. M., Ingram, M., Schranner, B., et al. (2005). Innovative approaches to reducing nurses' distractions dur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6(3), 108-16. 

  27. Shin, K. O. (2001). An analysis of job stress in NICU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8. Shin, S. M. (2008). Current status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51(3), 243-247. 

  29. Song, M. S., Kang, K. J., & Lee, M. H. (1998).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experience among nephrolog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0(1), 32-47. 

  30. Yoon, G, S., & Kim, S. Y. (2010). Influence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507-5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