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혁신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361 - 377  

고현숙 (서울과학종합대학원 대학교) ,  김정훈 ((주)BNP 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선행변수, 성과변수 그리고 조절변수간의 통합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의 선행변수로는 자기 효능감외향성을 정하고, 조절변수로는 조직문화로 정하였다. 그리고 성과변수로는 최근에 기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혁신행동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변수가 변혁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과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위계지향과 성취지향 조직문화가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자료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조직 내 팀장급 리더 221명과 리더 각각의 하급자 2명으로 부터 얻은 설문지 442개 모두 221세트의 총 663개이다. 이 데이터를 통해 가설 검증을 위하여 공변량 구조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리더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변혁적 리더십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리더의 외향성은 변혁적 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위계 지향적 문화와 성취 지향적 문화가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three primary purposes, firstly to identify how leader's personal characters influence to his/h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condly to find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fluences to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o explore how organizational cultures moderate between transform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향성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외향성(extraversion)은 개인의 외부 지향적 성격으로 사교성의 강도와 사회적 적응 폭을 의미한다. 이것은 타인과의 교제를 원하는 정도, 타인의 관심을 끌고자 하는 정도, 자발성, 활동성의 의미로도 해석된다[17].
변혁적 리더십은 어떠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변혁적 리더와 부하의 관계는 교환관계가 아니고 리더의 개인적 가치관, 신념에 기반을 두고 있는 관계이다[1]. 변혁적 리더십은 카리스마(charisma), 개별적 배려(individual consideration), 지적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직에서 조직혁신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 조직들은 기대만큼 혁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조직에서 조직혁신이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실제 조직들은 기대만큼 혁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왜냐하면 조직이 가진 문화적 관성을 깨고 혁신을 도입하여 변화를 이룬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혁신을 이루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 문화적 상황을 고려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Y: Free Press, 1985. 

  2. Bommer, Rich, and Rubin, "Changing attitudes about change: longitudinal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 on employee cynicism about organizational chang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6, pp.733-753, 2005. 

  3. 윤대혁, 정순태,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3권, 제3호, pp.139-169, 2006. 

  4. 임준철, 윤정구, "부하에 의해 인지된 상사의 변혁적 및 거래적 리더십이 부하의 혁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자기 권능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Vol.7, pp.1-42, 1999. 

  5. M. Hannan and J. Freeman, "Structural Inertia and Organization 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9, pp.149-164, 1984. 

  6. D. A. Waldman and F. J. Yammarino, "Adding to Contingent-Reward Behavior: The Augmenting Effect of Charismatic Leadership," Group and Organizational Studies, Vol.15, pp.381-394, 1990. 

  7. R. E. Quinn, Deep Change: Discovering the Leader Within, Jossey Bass: San Francisco, 1996. 

  8. P. K. Ahmed, "Culture and Climate for Innovation," European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11 30: 43. 1998. 

  9. T. A. Judge and J. E. Bono,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55, pp.751-765, 2000. 

  10. R. J. House and J. M. Howell, "Personality and charismatic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3, pp.81-108, 1992. 

  11. 백기복, 조직행동연구, 창민사, 2002. 

  12. M. R. Barrick and M. K. Mount,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Vol.44, pp.1-26, 1991. 

  13. J. R. Hollenbeck, and E. M. Whitener, "Reclaiming personality traits for personnel selection: Self-esteem as an illustrative case", Journal of Management, Vol 14, Issue 1, pp81-91, 1988. 

  14. P. M. Wright, K. M. Kacmar, G. C. McMahan, & K. Deleeuw, "Pf(MxA): Cognitive ability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1995, Vol. 21 Issue 6, p1129-1139, 1988. 

  15. B. Barry, & G. L. Stewa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2 NO.1 pp62-78.1997. 

  16. R. Hogan, Handbook of Industrial Psycholog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1991. 

  17. P. T. Jr Costa and R. R. McCra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AR, 1992. 

  18. M. K. Mount and M. R. Barrick,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G. R. Ferris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Vol,13, pp.153-200, Greenwich, CT: JA Press, 1995. 

  19. H. Eysenk, Biological dimensions of personality, In L.A. PervinEd.,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pp.244-276, 1990. 

  20. M. R. Barrick, G. Stewart, J. Neubert, and K. Mount, "Relating member ability and personality to work-team processes and team effective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3, pp.377-391, 1998. 

  21. R. McCrae and P. Costa, "A Five factor theory of personality," In Pervin, L. John, O.P..Eds.,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 2nd ed., 139-153 New York: Guil ord, 1999. 

  22. A. S. Philips, & A. G. Bedeian, "Leader-follower exchange quality: The role of personal and interpersonal attribut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7, Issue 4, p990-1001, 1994. 

  23. C. Silverthorn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personality: a cross cultural evalu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ol.30, pp.303-309, 2001. 

  24. M. E. Gist, "Self-Efficacy: Implication f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2, pp.472-485, 1987, 

  25.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7. 

  26. A. D. Stajkovic, and F. Luthans, "Self-efficacy and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4, No.2, pp.240-261, 1998. 

