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 유통중인 신선편이 채소류의 미생물 품질 및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 조사
Microbial and Pathogenic Contamination of Ready-to-eat Fresh Vegetabl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2, 2011년, pp.161 - 168  

배영민 (중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홍유진 (중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부) ,  강동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동물생명공학부) ,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유해생물과) ,  이선영 (중앙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 농식품은 일반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직접 신선한 상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되어 있을 경우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에 유통되는 총 20종의 채소에서 총균수, 대장균군, 대장균, 효모, 곰팡이 및 병원성 세균(S. aureus, L. monocytogenes, B. cereus, Salmonella, E. coli O157:H7, C. sakazakii, Shigella, Campylobacter)을 측정하여 신선농식품의 미생물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채소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분포는 각각 3.74-8.04 log CFU/g, 0.16-5.02 log CFU/g 수준이였으며 이중에서 미나리, 새싹, 숙주, 도라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미생물이 관찰되었다. 유기농과 비유기농의 상추와 깻잎의 오염도를 관찰했을 때, 두 군의 일반 미생물 수준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선 농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을 조사하였을 때, 선택배지를 이용한 분리법에서 L. monocytogenes가 배추, 양상추, 오이, 콩나물에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상추, 깻잎, 당근, 미나리, 새싹에서 검출되었으며, Campylobacter의 경우는 20종 모두에서 한번 이상 검출되었다. 이중 API kit로 동정한 결과 총 48개의 시료가 양성으로 판명되었으며 마지막으로 real-time PCR법과 16S rRNA sequencing법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깻잎, 당근, 미나리, 새싹에서 발견된 B. cereus만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부터 몇몇 신선 농식품에서 B. cereus가 검출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총균수와 대장균군의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결과 분리방법에서 선택배지나 API kit를 이용하였을 때 몇몇 병원성 세균에 대해서는 맞지 않는 양성결과가 확인되었으므로 이에 신선 농식품에서 보다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fresh vegetables in Korea. Twenty types of vegetables were tested for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yeast and mold, and pathogenic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통되는 신선 농식품의 일반 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총 20종의 신선 농식품의 총 균수 및 대장균군의 분포는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몇몇 연구결과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에서 유통되는 신선 채소의 미생물적 품질 및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를 조사하여 신선 농식품의 미생물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 채소에 총균수 및 대장균군이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존재하고, 몇몇 신선 채소는 병원성 세균인 B.
  • 최근 신선 농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선 농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을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을 위하여 한국에 유통되고 있는 신선 농식품의 미생물 품질, 오염된 병원성 세균의 종류 및 오염 수준 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유통되는 신선 채소의 미생물 품질 및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20종의 채소류를 5회에 걸쳐 수거하여 각각의 채소에 오염된 총 균수, 대장균군, 대장균, 효모 및 곰팡이의 수준을 조사하였고, 또한 병원성 세균의 오염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총 8종의 병원성 세균(S. aureus, L. monocytogenes, B. cereus, Salmonella, E. coli O157:H7, Cronobacter sakazakii, Shigella, Campylobacter)을 대상으로 오염 여부를 관찰 하였다. 깻잎과 상추의 경우 유기농과 비유기농의 제품을 선정하여 유기농과 비유기농의 일반 미생물 분포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DC 자료 중 미국에서 2005~2007년 사이 신선 농식품과 관련된 식중독 사고의 원인 식품으로 무엇이 있는가? cereus, Clostridium botulinumviruses 등이 과일과 채소와 같은 신선 농식품과 관련하여 식중독 사고 및 국민의 건강상의 문제에 크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 CDC 자료 중 미국에서 2005-2007년 사이 신선농식품과 관련된 식중독 사고의 원인 식품으로는 콩, 양배추, 사과, 바나나, 숙주, 콩나물, 시금치, 당근, 딸기, 수박, 메론, 양파 등이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여러 채소나 과일을 혼합시킨 샐러드 종류가 원인 식품으로 확인되었다(14). 가장 많이 오염된 병원성 세균으로는 Salmonella spp.
신선 농식품과 관련하여 식중독 사고 및 건강상의 문제에 크게 상관성이 있는 병원성 미생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병원성 미생물은 과일과 채소를 씻는 과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아 식중독사고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9),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이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다. 이중 Shigella spp., Salmonella, Escherichia coli O157:H7, Campylobacter spp.,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Yersinia enterocolitica, B. cereus, Clostridium botulinumviruses 등이 과일과 채소와 같은 신선 농식품과 관련하여 식중독 사고 및 국민의 건강상의 문제에 크게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3). CDC 자료 중 미국에서 2005-2007년 사이 신선농식품과 관련된 식중독 사고의 원인 식품으로는 콩, 양배추, 사과, 바나나, 숙주, 콩나물, 시금치, 당근, 딸기, 수박, 메론, 양파 등이 나타났으며, 그 외에도 여러 채소나 과일을 혼합시킨 샐러드 종류가 원인 식품으로 확인되었다(14).
2008년 통계에 의하면 신선 채소와 관련된 식중독 발생이 증가하는 원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그리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샐러드 등 여러 종류의 채소를 생식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새싹 및 양상추 등의 신선 채소와 관련된 식중독 사고가 최근 식중독 발생 통계에서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6,9,10). 2008년 통계에 의하면, 자연계 및 곡류, 채소류에 널리 존재하는 Bacillus cereus에 의한 식중독 건수가 식자재의 오염, 식품 간의 교차 오염 등으로 인하여 증가하고 있으며(11), 그 외 다른 병원성 세균에 의한 식중독도 조리 종사자의 손이나 기구의 혼용에 의해 신선 채소 음식으로 교차 오염이 일어나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2). 병원성 미생물은 과일과 채소를 씻는 과정에서도 제거되지 않아 식중독사고에 관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9),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이 식중독을 야기할 수 있다. 이중 Shigella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i ML, Nei D, Enomoto K, Todoriki S, Kawamoto S. Combination treatments for killing Escherichia coli 0157:H7 on alfalfa, radish, brocooli, and mung bean seeds. J. Food Prot. 72: 631-636 (2009) 

