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기반을 둔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의 중재모델 사용
Using an Intervention Model for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Specialist Based on a Special Education Supporting Cent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225 - 234  

김세연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수정 (순천제일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기반 작업치료 서비스 전문가가 사용하는 중재모델, 중재장소와 중재시간,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중재모델과 중재 영역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4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의 수행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별치료 모델을 자주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수행을 향상시키는 중재모델과 다른 팀 전문가에게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모델로 개별 치료를 선택하였다. 셋째, 중재모델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수행구성요소의 결함과 팀 책임자의 마인드를 들었다. 넷째, 중재모델의 효과성에 대한 학교작업치료사의 의견과 적용시간, 중재 영역과 중재모델 적용시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기반 작업치료사는 여전히 의료모델에 가까운 중재모델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기반에 효과적인 중재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ntervention model, intervention settings, intervention time, factors influencing selection of intervention mode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model and areas which supporting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ccupational therapist was using.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학교작업치료사가 시행하고 있는 중재모델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학교작업치료사가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전문가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작업치료사가 적용하고 있는 중재모델과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작업치료 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와 중재영역을 알아보고,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중재모델과 중재시간, 중재 영역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가 사용하고 있는 중재모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학교 및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는 중재모델과 중재모델 선택시 고려사항, 중재장소와 중재영역을 알아보고, 선호하는 중재모델과 중재시간, 중재 영역간에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총 46부의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 교육과정에 장애학생들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 작업치료사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국내의 경우 그 역사가 짧아 학교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정의가 모호할 뿐만 아니라 치료적 중재를 위한 기틀이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교육기반 작업치료서비스 전문가가 적용하는 중재모델, 중재영역과 중재장소를 알아보고,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중재모델과 중재시간, 중재 영역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7월 17일부터 동년 7월 30일까지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를 전공한 치료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발송하고 회수하는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모델 중 하나인 교육모델은 어떤 환경에서 이뤄져야하는가? 학교작업치료가 우리나라보다 앞서 시행되고 있는 선진국의 경우 90년대 후반부터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모델은 패러임의 변화를 겪고 있다[9]. 주요 모델 중 하나는 교육모델(educational model)로 학교 작업치료사는 학업적, 기능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치료서비스는 교실, 운동장, 식당, 복도와 같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10]. 아동의 작업 수행 기능장애는 현재 아동의 작업수행 능력과 교육환경에서의 기대와 요구사이에 불일치의 결과로 발생한다[11].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패턴은 주로 무엇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가?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패턴은 주로 의료모델(medical model)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 모델에 근거한 평가 방법은 ‘상향식(bottom-up)’ 위주의 평가로, 이를 통하여 학생의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감각운동, 인지능력과 같은 하위구성 요소에 치료적 초점을 맞춘다[5][6]. 평가결과에 기초해 치료사는 다른 팀원과 상의나 협력없이 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계획을 개발한다.
의료모델에 근거한 평가 방법은 ‘상향식(bottom-up)’ 위주의 평가로, 이를 통하여 학생의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무엇에 초점을 맞추는가?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패턴은 주로 의료모델(medical model)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데, 이 모델에 근거한 평가 방법은 ‘상향식(bottom-up)’ 위주의 평가로, 이를 통하여 학생의 작업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감각운동, 인지능력과 같은 하위구성 요소에 치료적 초점을 맞춘다[5][6]. 평가결과에 기초해 치료사는 다른 팀원과 상의나 협력없이 치료 목표를 설정하고 중재계획을 개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인적자원부, 특수교육진흥법 일부개정법률(2005.3.24. 공포), 법률 제7395호, 2005. 

  2. 교육인적자원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5.25. 공포), 법률 제8483호, 2007. 

  3. U. 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ve Servic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mprovement Act of 2004, Public Law, 108-446, 2004. 

  4. P. Bose and J. Hinojosa, "Reported experiences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interacting with teachers in inclusive early childhood classrooms,"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62, No.3, pp.289-297, 2008. 