  27.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and Company, 1997. 

  28. S. B. Button, J. E. Mathieu, and K. J. Aikin, "An examination of relative impact of assigned goals and self-efficacy and personal goals and performance over tim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25, pp.1084-1103, 1996. 

  29. M. A. Mone and D. A. Baker, "A social-cognitive, attributional model of personal goals: An empirical evaluation," Motivation and Emotion, Vol.16, pp.297-321, 1992. 

  30. M. P. Leither, "Copying patterns as predictors of burnout: The function of control and escapist coping patter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2, pp.123-144, 1991. 

  31. G. B. Graen, & T. Scandura, "Toward a psychology of dyadic organizing" In B. Staw, & L. L. Cumming(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9, pp175-208, Greenwich, CT: JAI Press. 1987. 

  32. B. Shamir, R. J. House, & M. B. Arthur, "The motivat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 Science, VOL.4 pp577-95, 1993. 

  33. B. M. Bass, and B. J. Avolio,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Short form 6S, Binghamton, NY: Center for Leadership Studies, 1992. 

  34. A. Nahavandi, A. R. Malekzadeh, and D. A. Waldma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uncertainty on the link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trategic change, Unpublished manuscript, 1995. 

  35. 이화용, 장영철,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사관리연구, 제28권, 제4호, pp.215-247, 2004. 

  36. D. Jung, C. Chow, and A. Wu, "The rol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enhanc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Hypotheses and some preliminary findings," Leadership Quarterly, Vol.14, pp.525-544, 2003. 

  37.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1985. 

  38. G. G. Gordon and N. DiTomaso,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29, No.6, pp.783-798, 1992. 

  39. J. M. Howell and C. A. Higgins, "Champion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2, pp.317-341, 1990. 

  40. J. Schin and G. E. McClomb, "Top Execu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An Investigation of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Social Work Administration, Vol.223, pp.1-21, 1998. 

  41. 서인덕,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특성간의 관련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86. 

  42. R. Harrison,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s Character,"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pp.25-43, 1972, 

  43. R. E. Quinn and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 A 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J. Frost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Beverly Hills, Sage : 315-334, 1984. 

  44. R. A. Jones, N. L. Jimmieson, and A. Griffiths,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shaping Capabilities on Change Implementation Success: The Mediating Role of Readiness for Chang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42, pp.361-386, 2005. 

  45. R. F. Zammuto and E. O'Connor. "Gaini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Benefits: The Roles of Organization Design and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7, pp.701-728, 1992. 

  46. S. A. Dellana and R. D. Hauser, "Corporate Culture's Impact on a Strategic Approach to Quality," Mid-American Journal of Business, Vol.15, No1, pp.9-20, 2000. 

  47. 남승하, "조직의 관리적 혁신의지와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2권, 제1호, pp.171-196, 2008. 

  48. 이환범, 이수창, 심덕보, "행정조직문화 유형과 지방정부 혁신성간의 실증적 연구", 한국지역혁신논집, 제1권, 제1호, pp.21-39, 2006. 

  49. 신진교, "중소기업의 R&D와 기술혁신: 전략 및 조직문화의 역할", 경영연구, 제22권, 제2호, pp.377-397, 2007. 

  50.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5, pp.879-903, 2003. 

  51. M. Riggs and P. A. Knight,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9, pp.755-766, 1994. 

  52. J. M. Burns, Leadership. NY: Harper & Row, 1978. 

  53. J. J. Hater and B. M. Bass, "Superior's evolution and subordinates' perception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3, No.4, pp.695-702, 1988. 

  54. B. J. Avolio, and B. M. Bass, "Individual consideration viewed at multiple levels of analysis: A multi-level framework for examining the diffus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dership Quarterly, Vol.6, pp.199-218, 1995. 

  55. 태정원, "우리나라 기업의 조직문화 유형 및 조직유효성과 관련성 연구: 조직구성원의 지각반응을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Vol.15, pp.227-254, 1991. 

  56. 정인서, 기업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992 

  57.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veness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pp.580-607, 1994. 

  58.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지사, 1992. 

  59. M. D. Ensley, C. L. Pearce, and K. M. Hmieleski,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 Leadership Behavior and New Venture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21, pp.243-263, 2006. 

  60. K. J. Klein, B. Lim, J. L. Saltz, & D. M. Mayer, "How do you get there? An examination of the antecedents of centrality in team network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7, pp952-963, 2004. 

  61. S. Aryee, S. Ld, & I. L. Kang, "Antecedents of early career stage mentoring among Chiness employe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 563-576, 1999. 

  62.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모형과 AMOS, 법문사, 2008. 

  63. R. C. MacCallum, & S. Hong, "Power analysi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using GFI and AGFI".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2, 193-210. 1997. 

  64. J. Cohen, & P. Cohen,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65. 서재현, 김정원(2007). "팀과 조직에 대한 후원인식, 조직몰입 그리고 이탈의도 사이의 관계", 인사관리연구, 31(4), pp103-128.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