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묵은지 김치를 첨가한 떡갈비 개발
Development of Dduk-Galbi Added with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31 no.2, 2011년, pp.304 - 310  

이재준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옥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이명렬 (조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 음식인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의 레시피묵은지 배추김치를 첨가하여 제품을 개발하였다. 묵은지 김치 첨가 떡갈비 제조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특히 묵은지의 냄새를 완화하고,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묵은지 요리에 허브를 첨가하였다. 대표적인 허브 종류별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허브의 선호도는 rosemary > lemon balm > thyme 순으로, rosemary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묵은지 배추김치를 이용한 요리의 대상으로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를 선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하여 최적의 김치의 첨가 함량을 알아내었고 최적 배합비를 확립하였다. 묵은지 배추김치를 첨가한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쇠고기 떡갈비의 묵은지 김치 첨가 함량은 10%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돼지고기 떡갈비의 묵은지 김치 첨가 함량은 20%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new dduk-galbi was developed by adding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made with solar salt. Dduck-galbi was selected by pre-estimation for main dish to add the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To solve the bad smell of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and enhance the function of the foo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 음식인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의 레시피에 묵은지 배추김치를 첨가하여 제품을 개발하였다. 묵은지 김치 첨가 떡갈비 제조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특히 묵은지의 냄새를 완화하고,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묵은지 요리에 허브를 첨가하였다. 대표적인 허브 종류별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허브의 선호도는 rosemary > lemon balm > thyme 순으로, rosemary 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묵은지 김치를 첨가한 쇠고기 떡갈비와 돼지고기 떡갈비를 제조하였을 때 기호에 맞는 적절한 김치 첨가 함량을 선택하기 위하여 묵은지 김치와 떡갈비와 같은 육류를 선호하는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묵은지 김치의 첨가 수준을 달리하여 제조한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에 대하여 각 개인의 취향에 따라 풍미(flavor), 씹힘성(chewiness) 및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 대한 항목을 선호하는 순서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천일염으로 만든 묵은지 김치를 첨가하여 쇠고기와 돼지갈비 떡갈비를 응용한 제품을 개발하고자 최적 김치 첨가량 배합비와 더불어 표준조리 레시피를 확립하였고, 이를 위하여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전통 음식인 쇠고기와 돼지고기 떡갈비의 레시피에 묵은지 배추김치를 첨가하여 제품을 개발하였다. 묵은지 김치 첨가 떡갈비 제조방법을 확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특히 묵은지의 냄새를 완화하고,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묵은지 요리에 허브를 첨가하였다.
  • 시식하는 순서는 한 개의 제품을 먹고 나면 반드시 물로 입안을 두 번 헹구도록 하고 12분 후 다른 시료를 시식하고 평가하여 통계 처리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천일염 묵은지 김치를 첨가한 떡갈비의 개발은 육류의 냄새를 완화시켜, 기능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선정된 허브와 김치 및 부재료를 첨가했을 때 관능적인 특성 조사와 상품화 하였을 경우 잘 어울리는지에 대한 기호도를 검사하였다.

가설 설정

  • 2. The preference of herbs (1: dislike extremely, 4: neither like nor dislike, 7: like extremely). a-d Mean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인가? , 1995; Park, 1995). 김치는 채소에 젓갈류, 양념 및 향신료 등이 첨가된 한국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 있어서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부식이다(Cho, 2008). 김치 중 묵은지는 김치를 담글 때 양념이 많이 들어가지 않고, 1년 이상 숙성시킨 묵은 김치를 주로 말하는데 웰빙 음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최근 묵은 김치를 이용한 찜, 삼겹살 구이, 볶음밥 외 여러 가지 요리(Jung et al.
갈비 조리 시 사용되고 있는 양념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현재 떡갈비는 쇠고기뿐만 아니라 돼지고기를 이용하여 조리되고 있으며, 떡갈비의 양념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 및 조리 방법의 특성은 지역적으로 매우 다양하다. 갈비 조리 시 사용되고 있는 양념은 육류의 보존성과 다양한 기호성을 증진시키고, 육취 제거, 연육작용 등으로 소화흡수를 도와준다고 알려져 왔다(Moon et al., 1991).
묵은지 김치를 첨가한 돼지고기 떡갈비의 김치 첨가 함량과 저장 기간에 따른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는 무엇인가? 묵은지 김치를 첨가한 돼지고기 떡갈비의 김치 첨가 함량과 저장 기간에 따른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한 관능검사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평가 항목 중 풍미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58의 관능검사 점수를 나타내었으나, 묵은지 김치를 5, 10, 20 및 30%씩 각각 첨가한 경우에는 관능점수가 각각 5.62, 6.00, 6.67 및 6.25로 나타나 10% 이상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씹힘성에 있어서는 대조구가 5.08인 반면에 묵은지 김치를 5, 10, 20 및 30%씩 첨가한 경우에는 관능점수가 5.14, 5.15, 5.30 및 5.00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도 대조구가 5.07인 반면에 묵은지 배추김치를 5, 10, 20 및 30%씩 첨가한 경우에는 관능점수가 5.16, 5.33, 5.67 및 5.44로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묵은지 김치 첨가 함량은 20% 첨가군이 풍미, 씹힘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 모두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제품화가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unny, S. (199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erbs. Chancellor Press, New York, USA. p.155. 

