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구성원의 셀프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Team Performance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Leadership - Focus on the Employees of Public Enterprises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766 - 777  

배병옥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되고 있는 시점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팀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팀제의 효용성과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직구성원 간에는 교환관계 질을 형성한다는 LMX이론사회교환이론 및 경영환경에 적합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상황이론을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국내 공기업 9개사를 대상으로 총 166개 팀 880명의 유효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20.0을 이용 회귀분석으로 연구가설을 증명하였다. 연구결과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팀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당초 설정된 연구가설을 모두 채택하게 되었다. 특이한 점은 셀프리더십이 낮은 집단에서 그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함의한 바는 팀제 조직에서 팀의 관리자가 셀프리더십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갖고 실천할 수 있는 목표를 부여하여 구성원 스스로가 동기부여 될 수 있도록 배려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해서 팀 성과는 뚜렷이 향상된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implications about the utility of team system and importance of leadership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 leadership has on team performance. This study used the LMX theory & social exchange theory arguing that ex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충분히 발휘되어 조직구성원들의 동기부여가 충만하게 되었을 때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4].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차원인 인지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셋째, 셀프리더십의 또 다른 하위차원인 행위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 더불어서 관계중심 문화가 강하고 대리인 이론이 가장 잘 적용되고 있는 공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표본을 추출하여 분석한 점이 본 연구주제와의 연관성을 높게 하였다. 또한, 기존 선행연구에서 리더십 연구는 개인수준에서 주로 연구되었지만, 본 연구는 팀 단위 수준에서 집단 간 리더십의 차이를 분석하고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의 상호작용 효과가 팀 성과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특징이라고 할 수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셋째, 셀프리더십의 또 다른 하위차원인 행위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본 연구 결과는 팀 단위 수준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두 변인간의 관계를 팀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기업 인사실무에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6%를 차지하는 등 인구 통계적 특성상 계층별로 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팀 단위의 연구인만큼 유효 응답 설문을 팀 단위로 변환하기 위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한 후 팀 수준의 변수 측정값을 산출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변수에 대한 개인 수준의 응답자료를 팀 단위로 변환하기 위해 사전에 데이터 합산(data aggregation)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팀 내 응답자간 일치성(interrater agreement)여부는 rwg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25].
  •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 Leadership)과 팀 성과(Team Performance)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예측하며,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이 이들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리더가 구성원들과 각각의 관계를 맺어 개별적인 교환 관계의 질을 형성한다는 LMX(Leader Member Exchange)이론과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을 추구하는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이다[7].
  • 모든 변수들에 대한 응답을 동일인에게 받았을 경우 응답자의 심리적 특성상 일관성 유지 동기 및 사회적 바람직성 등의 원인으로 동일방법편의(CMB; Common Method Bias)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28].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CMB의 발생위험을 본질적으로 제거하고자 연구변수들을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즉 독립변수와 조절변수 문항은 설문지‘가’형으로, 종속변수 문항은 ‘나’형으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한 것으로, 동일방법편의의 문제점은 제거되었다고 본다.
  •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차원인 인지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셋째, 셀프리더십의 또 다른 하위차원인 행위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본 연구 결과는 팀 단위 수준에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두 변인간의 관계를 팀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이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기업 인사실무에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더구나 이들 둘 변인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는 흔치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충분히 발휘되어 조직구성원들의 동기부여가 충만하게 되었을 때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4].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충분히 발휘되어 조직구성원들의 동기부여가 충만하게 되었을 때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4]. 둘째, 셀프리더십의 하위차원인 인지전략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5].

가설 설정

  • [가설 1]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간의 관계는 긍정적(+)일 것이다.
  • [가설 2] 셀프리더십의 인지전략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가설 3] 셀프리더십의 행위전략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 본 논문에서 셀프리더십의 인지전략과 행위전략이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연구가설은 선행연구 결과에서 힌트를 얻어 설정 되었다[5]. 왜냐하면 팀 성과를 이끄는 것은 리더 혼자만의 힘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팀 구성원들의 셀프리더십 역량정도가 팀장의 리더십 행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부분 기업이 팀제 형태의 조직구조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오늘날 대부분 기업은 팀제 형태의 조직구조를 선호하고 있다. 이는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창의성, 협력 등을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1]. 팀제의 성공여부는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을 자극할 수 리더십에 달려있다[2].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팀제의 성공여부는구성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psychological ownership)을 자극할 수 리더십에 달려있다[2]. Burns[3]에 의하면 리더십이란 ‘리더와 구성원들이 관심사를 매개로 특정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성장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그동안 리더십의 연구과정 단계는 리더십 특성이론(trait theory)에서 출발하여 보편적 리더십을 탐색하는 행위이론(behaviour theory), 그리고 부하 및 조직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을 추구하는 상황이론(situational theory)으로 전개되어 왔다[3][4].
변혁적 리더십의 세부적인 특성은 어떤것이 있는가? 변혁적 리더십의 세부적인 특성에는 카리스마(charisma), 개별적 배려(individual consideration), 지적자극(intellectual stimulation) 등이 있다[9]. 카리스마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리더의 가치관과 비전을 동일시하게 만들어 리더와 강한 유대관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11], 개별적 배려는 리더가 구성원의 개인적 욕구를 파악하여 각 구성원들에게 차별적인 지원과 격려를의미하고, 지적자극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키고 구성원 스스로가 자기결정을 할 수 있도록격려하는 동시에 새로운 도전의식을 갖도록 구성원들을 독려하는 것을 의미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 G. Cohen, G. E. Ledford, and G. M. Spreiter, "A predictive model of self-managing work team effectiveness," Human Relation, Vol.49, No.5, pp.468-478, 1996. 

