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분식 유동층 반응기에서 석탄과 촤의 매체순환연소 특성
Chemical Loop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oal and Char in a Batch Type Fluidized Bed Reactor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2 no.6, 2011년, pp.884 - 894  

류호정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현주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김영주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영성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문희 (호서대학교 통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temperature, volatile content, particle diameter and solid input weight were investigated in the batch fluidized bed reactor using OCN703-1100 particle as oxygen carrier and Roto coal and char as fuels. Two solid fuels represented the best reactivity at different temperature, $9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현상은 상부에서 자유낙하에 의해 주입되는 고체연료의 입자크기 변화에 따라 고체연료와 산소공여입자의 반응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체연료의 입자크기 변화에 따른 고체연료-산소공여입자 사이의 혼합특성을 명확하게 관찰하기 위해 투명아크릴로 제작된 유동층 수력학특성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연료의 입자크기가 변화할 때 고체연료와 산소공여입자의 혼합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각적으로 관찰하였다.
  • 결과적으로 유동층반응기에서 배출되는 기체에는 유동화기체로 사용된 질소(N2), 수분증발 및 고체연료에 포함된 수소성분의 연소에 의한 수증기(H2O), 고체연료에 포함된 탄소의 완전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CO2), 고체연료에 포함된 탄소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CO), 고체연료에 포함된 휘발분의 탈휘발에 의한 발생기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O2, CH4, CO, CO2, H2, NO를 측정할 수 있는 온라인 기체분석기를 사용하였으며 측정가능한 기체농도를 바탕으로 고체연료와 산소공여입자의 반응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유동층반응기에서 배출되는 기체 중 질소와 수증기의 농도는 측정할 수 없으며, 환원반응동안 O2, NO는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환원반응동안 고체연료의 연소특성은 CH4, CO, CO2, H2 농도를 기준으로 해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체연료 매체순환연소에 미치는 휘발분의 영향과 고체연료의 투입방법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를 위해 매체순환연소시스템의 연료로 Roto coal과 촤(char, Roto coal의 휘발분 제거)를 사용하여 고체연료의 매체순환연소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휘발분의 영향 및 연료투입방법(고체연료의 투입질량, 입자크기)의 영향을 측정 및 고찰하였다.
  • 한편 600℃와 700℃ 조건에서는 Roto coal과 char의 차이를 확연하게 구분하기는 어려웠다. 한편 Fig.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oto coal과 char 모두 같은 온도에서 연료투입 질량이 증가함에 따라 CO2 상대농도가 증가하고 CO, CH4, H2 상대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 실험결과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탄을 연료로 이용하는 매체순환연소에 대한 연구는 어느 나라에서 수행되어 오고 있는가? 현재 공정실증 및 상용화단계에 진입하였고, 2008년부터는 천연가스보다 풍부하고 값싼 연료인 석탄을 매체순환연소기의 연료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었다7). 석탄을 연료로 이용하는 매체순환연소에 대한 연구는 스웨덴, 미국, 스페인, 중국 등에서 수행되어 오고 있으며 아직 초기단계(조업조건 선정, 공정개선, 산소공여입자 개발)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며10) 석탄에 포함된 회분과 황성분에 의한 반응성 저하, 고체연료의 연소 후 남는 회의 처리 문제 등 해결해야할 애로사항이 남아있다.
매체순환연소 기술이란? 매체순환연소(CLC, chemical looping combustion) 기술은 공정 내에서 별도의 분리설비 없이 CO2를 원천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thermal NOx의 발생이 없으며 발전효율이 높아 차세대 저공해-고효율 발전기술로 관심을 얻고 있다1).
별개의 환원-산화반응은 직접 연소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가? 산화반응은 기체-고체 반응이며 연료와 공기가 섞이지 않고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 NOx 연소가 가능하다. 한편, 환원반응에 의한 기체 생성물은 CO2와 수증기(H2O)뿐이므로 수증기를 응축하여 제거하면 고농도의 CO2를 공정 내에서 원천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 J. Ryu : " $CO_{2}-NO_{x}$ free chemical- looping combustion technology", KOSEN report, http://www.kosen21.org, 2003. 

  2. H. J. Ryu, K. S. Kim, Y. S. Park, and M. H. Park,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Oxygen Carrier Particle for Chemical-looping Combustor with Different Fuels",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0, No. 1, 2009, pp. 45-54. 

  3. H. J. Ryu, Y. C. Park, S. Y. Lee, and H. K. Kim, "Development of Solid Separator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in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Korean Chem. Eng. Res., Vol. 47, No. 2, 2009, pp. 195-202. 

  4. H. J. Ryu, and G. T. Jin, "Reactivity and Attrition Resistance of Three Oxygen Carrier Particles for Chemical-Looping Combustor",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15, No. 3, 2004, pp. 208-219. 

  5. H. J. Ryu, K. S. Kim, Y. S. Park, and M. H. Park, "Natural Gas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ass Produced Oxygen Carrier Particles for Chemical-Looping Combustor in a Batch Type Fluidized Bed Reactor",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0, No. 2, 2009, pp. 151-160. 

  6. H. J. Ryu, S. Y. Lee, H. K. Kim, and M. H. Park, "Effect of $CO_{2}$ concentration on Reduction Reactivity of Oxygen Carriers for Chemicallooping Combustor",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0, No. 3, 2009, pp. 245-255. 

  7. A. Lyngfelt, "Oxygen Carriers For Chemical- Looping Combuction-Operational Experienc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Looping, March 17-19, IFP-Lyon, France, Available on CD, 2010. 

  8. L. S. Fan, "Chemical Looping Processes",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Looping, March 17-19, IFP-Lyon, France, Available on CD, 2010. 

  9. J. Adanez, "Oxygen Carrier Materials for Chemicallooping Processes-Fundamentals",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Looping, March 17-19, IFP-Lyon, France, Available on CD, 2010. 

  10. H. J. Ryu, Y. J. Kim, Y. S. Park, and M. H. Park, "Reaction Characteristics of Coal and Oxygen Carrier Particle in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Tra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22, No. 2, 2011, pp. 213-222. 

  11. N. Berguerand, N., Lyngfelt, A., Markstrom, P. and Linderholm, C., "Chemical Looping Combustion of Solid Fuels in a 10 kWth Pilot",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Looping, March 17-19, IFP-Lyon, France, Available on CD(2010). 

  12. L. Shen, J. Wu, Z. Gao, and J. Xiao, "Reactivity Deterioration of $NiO/Al_{2}O_{3}$ Oxygen Carrier for Chemical Looping Combustion of Coal in a 10 kWth Reactor", Combustion and Flame, Vol. 156, 2009, pp. 1377-1385. 

  13. S. D. Kim, K. J. Woo, S. K. Jeong, Y. J. Rhim, and S. H. Lee, "Production of Low Ash Coal by Thermal Extraction with N-methyl-2-pyrrolidinone", Korean J. Chem. Eng., Vol. 25, No. 4, 2008, pp. 758-763. 

  14. S. D. Kim and S. H. Lee, "Technology for the Preparation of Ash-free Coal from Low Rank Coal(LRC)", Korean Chem. Eng. Res., Vol. 46, No. 3, 2008, pp. 443-4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