  2. Chae, I. G., Kim, H. J., Yu, M. H., Kim, H, I., and Lee, I. S. (2010)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s in Korean mark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1-1417. 

  3. Cho, S. H., Park, B. Y., Yoo, Y. M., Chae, H. S., Wyi, J. J., Ahn, C. N., Kim, J. H., Lee, J. M., Kim, Y. K., and Yun, S. C. (2002) Physi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bulgogi containing ginseng saponi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30-36. 

  4. Cho. Y. B. (2003) Effects of analysis in the by taste and quality freeze-dried kimchi power adding of noodles. The Korean J. Cul. Res. 9, 115-126. 

  5. Cho, Y. B. (2008) The effects of kimchi products selection attribut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 The Korean J. Cul. Res. 4, 203-216. 

  6. Hah, K. H., Ahn, C. N., Joo, S. T., Park, G. B., Sung, N. J., Park, K. H., Kim, I. S., Jin, S. K., and Chung, K. Y. (2005)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pork during aging at cold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397-402. 

  7. Han, G. J., Shin, D. D., Kim, J. S., Cho, Y. S., and Jeong, K. S. (2005) Development of meat seasoning sauce using propoli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88-894. 

  8. Hwang, E. S. (2010) Change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04-109. 

  9. Hwang, J. H. and Jang, M. S. (200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added with Jasoja (Perillae semen).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554-564. 

  10. Jin, S. K., Kim, I. S., Hah, K. H., Park, K. H, Kim, I. J., and Lee, J. 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59-165. 

  11. Jung, H. O., Chung, D. O., and Park, I. D. (2002) A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herb onion kimchi differing in herb content. The Korean J. Cul. Res. 8, 259-265. 

  12. Jung, H. O., Oh, S. T., and Jung, D. O. (2001) A study of Muan onion kimchi with herb. The Korean J. Cul. Res. 7, 107-118. 

  13. Jung, H. O., Ki, Y. H., Kim, B. H., Lee J. J., and Lee, M. Y. (2006) A study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pened kimchi with herbs. The Korean J. Cul. Res. 12, 184-194. 

  14. Kim, C. J., Jeong, J. Y., Lee E. S., and Song, H. H. (2002)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shelf-life of traditional marinated beef (Galbi) as affected by package method during storage at -1 ${^{\circ}C}$ .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92-798. 

  15. Kim, H. J., Kim, M. J., Oh, S. I., Jung, Y. T., Park, S. K., and Lee, I. 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improvement of seasoned pork added with Phomis Turcz.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2-109. 

  16. Kim, G. D., Jeong, J. Y., Jung, E. Y., Seo, H. W., Kim, S. H., Kang, G. H., Choi, Y. H., and Joo, S. T (2010) Effects of addition of green tea extracts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easoned chicken with soy sauce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Poult. Sci. 37, 265-273. 

  17. Kim, Y. M., Oh, C. H., In, M J., and Oh, N. 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beef-rib sauce prepared by Zygosaccharomyces rouxii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07-812. 

  18. Lee, J. E. and Oh, M. 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3, 629-638. 

  19. Lee, J. J., Jung, H. O., Lee, M. Y., and Chang, H. C. (2010) Development of sun-dried salt kimchi beverage. Korean J. Food Preserv. 17, 800-806. 

  20. Moon, J. H., Rtu, H. S., and Lee, K. H. (1991) Effect of garlic on the digestion of beef protei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 447-454. 

  21. No, H. K., Lee, S. H., and Kim, S. D. (1995) Effects of ingredients on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642-650. 

  22. Oh, M. H. and Whang, H. J. (2003)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1-6 

  23. Park, J. G., Her, J. H., Li, S. Y., Cho, D. H., Youn, S. K., Choi, J. S., Park, S. M., and Ahn, D. H. (200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rage property and quality in the traditional seasoning beef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119. 

  24. Park, K. 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69-182. 

  25. Park, W. P. and Park, K. D (2004) Effect of whey calcium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1, 34-37. 

  26. Piggot, J. R. (1984) Sensory analysis of foods. Elsevier Supplied Science Pub., London, pp. 10-50. 

  27. SAS. (2003) SAS/STAT Software. Release 8.2,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28. Sung, S. K., Cho, Y. S., Kim, E. J., and Kim, S. M. (2003)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chicken products using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and water soluble mineral ion. Korean J. Food Nutr. 16, 171-179. 

  29. Youn, S. K., Her, J. H., Kim, Y. J., Choi, J. S., Park, S. M., and Ahn, D. H. (2004)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shelflife in spicy beef meat during using chito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0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