  2. 김대원, "관료들의 혁신행위 의지 영향요인 분석:임파워링 리더의 행위와 셀프리더십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제25권, 제1호, pp.35-62, 2014. 

  3. J. M. Burns, Leadership, New York; Harper & Row, 1978. 

  4. 이성철, 김홍, "거래적.변혁적 리더십이 팀 임파워먼트 및 성과에 미치는 연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0권, 제6호, pp.936-946, 2008. 

  5. 이상동, 박봉규, "호텔종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임파워먼트와 직무성과 미치는 영향," 관관연구, 제24권, 제6호, pp.313-332, 2010. 

  6. C. C. Manz,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ward, Vol.11, No.3, pp.585-600, 1986. 

  7. P. Bycio, R. D. Hackett, and J. S. Allen, "Further Assessments of Bass's.1985 Conceptualization of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0, pp.468-478, 1995. 

  8. 정재한, 고명철, "공기업에서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행정 논집, 제25권, 제4호, pp.1119-1144, 2013. 

  9. B. M. Ba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New York, Free Press, Vol.35, 1985. 

  10. 신구범, "서비스기업 종업원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7권, 제1호, pp.91-104, 2010. 

  11. W. L. Gardner and B. J. Avolio, "The Charismatic Relationship A Drama Turgical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1, pp.32-58, 1998. 

  12. B. M. Ba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Industrial, Military, and Educational Impact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8. 

  13. B. D. Janz, A. Colquitt, and R. A. Noe, "Knowledge worker team effectiveness: The role of autonomy, interdependence, team development, and contextual Support variables," Personnel Psychology, Vol.50, No.4, pp.877-904, 1997. 

  14. 박창희, 박기동, "팀 리더 역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제15권, pp.37-63, 2001. 

  15. Pamela J. Hinds and Mark Mortensen "Understanding Conflict in Geograohically Distributed Teams: The Moderating Effects of Sharded Identity, Sharded Context, and Spontaneous Communic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16, No.3, pp.290-307, 2005. 

  16. F. J. Yammarino and B. M. Ba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Multiple Levels of Analysis," Human Relations, Vol.43, pp.975-995, 1990. 

  17. J. M. Howell and B. J. Avolio, "The Ethics of Charismatic Leadership: Submission or liberatio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6, pp.43-54, 1992. 

  18. C. P. Neck and C. C. Manz,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13. 

  19. C. C. Manz,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2. 

  20. B. M. Bass and B. J. Avolio, Full Range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Mind Garden, Palo Alto, CA, 1997. 

  21. 고환상, 서재현, "변혁적 리더십, 조직후원인식, 성취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435-459, 2012. 

  22. 장은영, 이광희, 박동진, "변혁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제5호, pp.115-132, 2013. 

  23. G. E. Prussia, J. S. Anderson, and C. C. Manz,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9, pp.523-538, 1998. 

  24. J. C. Henderson and S. Lee, "Managing I/S Design Teams; A Control Theories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Vol.38, No.6, pp.757-777, 1992. 

  25. K. J. Klein and S. W. J. Kozlowski, "From micro to meso: Critical steps in conceptualizing and conducting multileve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 Vol.l3, No.3, pp.211-236, 2000, 

  26. D. A. Kenny and L. LaVoie, "Separating individual and group effec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8, pp.339-348, 1985. 

  27. L. R. James, "Aggregation bias in estimates of perceptual agre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7, pp.219-229, 1982. 

  28. 박원우, "동일방법편의(Common Me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제13권, 제1호, pp.83-133, 2007. 

  29.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pp.879-903, 2003. 

  30. J. R. Hair, J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saddler River, NJ: Prentice Hall, 2006. 

  31.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NY, McGraw-Hill, 1978. 

  32. R. P. Bagozzi, "Further Thoughts on the Validity of Measures of Elation, Gladness, and Jo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pp.98-104, 1991. 

  33. C. Fomell and D. F.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34. A. H. Van de Ven and D. L. Ferry, "Measuring and assessing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1980. 

  35. 신향신, 유태용,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변화몰입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81-306,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