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떡갈비 개발
Development of Tteokgalbi Added with Red Pepper Seed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2, 2016년, pp.255 - 260  

김학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김계웅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  정한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추씨 분말의 첨가 수준이 떡갈비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떡갈비의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 함량은 고추씨 분말 3%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회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고추씨 분말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가졌으며(P<0.05),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 함량은 고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가열 전과 가열 후 모두 고추씨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P<0.05). 가열 전과 후 명도는 고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가열 감량은 고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직경 감소율과 두께 감소율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3% 처리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탄력성, 응집성은 대조구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검성과 씸음성은 고추씨 분말 1%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은 모든 고추씨 분말 처리구가 색도와 다즙성에서 대조구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으며(P<0.05), 이외 모든 항목에서 3% 처리구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돈육 떡갈비에 고추씨 분말을 첨가하여 품질 특성을 분석한 결과 2~3%의 고추씨 분말을 첨가하여 우수한 떡갈비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d pepper seed powder ad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cooking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tteokgalbi. Tteokgalbi was prepared by addition of 0% (control), 1%, 2%, 3%, and 4% red pepper seed powder. The moisture and ash conten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추씨 분말의 첨가 수준이 떡갈비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사람이 떡갈비를 선호하는 이유는? 즉석 소시지, 떡갈비, 양념육과 같은 식육제품은 대형마트에서부터 편의점에 이르기까지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생육에 비하여 시장 점유율과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떡갈비는 갈비살을 다져서 만들기 때문에 질감이 부드럽고 맛이 뛰어나서 많은 사람이 선호하는 육제품으로 현재는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이용하여 조리되고 있다(3). 1990년대 초부터 서서히 일반인에게 선을 보이게 되어 지금은 갈비구이의 한 조리방법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4).
고추씨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는 어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가? 더욱이 고추씨에 다량 함유된 식이섬유는 인체 내에서 소화되지 않은 난소화성 다당류로 영양적 가치는 없으나 생리 활성을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20). 또 식이섬유 첨가는 저지방 육제품을 제조할 수 있고 지방의 과다 섭취에 따른 비만, 동맥경화 등 성인병을 예방하기 위해 기능성 식육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21).
capsaicin은 어떤 효과를 갖는가? )는 가지과에 속하는 1년초 단일 작목으로 주로 음식의 맛을 내는 향신료로만 사용됐지만 최근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9). 붉은 고추와 고추씨의 매운맛 성분은 capsaicinoid라는 물질로 5종의 동족체 화합물인 capsaicin, dihydrocapsaicin, nordihydrocapsaicin, homocapsaicin, homodihydrocapsaicin이 알려졌는데(10-12), 이 중 capsaicin 과 dihydrocapsaicin은 매운맛을 나타내는 주요 성분이며 (13), capsaicin은 암유전자 발현 조절작용 및 항성인병성 효과, 에너지 대사율 항진, 살균작용, cells에서 세포자멸사 유도와 지방 생성 억제 등의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4-8). 그 외에 당,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C, 식이섬 유 등이 함유되어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식재료 중의 하나이다(14-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wock CK, Jang JK. 2011. The promotion strategies of wellbeing food industry-focusing on fresh-cut produce industry-.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1): 17-27. 

  2. Hah KH, Ahn CN, Joo ST, Park GB, Sung NJ, Park KH, Kim IS, Jin SK, Chung KY. 2005.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pork during aging at cold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397-402. 

  3. Lee JE, Oh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asoned sauce and seasoned pork rib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ulture 23: 629-638. 

  4. Lee JJ, Jung HO, Lee MY. 2011. Development of dduk-galbi added with ripened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1: 304-310. 

  5. Chin KB, Kim WY, Kim KH. 2005.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low-fat comminuted sausages manufactured with grapefruit seed extra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141-148. 

  6. Jimenez-Colmenero F, Carballo J, Cofrades S. 2001. Healthier meat and meat products: their role as functional foods. Meat Sci 59: 5-13. 

  7. Kim SM, Cho YS, Yang TM, Lee SH, Kim DG, Sung SK. 2000. Development of functional sausage using extracts from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0: 272-281. 

