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 암환자 가족의 고통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uffering Scale of Family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1 no.1, 2011년, pp.49 - 57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uffering of family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Methods: This research was a methodological study processed as follows: 1) The preliminary 32 items were developed based a conceptual frame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Kang14)이 개발한 고통측정도구를 말기 암환자 가족의 고통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도구를 수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Kang14)이 개발한 암환자 고통 측정도구를 말기 암환자 가족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고통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후)본 연구는">본연구는 Kang14) 이 개발한 고통측정 도구의 개념적 기틀을 근거로 하여 말기 암환자 가족의 고통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후)말기암환자의">말기 암환자의 가족은 환자의 경험을 같이 공유함으로써 환자가 고통을 경험할 때 가족 또한 고통과 소진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가족의 유대관계가 밀접하여 환자의 입원 시 가족원의 입실이 일상화되어 있고 위중한 환자의 가족들은 수동적인 관찰자가 아니고 능동적인 참여자가 되고자 한다.12) 그러므로 말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암진단 인구는 연간 몇 명인가?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방법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10만여 명이 암진단을 받고 있고,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매년 6만 5천 명 이상으로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어2) 암환자 및 그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고통이란 어떤 상태인가? 고통(suffering) 문제는 모든 사람의 피할 수 없는 근원적인 경험으로 자신의 내면적 요인,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 및 외부환경, 인생의 궁극적 의미와 관련된 상실, 훼손, 통증이 자아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위협이 될 때 경험하는 견디기 힘든 극심한 괴로움의 상태이다.1)
말기 암환자 가족들이 겪게 되는 신체적 문제는 무엇인가? 말기 암환자와 가족은 그들의 고통경험을 공유함으로 인해 서로 힘든 시간을 보내게 된다. 가족 돌봄자들은 환자 간호 시 계속된 긴장으로 인해 면역 기능이 저하되며 속쓰림, 소화불량 등 위장관계 증상과 피로와 수면부족 등으로 인해 질병에 걸릴 위험성이 커서 신체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으며, 환자 돌봄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가 위축된다.3-5) 또한 말기 암환자 가족들은 환자들의 분노, 우울, 극심한 통증,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지켜보면서 자신들도 분노, 우울, 불안 및 죽음에대한 예비적 슬픔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힘든 감정을 노출할 수 없어 고통을 겪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ang KA. Concep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suffering: application of hybrid model method. J Nurs Acad Soc 1996;26:290-303.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Based on vital registration). Daejeon: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08. 

  3. Folkman S, Chesney MA, Christopher-Richards A. Stress and coping in caregiving partners of men with AIDS. Psychiatr Clin North Am 1994; 17:35-53. 

  4. Nijboer C, Tempelaar R, Sanderman R, Triemstra M, Spruijt RJ, Ban den bos GA. Cancer and caregiving: the impact on the caregiver's health. Psychooncology 1998;7:3-13 

  5. Goldstein NE, Concato J, Fried TR, Kasl SV, Johnson-Jurzeler RB. Factors associated with caregiver burden among caregivers of ill patients with cancer. J Palliat Care 2004;20:38-43. 

  6. Choi ES.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with terminal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2006. 

  7. Oliviers D, Monroe B. Death, dying, and social differences. Oxford University Press;2004. 

  8. Jung JG, Kim JS, Kim JS, Kim SS, Kang DS, Kim SM, et al.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1-10. 

  9. Emanuel EJ, Fairclough DL, Slutsman J, Emanuel LL. Understanding economic and other burdens of terminal illness: the experience o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nn Int Med 2000;132:451-9. 

  10. Webb M. The good death. Seven: bearing the burden, Families in distress. New York: Bantam Book;1997. 

  11. Kim HS, Yu SJ, Kwon SY, Park YH. Differences in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ratings of cancer pain.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8;11: 42-50. 

  12. Kim HC, Kim ES, Park KH. Need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in hospice care uni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7;10:137-44. 

  13. Kang KA, Kim SJ, Kim YS. The need for hospice care in families of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Community Nurs 2004;20: 277-84. 

  14. Kang KA.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suffering in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Acad Nurs 1999;29:1365-78. 

  15. Kang KA, Kim SJ. Development of needs assessment instrument for hospice care in families of the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Biol Nurs Sci 2005;7:57-68. 

  16. Lynn MR. Determinati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1986;35:382-5. 

  17. Lee EO, Lim NY, Park HA. Statistical analysis and nursing?medical research. Seoul:Soomoon Publishing Co;1998. 

  18. Han SS, Lee SC, Ku JC. Health and medical statistical analysis. Seoul: Fornurse;2008. 

  19. Kang BS, Serk KS, Oh YJ. SPSS/PC+ for statistical analysis. Seoul: Trade Management Press;1993. 

  20. Kim SC, Jeoung DW, Son HR. Depression level among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Korean J Fam Med 2009;30:175-81. 

  21. Ha JS, Yea SJ, Park SH, Kim I, Shin SS, Bae CY, et al.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factors and family function. J Korean Acad Fam Med 1993;14:647-52. 

  22. Andrews SC. Caregiver burden and symptom distress in people with cancer receiving hospice care. Oncol Nurs Forum 2001;28:1469-74. 

  23. Murray SA, Kendall M, Boyd K, Grant L, Highet G, Sheikh A. Archetypal trajectories of social, psychological, and spiritual wellbeing and distress in family care giver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secondary analysis of serial qualitative interviews. BMJ 2010;340:c2581. 

  24. Chan CW, Chang AM. Stress associated with task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in Hong Kong. Cancer Nurs 1999;22:260-5. 

  25. Hull MM. Sources of stress for hospice caregiving families. Hosp J 1990; 6:29-54. 

  26. Han KH, Jung JG, Oh SK, Kim JS, Kim SS, Kim SY. Depression level among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2005; 26:752-8. 

  27. Meyers JL, Gray L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primary caregiver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hospice care, quality of life, and burden. Oncol Nurs Forum 2001;28:73-82. 

  28. Cohen CA, Colantonio A, Vernich L. Positive aspects of caregiving: rounding out the caregiver experience. Int J Geriatr Psychiatry 2002;17: 184-8. 

  29. Patterson LB, Dorfman LT. Family support for hospice caregivers. Am J Hosp Palliat Care 2002;19:31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