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에 의한 장폐색에 관한 연구
Mecon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원문보기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14 no.1, 2011년, pp.52 - 58  

홍기배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성인창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이건송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장영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  송희승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은 장관 영양을 지연시키고 장폐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원칙은 아직 논란 중이다. 본 연구는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 관장 후 장폐색 증상 호전, 장관영양의 진행,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극소저출생체중아 중에 태변 장폐색으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14명의 임상 소견과 방사선 소견, 장관 영양의 진행,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 후 호전 여부,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이들의 주요임상 소견을 장폐색 증상 없이 수유 진행이 가능하였던 극소저출생체중아 18명과 비교 하였다. 결 과: 1)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 장폐색이 없었던 극소저출생체중아에 비해 낮은 5분 Apgar 점수를 보였다(p<0.05). 또한, 출생 후 마지막 태변 배출시기(일), 첫 수유 시작 시기(일), 전 장관 영양 도달 시기(일)들도 의미 있게 지연되었다(p<0.05). 2)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14명에서 18 회를 시행하였다. 18회 중 12회에서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11회에서 관장 후 다량의 태변 배출과 함께 장폐색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1예는 호전이 없어 회장절개술로 태변을 제거하였다. 3)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 못한 5명 중 3명에서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조영제 관장을 재시행 하여 조영제가 회장말단에 도달하였고 장폐색 증상이 호전되었다. 4) 고삽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에서 고삼투압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ecno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which delays enteral feeding and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owel obstruction, can be diagnosed and treated with hyperosmolar water-soluble contrast ene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linical findings of m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은 장관 영양을 지연시키고 장폐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원칙은 아직 논란 중이다. 본 연구는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 관장 후 장폐색 증상 호전, 장관 영양의 진행,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이에 연구자들은 국내의 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극소저출생체중아 중에 태변 장폐색으로 진단 및 치료를 받았던 환아들에게 태변 장폐색의 발생과 연관된 주요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의 치료 효과와 합병증을 관찰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변 장폐색이란? 극소저출생체중아의 태변 장폐색(meconium obstruction)은 농축된 태변이 미숙한 장운동과 연계되어 주로 회장 말단(terminal ileum)에 축적되어 장폐색을 보이는 질환이다1,2). 극소저출생체중아의 태변 장폐색은 기능적 장폐색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졌으나 최근까지도 진단과 치료의 명확한 기준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다3,4).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에서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은 어떤 경우인가?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의 감별진단으로는 괴사성 장염, 선천 거대 결장증, 회장 폐쇄증(ileal atresia)이 있고 태변이 회장 말단에 농축된 경우 장천공이 더 흔하게 발생하고 이런 경우는 조영제가 회장까지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내과적인 치료에 호전을 보이기 힘들다3). 수술적 치료의 적응증은 환아의 상태가 악화되고 복부팽만이 심해지고 장천공이 발생하는 경우이다3).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 치료로 시도되는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어떤 어려움 때문에 정확한 지침이 없는가? 따라서, 태변 배출 지연, 복부 팽만, 장음 증가, 경구 수유 지연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는 조산아에서 태변 장폐색의 빠른 진단과 정확한 처치는 적절한 장관 영양 진행과 장폐색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이는데 중요하다1,3,5).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의 치료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시도되고 있으나 환아를 투시검사실로 이동해야 하고 탈수와 천공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 때문에 아직 정확한 지침이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hinohara T, Tsuda M, Koyama N. Management of meconium-related ileus in very low-birthweight infants. Pediatr Int 2007;49:641-4. 

  2. Durkin EF, Shaaban A. Commonly encountered surgical problems in the fetus and neonate. Pediatr Clin North Am 2009;56:647-69. 

  3. Garza-Cox S, Keeney SE, Angel CA, Thompson LL, Swischuk LE. Meconium obstruction in the very low birth weight premature infant. Pediatrics 2004;114:285-90. 

  4. Emil S, Nguyen T, Sills J, Padilla G. Meconium obstruction in extremely low-birth-weight neonates: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management. J Pediatr Surg 2004;39:731-7. 

  5. Haiden N, Jilma B, Gerhold B, Klebermass K, Prusa AR, Kuhle S, et al. Small volume enemas do not accelerate meconium evacu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7;44:270-3. 

  6. Burke MS, Ragi JM, Karamanoukian HL, Kotter M, Brisseau GF, Borowitz DS, et al. New strategies in nonoperative management of meconium ileus. J Pediatr Surg 2002;37:760-4. 

  7. Winfield RD, Beierle EA. Pediatric surgical issues in meconium disease and cystic fibrosis. Surg Clin North Am 2006;86:317-27. 

  8. Siegel MJ, Shackelford GD, McAlister WH. Neonatal meconium blockage in the ileum and proximal colon. Radiology 1979;132:79-82. 

  9. Krasna IH, Rosenfeld D, Salerno P. Is it necrotizing enterocolitis, microcolon of prematurity, or delayed meconium plug? A dilemma in the tiny premature infant. J Pediatr Surg 1996;31:855-8. 

  10. Jawaheer J, Khalil B, Plummer T, Bianchi A, Morecroft J, Rakoczy G, et al. Primary resection and anastomosis for complicated meconium ileus: a safe procedure? Pediatr Surg Int 2007;23:1091-3. 

  11. Noblett HR. Treatment of uncomplicated meconium ileus by Gastrografin enema: a preliminary report. J Pediatr Surg 1969;4:190-7. 

  12. Shim SY, Kim HS, Kim DH, Kim EK, Son DW, Kim BI, et al. Induction of early meconium evacuation promotes feeding toleranc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Neonatology 2007;92:67-72. 

  13. Mihatsch WA, Franz AR, Lindner W, Pohlandt F. Meconium passage in extremely low birthweight infants and its relation to very early enteral nutrition. Acta Paediatr 2001;90:409-11. 

  14. Caniano DA, Beaver BL. Meconium ileus: a fifteen-year experience with forty-two neonates. Surgery 1987;102: 699-703. 

  15. Amodio J, Berdon W, Abramson S, Stolar C. Microcolon of prematurity: a form of functional obstruction. AJR Am J Roentgenol 1986;146:239-44. 

  16. Kenny SE, Vanderwinden JM, Rintala RJ, Connell MG, Lloyd DA, Vanderhaegen JJ, et al. Delayed maturation of the interstitial cells of Cajal: a new diagnosis for transient neonatal pseudoobstruction. Report of two cases. J Pediatr Surg 1998;33:94-8. 

  17. Goo HW, Kim KS, Kim AR, Pi SY, Yoon CH. Sonography- guided Gastrografin Enema for Meconium Plug Syndrome in Premature Newborns: Preliminary Results. J Korean Radiol Soc 2004;50:281-8. 

  18. Park HS, Kim TH, Kim HY, Park JH. Three cases of meconium plug syndrome.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06;009:249-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