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전 모유수유 교육 방법에 따른 초산모의 산후 모유수유 지식, 방법, 실천율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1, 2011년, pp.90 - 99  

김진경 (강서 미즈메디 병원, 외래 1팀) ,  최혜미 (강서 미즈메디 병원, 신생아실) ,  류은정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individualized versus group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his study addressed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as part of data collection for developing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s. Methods: A quasi-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산전 개별모유수유교육 및 집단모유수유교육이 초산모의 모유수유지식, 모유수유방법 그리고 모유수유 실천율에 어떠한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확인하여 산모와 아기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산전 모유수유 교육에 있어서 개별교육과 집단교육이 초산모의 산후 모유수유 지식, 방법과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산전 모유수유 교육에 있어서 개별교육과 집단교육이 초산모의 산후 모유수유 지식, 방법과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교육방법의 접근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초산모를 대상으로 산전 개별 모유수유 교육과 집단 모유수유 교육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지금까지 모유수유증진을 위한 출산 후 간호중재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존의 산전모유수유교육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산전모유수유에 관한 집단교육과 개별교육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초산모에게 모유수유성공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유는 어떤식품인가? 모유는 아기에게 완전한 영양식품일 뿐 아니라, 감염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도 최상의 식품으로 그 우수성에 대해서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Gulick, 1982). 최근에는 아기에게 전반적인 건강의 이점 및 많은 급성질환과 만성질환의 발병을 줄인다고 보고되고 있다(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ection on Breastfeeding, 2005).
산후 초기 모유수유 실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모유수유는 더 이상 본능적인 행위가 아니며, 배움을 통해 그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방법은 모유수유 자신감에 영향을 준다(Ho & Holroyd, 2002). 수유방법에 대한 지식부족과 모유수유를 방해하는 산모의 유방 형태는 산후 초기 모유수유 실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임신 중 산전 진찰과정에서 유방사정, 모유수유의 기술, 실질적인 방법과 예측된 문제해결을 포함한 적극적인 교육이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는 한 방법이라 하겠다(연승은, 2003; 손인아, 2007; 장군자, 김선희,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성희 (2008). 산전 모유수유 교육 시 모유수유 문제 영상의 교육효과 분석.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2. 김지은 (2003). 우리나라 모유수유교육 및 지원실태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연구논문집 제 33집, 603-629. 

  3. 박소연 (2009). 병.의원보건의료요원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수. 

  4. 박순옥 (2004). 모유수유 지지프로램이 모유수유 태도, 지식, 모유내 Na+량 및 모유 수유 지속률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부산. 

  5. 보건복지가족부.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 통계자료. 196-198. 

  6. 손인아 (2007). 모유수유지식, 태도 및 실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여정희, 홍성철 (2003). 일지역 모유수유지식, 태도, 실천율에 관한 연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7(2), 155-165. 

  8. 연승은 (2003). 산전.후 시기별 모유수유교육이 초산모의 모유 수유지식과 방법 및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9. 유은광, 김명희, 서원심 (2002). 모유수유교육과 분만 후 지속적인 전화상담에 따른 모유수유 실천 율 조사. 여성건강 간호학회지, 8(3), 424-434. 

  10. 이유정 (2009 8. 13.). 모유수유 실기 중심 교육 이루어져야. 간협신보, A3. 

  11. 이은주 (1997). 산전모유수유교육이 모유수유 실천 및 지식정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12. 이현정 (2004). 보건소 진료실을 이용한 개별보건교육이 고혈압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1), 80-89. 

  13. 장군자, 김선희 (2010), 퇴원 후 전화상담을 통한 지속적인 모유수유지지가 모유수유실천에 미치는 효과. 임상간호연구, 16(2), 117-126. 

  14. 정금희 (1997). 모유수유증진 간호중재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15. 조현자 (2007). 모유수유증진 중재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16. 주진옥 (2008). 산후초기 유두,유륜신전성과 착유용이도에 따른 유두통증 및 모유수유실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7. 현태선, 임은영, 강남미, 김기남 (2001). 보건소와 아기 친근병원에서의 모유수유산전 교육 및 지원실태.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4), 678-685. 

  18.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ection on Breastfeeding (2005). Breastfeeding and the use of human milk. Pediatrics, 115(2), 496-506. 

  19. Beske, E. J., & Garvis, M. S. (1982). Important factors in breastfeeding succes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7(3), 174-179. 

  20.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y Bulletin, 112(1), 155-159. 

  21. Dhandapany, G., Bethou, A., Arunagirinathan, A., & Ananthakrishnan, S. (2008). Antenatal counseling on breastfeeding - is it adequate? A descriptive study from Pondicherry, India.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3(5), 1-4. 

  22. Gulick, E. E. (1982). Informational correlates of successful breastfeeding.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7(6), 370-375. 

  23. Helsing, E. (1985). Infant feeding and infectious illness, Repor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24. Ho, I., & Holroyd, E. (2002). Chinese women's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antenatal education in the preparation for motherhood.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8, 74-85. 

  25. Huang, M. Z., Kuo, S. C., Avery, M. D., Chen, W., Lin, K. C., & Gau, M. L. (2007). Evaluating effects of prenatal web-based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me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571-1579. 

  26. Kistin, N., Benton, D., Rao, S., & Sullivan, M. (1990). Breast feeding rate among black urban low-income women :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86(5), 741-746. 

  27. Lin, C. H., Kuo, S. C., Lin, K. C., & Chang, T. Y. (2008). Evaluating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programme on women with caesarean delivery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21), 2838-2845. 

  28. Noel-Weiss, J., Bassett, V., & Cragg, B. (2006). Developing a prenatal breastfeeding workshop to support maternal breastfeeding self-efficac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5(3), 349-357. 

  29. Rosen, I. M., Krueger, M. V., Carney, L. M., & Graham, J. A. (2008).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and breastfeeding outcome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33(5), 315-319. 

  30. Wright, H. J., & Walker, P. C. (1983). Prediction of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primiparas.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37(2), 89-9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