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방법을 달리한 미역 및 다시마 과립차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nule Tea Prepared with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an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4, 2012년, pp.525 - 531  

권유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  윤광섭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호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다시마 미세분쇄분말을 열수 및 고압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의 수율은 미역, 다시마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흡습특성 및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미역 과립차의 전자공여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시마의 과립차에서는 열수추출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미역 과립차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다시마 과립차의 경우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Fe^{2+}$ chelating효과는 열수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TBARS에서는 고압추출에서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미역 다시마 모두 고압추출에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granule tea variants (W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hot water extract; ASM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mustard autoclave extract; WSTGT: granule tea prepared from sea tangle hot water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출 방법을 달리하여 소비자의 기호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항산화 특성 및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하여 기호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해조 과립차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미역, 다시마 미세분쇄분말을 열수 및 고압 추출한 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의 수율은 미역, 다시마 모두 열수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았다.

가설 설정

  • 3)NS; not significa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역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매년 60만톤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해조류가 생산되며 그 생산량은 전 세계 4위를 달할 만큼 해조류 양식 및 이용 산업이 매우 발달해 있다(3).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갈조류의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해조류로서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애용된 기호식품으로(4), 다른 갈조류와 비교하여 단백질, 지질, 비타민 등 모든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다. 미역의 건강 기능성은 혈압강화, 신진대사 촉진, 변비 및 비만 예방, 혈액 중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억제, LDL 콜레스테롤과 동맥 경화 지수 감소 등을 들 수 있고(5), 이를 활용한 미역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품질특성(6), 미역가루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7), 미역줄기를 이용한 잼의 제조조건(8) 등과 같은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미역의 건강 기능성은 무엇이 있는가?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갈조류의 미역과에 속하는 1년생 해조류로서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생육하기 때문에 일찍부터 애용된 기호식품으로(4), 다른 갈조류와 비교하여 단백질, 지질, 비타민 등 모든 영양소를 고루 함유하고 있다. 미역의 건강 기능성은 혈압강화, 신진대사 촉진, 변비 및 비만 예방, 혈액 중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억제, LDL 콜레스테롤과 동맥 경화 지수 감소 등을 들 수 있고(5), 이를 활용한 미역분말을 첨가한 쌀쿠키의 품질특성(6), 미역가루를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특성(7), 미역줄기를 이용한 잼의 제조조건(8) 등과 같은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대한 결과는 어떻게 나왔는가? 추출방법에 따른 미역, 다시마 과립의 흡습특성 및 알긴산 함량은 고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미역 과립차의 전자공여능을 비교분석한 결과 고압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다시마의 과립차에서는 열수추출에서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loan AE (2006) The top 10 functional foods. J Food Technology, 60, 22-40 

  2. Cho EH, Park KY, Kim SY, Oh CS, Bang SI, Chae HJ (2011) Process development for deordorization of fucoidan using a combined method of solvent extraction and spray drying. Korean J Biotechnol Bioeng, 26, 49-56 

  3. Kim JA, Lee JM (2004) The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4. Kim YS, Nam HG, Shin HJ, Na MS, Kim MH, Lee CW, Kim JS, Piao YL and Cha WS (2011)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Korean J Biotechnol Bioeng, 26, 151-156 

  5. Perchellet J, Perchellet EM (1989) Antioxidants and mut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Free Radic Biol Med, 7, 377-408 

  6. Jung KJ, Lee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40, 1453-1459 

  7. Han JS, Jun NY, Kim SO (200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sulgi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powder. J Korean Food Cookery, 23, 591-599 

  8. Ah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J Korean Fish Soc, 33, 423-430 

  9. Hur J (1999) Dong-ui-bo-gam. Bupin publishing Co. Seoul 

  10. Choi HM, Sim CH, Shin TS, Bing DJ, Chun S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with sea tangle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24, 434-441 

  11. Kim JH, Kim JH, Yoo SS (2008) Impacts of the proportion of sea-tangl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J Korean Food Cookery, 24, 565-572 

  12. Kim HJ,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J Korean Food Cookery, 24, 59-67 

  13. Kim ML, Choi MA, Jeong JS (2008) Development of fermented beverage using the sea tangle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J Food Preserv, 15, 21-29 

  14. Hwang IG, Woo KS, Jeong HS (2011) Biological activity and heat treatment processing of foods. Food Sci Ind, 44, 56-65 

  15. Jo KS, Do JR, Koo JG (1998) Pretreatment conditions of Porphyra yezoensis, Undaria pinnatifida and Laminaria religiosa for functional alage-tea. J Korean Soc Food Nutr, 27, 275-280 

  16. You BJ, Im YS, Jeong IH, Lee KH (1997)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bile acids binding capacity in vitro of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Laminaria spp.). J Korean Fish Soc, 30, 31-38 

  17. Dewanto V, Wu X, Adom KK, Liu RH (2002)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3010-3014 

  18. Saleh ES, Hameed A (2008) Total phenolic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rtain Egyptian Ficus species leaf samples. Food Chem, 114, 1271-1277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1. Yen GC, Duhb PD, Tsaia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22.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52, 302-310 

  23. Park NY, Kim IS, Jeong YJ (2008)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componential extraction of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3, 321-326 

  24. Cho SY, Joo DS, Kim OS, Jeong IH, Kim SM (1999) Preparation of water soluble alginic acid prepared from sea mustard and sea tangle by microwave and hot water. J Korean Fish Soc, 32, 779-793 

  25. Chung HS, Hong JH, Youn K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and selected forming agents. Korean J Food Preserv, 12, 247-251 

  26. Ueda Y, Sakaguchi M, Hiratama K, Miyajima R, Kimizuka A (1999) Characteristic flavor constituents and water extracts of garlic. Agr Biol Chem, 54, 163-169 

  27. Woo JH, Shin SL, Jeong HS, Lee CH (2010) Influence of applied pressure and heat treatment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leaves from Achillea alpina and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J Korean Plant, 23, 123-130 

  28.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9.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7-1502 

  30.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ean Fish Soc, 33, 393-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