  5. W. Coster, "Occupation-centered assessment of children,"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2, pp.337-344, 1998. 

  6. J. D. Rourk, "Role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Past, present, future,"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0, pp.698-700, 1996. 

  7. P. Kramer and J. Hinojosa, Frames of reference for pediatric occupational therapy(3t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8. A. C. Bundy, A conceptual model of practice for school system therapists-making a differenc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in public schools,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1991. 

  9. J. McDougal, G. A. King, T. Malloy-Miller, J. Gritzen, M. A. Tucker, and J. Evans, "A checklist to determine the methods of intervention used in school-based therapy: Development and pilot testing,"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Vol.19, No.2, pp.53-77, 1999. 

  10.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in early intervention and school-based program.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9, pp.681-685, 2004. 

  11. G. Froleck-Clark and L. A. Miller, "Providing effectiv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Data-based decision making in school-based practice,"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0, pp.701-708, 1996. 

  12. B. E. Hanft and P. A. Place, The consulting therapist: A guide for OTs and PTs in schools, Therapy Skills Builders, 1998. 

  13.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62, No.6, pp.625-683, 2008. 

  14. C. Orr and J. Schkade, "The impac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on defining function in school-based practice," Americ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51, pp.64-69, 1997. 

  15. S. Bazyk and J. Case-Smith,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In J. Case-Smith, J. C. O'Brien,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6th), Mosby, pp.723-730, 2009. 

  16. L. Pape and K. Ryba, Practical considerations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 AOTA Press, PRO-ED, 2004. 

  17. K. J. Barnes and K. D. Turner, "Team collaborative practices between teachers and occupational therapis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5, No.1, pp.83-89, 2001. 

  18. A. Lehman, Special education team-members' perceptions relating to the changing practice pattern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Master Thesis submitted to the school of Occupational therapy of Hadassah and the Hebrew University, Jerusalem, Israel, as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as Master of Science, 2001. 

  19. I. R. McEwen and M. L. Sheldon, "Pediatric Therapy in the 1990s: The demise of the educational versus medical dichotomy,"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Vol.15, No.2, pp.33-45, 1995. 

  20. N. Weintraub and M. Kovshi, "Changing practice pattern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 in Israel," Occupational Therapy International, Vol.11, No.1, pp.40-51, 2004. 

  21. J. Case-Smith and J. Cable,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regarding service delivery models in school-based practice," Occupational Therapy J. of Research, Vol.16, pp.23-44, 1996. 

  22. 오혜원, 김세연,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치료지원 서비스 전문가의 근무환경 및 직무 만족도 조사: 작업치료 전공자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3-37, 2010. 

  23. 이미선, 이유훈, 조광순, 김태준, "한국의 특수교육 지원센터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한국교육, 제33권, 제2호, pp.167-195, 2006. 

  24. A. N. Niehues, A. C. Bundy, C. F. Mattingly, and M. C. Lawlor, "Making a difference: Occupational therapy in the public schools," Occupational Therapy J. of Research, Vol.11, pp.195-211, 1991. 

  25. W. Dunn, Consultation as a process: how, when, and why? In C. B. Royeen (ed.), AOTA self study series: school-based practice for related services(pp.7-4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91. 

  26. W. Dunn, "A comparison of service provision models in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 pilot study," Occupational Therapy J. of Research, Vol.10, No.5, pp.300-320. 1990. 

  27. L. Thress-Suchy, E. Roantee, and N. Pfeffer,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direct and consultativ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School System Special Interest Section, Vol.6, No.3, pp.1-2, 1999. 

  28. D. Reid, T. Chiu, G. Shinclair, S. Wehrmann, and Z. Naseer, "Outcomes of an occupational therapy school-based consultat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fine motor difficulties," Canadian J. of Occupational Therapy, Vol.73, No.4, pp.215-224, 2006. 

  29. B. Raninforth and J. York-Barr, Collaborative team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tegrating therapy and educational services(2nd ed.), Baltimore: Brookes,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