  2. Samara A, Koutsoumanis KP. Effect of treating lettuce surfaces with acidulants on the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storage at 5 and $20^{\circ}C$ and subsequent exposure to simulated gastric fluid. Int. J. Food Microbiol. 129: 1-7 (2009) 

  3. Alegre I, Abadias M, Anguera M, Oliverira M, Vinas I. Factors affecting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on minimally processed apples. Food Microbiol. 27: 70-76 (2010) 

  4. Kroupitski Y, Pinto R, Brandi MT, Belausov E, Sela S. Interactions of Salmonella enterica with lettuce leaves. J. Appl. Microbiol. 106: 1879-1885 (2009) 

  5. Akbas MY, Olmez H. Inactivation of Eschericha coli 0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icegerg lettuce by dip wash treatments with organic acids. J. Appl. Microbiol. 44: 619-624 (2007) 

  6. Gleeson E, O'Beirne D. Effects of process severity on survival and growth of Eschericha coli and Listeria inocua on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Food Control 16: 677-685 (2005) 

  7. Flessa S, Lusk DM, Harris LJ. Survival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 and frozen strawberries. Int. J. Food Microbiol. 101: 255-262 (2005) 

  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Accessed Oct. 20. 2010. 

  9. Beuchat LR. Pathogenic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fresh produce. J. Food Prot. 59: 204-216 (1996) 

  10. De Roever C.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fresh produce. Food Control 9: 321-347 (1998)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Accessed July 20, 2008. 

  12. Park HO, Kim CM, Woo GJ, Park SH, Lee DH, Chang EJ, Park KH. Monitoring and trends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recent years in Korea. J. Fd. Hyg. Safety 16: 280-294 (2001) 

  13. Burnett SL, Beuchat LR.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 Microbiol. Biotechnol. 27: 104-110 (2001) 

  14.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United States annual listing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 Available from: http://www.cdc.gov/foodborne outbreaks/outbreak data.htm. Accessed Aug. 1, 2008. 

  15. Seo KH, Frank JF. Attachment of Eschericha coli 0157:H7 to lettuce leaf surfaces and bacterial viability in response to bacterial viability in response to chlorine treatment as demonstrated by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J. Food Prot. 62: 3-9 (1999) 

  16. Burnett SL, Chen J, Beuchat LR. Attachment of Eschericha coli 0157:H7 to the surface and internal structures of apples as demonstrated by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Appl. Environ. Microbiol. 66: 4679-4687 (2000) 

  17. Lee SY, Costello M, Kang DH. Efficacy of chlorine dioxide gas as a sanitizer of lettuce leaves. J. Food Prot. 67: 1371-1476 (2004)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 Accessed Sep. 10, 2009. 

  19.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vailable from: http://www.fda.gov. Accessed Sep. 13, 2009. 

  20. Solberg M, Buck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990) 

  21.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Lee KH, Kim MG, Lee DH, Kim KS, Ha SD.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d. Hyg. Safety 20: 43-47 (2005) 

  22. Kim JS, Bang OK,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d. Hyg. Safety 19: 60-65 (2004) 

  23. Kim MH, Shin WS.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and cooked foods in middle and high school food service establish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43-1356 (2008) 

  24. Cho JI, Kim KS, Bahk GJ, Ha SD. Microbial assessment of wild cabbage and its control.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62-167 (2004) 

  25. Won YJ, Yoon CY, Seo IW, Nam HS,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Lee KY. The study for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Annu. Rep. KFDA. Korea 6: 521 (2002) 

  26. Jung SH, Hur MJ, Ju JH, Kim KA, Oh SS, Go JM, Kim YH, Im JS.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J. Fd. Hyg. Safety 21: 250-257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