  8. K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Development of functional sausage using plant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green t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 20-29. 

  9. Yoon J, Jun JJ, Lim SC, Lee KH, Kim HT, Jeong HS, Lee J. 2010. Changes in selecte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s depending on cul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31-736. 

  10. Bennet DJ, Kirby GW. 1968. Constitution and biosynthesis of capsaicin. J Chem Soc C 442-446. 

  11. Crombie L, Dandegaonker SH, Simpson KB. 1955. Amides of vegetables origin. Part VI. Synthesis of capsaicin. J Chem Soc 1025-1027. 

  12. Lee KR, Suzuki T, Kobashi M, Hasegawa K, Iwai K. 1976. Quantitative microanalysis of capsaicin, dihydrocapsaicin and nordihydrocapsaicin using mass fragmentography. J Chromatogr A 123: 119-128. 

  13. Huffman VL, Schadle ER, Villalon B, Berns EE. 1978. Volatile components and pungency in fresh and processed Jalapeno peppers. J Food Sci 43: 1809-1811. 

  14. Cheon HL, Shin JY, Park KH, Chung MS, Kang DH. 2015. Inactiva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powder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using combined UV-C irradiation and mild heat treatment. Food Control 50: 441-445. 

  15. Kim KH, Chun JK. 1975. The effects of the hot air drying of red pepper on the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7: 66-73. 

  16. Lee SW. 1979. Gas liquid chromatographic studies on sugars and organic acids in different portions of hot pepper fruit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278-282. 

  17. Ku KH, Choi EJ, Park JB. 2008. 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with various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84-1089. 

  18. Chae YS, Lee KS, Kim HJ, Hong CK.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emulsion-type sausages containing yoghurt and capsicum oil.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6: 229-234. 

  19. Lee Y, Howard LR, Villalon B. 1995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pepper (Capsicum annuum) cultivars. J Food Sci 60: 473-476. 

  20. Lim BO, Lee CJ, Kim JD. 2003. Study on immunoregulatory function of dietary fib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2): 26-30. 

  21. Choi SH, Chin KB. 2002. Development of low-fat comminuted sausage manufactured with various fat replacers similar textural characteristics to those with regular-fat counterpar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77-582. 

  2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77-788. 

  23. Fernandez-Gines JM, Fernandez-Lopez J, Sayas-Barbera E, Sendra E, Perez-Alvarez JA. 2004. Lemon albedo as a new source of dietary fiber: Application to bologna sausages. Meat Sci 67: 7-13. 

  24. Choi YS, Choi JH, Han DJ, Kim HY, Lee MA, Kim HW, Jeong JY, Paik HD, Kim CJ. 2008. Effect of adding levels of rice bran fib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ound pork meat product.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 319-326. 

  25. Kim HY, Kim KJ, Lee JW, Kim GW, Choe JH, Kim HW, Yoon Y, Kim CJ. 2015. Quality evaluation of chicken nugget formulated with various contents of chicken skin and wheat fiber mixture.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35: 19-26. 

  26. Forrest JC, Aberle ED, Hedrick HB, Judge MD, Merkel RA. 1975. Principles of meat processing. In Principles of Meat Science. W. H. Freeman and Company, San Francisco, CA, USA. p 190-226. 

  27. Morin LA, Temelli F, McMullen L. 2002.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duced-fat breakfast sausages formulated with barley ${\beta}$ -glucan. J Food Sci 67: 2391-2396. 

  28. Mittal GS, Usborne WR. 1985. Meat emulsion extender. Food Technol 39: 121-130. 

  29. Lee JR, Jung JD, Hah YJ, Lee JD, Jin SK, Lee CY, Sung NJ, Do CH. 2004. Effects of addition of citron peel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es of emulsion-type sausages. J Anim Sci & Technol 46: 849-858. 

  30. Moon YH, Kim YK, Koh CW, Hyon JS, Jung IC. 2001. Effect of aging period, cooking time and temperature on the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pork lo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71-476. 

  31. Kwon SY, Shin ME, Lee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with added pine needl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357-3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