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평가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ogram to Prevent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the ICU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1 no.2, 2009년, pp.155 - 166  

반금옥 (국립공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ystematic intervention among medical ICU nurses for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ereafter VAP). Methods: A VAP prevention program was propos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revised to fit the target situation, and validated. It was co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VAP 예방 프로그램의 적용이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VAP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VAP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중재 전 3개월 조사기간 동안 VAP 발생률은 인공호흡기 1,000일 당 17.
  • 배지는 35℃의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눈으로 관찰 가능한 정도가 되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였고, 이를 인화하여 개인별로 간호사에게 전달하여 스스로의 손 씻기 효과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대장균 및 대장균군 측정용 배지의 경우 금속성 또는 광택을 띄는 푸른색의 균집락이 형성되며 황색포도상구균용 배지는 황색 균집락이 형성됨을 알려 주는 설명문도 함께 제공하였다.
  • 문헌고찰과 선행연구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일회성 중재와 반복성 중재로 구성된 VAP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초안은 손 씻기, 기도 흡인 관리, 장갑 관리, 인공호흡기 관리, 기타 중재의 영역을 내용으로 하여 일회성 중재와 반복성 중재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VAP 예방 프로그램과 VAP 관리지침을 분석하여 선행연구에서 효과적인 접근법을 중심으로 VAP에 관한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이 프로그램을 내과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VAP 예방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하였고, 이를 간호대학 교수 3인, 호흡기내과 의사 1인, 내과 중환자실 수간호사 1인, 감염관리 간호사, 책임 간호사 3인의 타당도 검증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 내과 중환자실 간호사에게 VAP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환자의 VAP 발생률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모의 대조군 전후설계(simulat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Fig. 1).
  • 본 연구의 목적은 VAP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내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교육, 팸플릿, 손 배양, 포스터, 주의표시, 피드백 등 선행연구에서 효과적인 접근법을 기초로 하여 총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대상자들의 대부분이 호흡부전으로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비교적 높은 VAP 발생률이 보고되는 내과 중환자실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VAP 발생률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입원 시에 잠복기 또는 증상 발현이 없었으나 입원 후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환자 중에서 인공호흡기 적용 48시간 이후부터 제거 후 48시간까지 발생한 폐렴 증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미국 질병관리본부(CDC, 2004)의 기준과 임상에서의 진단의 일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6점 이상이면 VAP로 진단하도록 만들어진 CPIS(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의 기준(Fartoukh et al., 2003, Luyt, Chastre & Fagon, 2004)에 부합하는 것을 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VAP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해 추후에 어떻게 활용되리라 보는가?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VAP 예방 프로그램은 VAP 예방에 관한 국내 연구가 미비하여 미국 CDC의 감염관리지침을 번역하여 적용하였던 현실에서 국내 실정에 맞도록 중환자실에서의 VAP 예방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다차원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후속 연구에서는 VAP 예방에 대한 이행도와 VAP 발생률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은 다른 병실에 비해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질병의 중증도가 높고 각종 삽입기구, 영양 불균형, 치료과정에서 발생하는 면역력의 감소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방어기전이 저하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중환자실에서의 병원감염은 일반병실보다 1.7 ~ 7배 이상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중환자실 입원 환자 중 20% 이상이 1회 이상 병원감염에 이환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rk et al., 2003; Kollef, 2006).
중환자실에서의 인공호흡기의 사용은 어떤 위험을 증가시키는가? 중환자실에서의 인공호흡기의 사용은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도를 6 ~ 21배 증가시키고, 인공호흡기 유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폐렴 발생위험은 인공호흡기 사용 1일 증가 시 1 ~ 3%씩 증가한다(Ibrahim, Trecy, Hill, Fraser, & Kollef, 2001).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로 인한 사망률이 24 ~ 50%에 이르며 고위험 그룹에서는 무려 7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Thoracic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2005).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171(4), 388-416. 

  2. Babcock, H. M., Zack, J. E., Carrison, T., Trocillion, E., Jones, M., Fraser, V. J., & Kollef, M. H. (2004).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n integrated health system. Chest, 125(6), 2224-2231. 

  3. Beuret, P., Carton, M. J., Nourdine, K., Kaaki, M., Tramoni, G., & Ducreux, J. C. (2002). Prone position as prevention of lung injury in comatose patient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study. Intensive Care Med, 28(5), 564-569. 

  4.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2004).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MMWR Recomm Rep, 53(RR-3), 1-36. 

  5. Chastre, J., & Fagon, J. Y. (2002).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165(7), 867-903. 

  6. Dodek, P. (2004).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n Intern Med, 141(4), 305-313. 

  7. Evans, B. (2005). Best practice protocol: VAP prevention. Nurs Manag, 36(12), 10-16. 

  8. Fartoukh, M., Maitre, B., Honore, S., Cerf, C., Zahar, J.-R., & Brun-Buisson, C. (2003).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diagnosing pneumonia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revisited. Am J Respir Crit Care Med, 168(2), 173-179. 

  9. Fox, M. Y. (2006). Toward a zero VAP rate: Personal and team approaches in the ICU. Crit Care Nurs Q, 29(2), 108-114. 

  10. Hess, D. R., Kallstrom, T. J., Mottram, C. D., Myers, T. R., Sorenson, H. M., & Vines, D. L. (2003). Americ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AARC)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Care of the ventilator circuit and its relation to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espir Care, 48(9), 869-879. 

  11. Her, S., Kim, I. S., & Kim, K. H. (2008).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 Korean Acad Adult Nurs, 20(3), 375-385. 

  12. Hospital in Europe Link for Infection Control through Surveillance(HELICS) (2005). Surveillan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intensive care units. HELICS ICU Statistical Report, 2000-2004. 

  13. Ibrahim, E., Trecy, L., Hill, C., Fraser, V., & Kollef, M. (2001). The occurr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community hospital: Risk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Chest, 120(2), 555-561. 

  14. Institute for Health Improvement(IHI) (2006). Getting started kit: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ow to guide. Crit Care Nurs Q, 29(2), 157-173 

  15. Jin, H. Y. (2005). A study on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and characteristics for nosocomial infection in ICU.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6. Kang, M. W. (2004) National survey a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ractice on the infection control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Kim, N. C., & Choi, K. O. (1999).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rse and nurses aids' perception and performance level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J Korean Acad Adult Nurs, 11(4), 684-693. 

  18. Kim, N. C., & Choi, K. O. (2002). Effects on nurses' hand washing behavior and reduction of respiratory isolation rate of MRSA of the hand washing education. J Korean Acad Adult Nurs, 14(1). 26-33. 

  19. Kollef, M. H., (2006). Time To Get Serious About Infection Prevention in the ICU. Chest, 130(5), 1293-1296. 

  20. Laux, L., & Herbert, C. (2006). Decreas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Getting on board. Crit Care Nurs Q, 29(3), 253-258. 

  21. Lee, E. S., Kim, S. H., & Kim, J. S. (2003). Effect of a closed endotracheal suction system on oxygen saturati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nursing efficacy. J Korean Acad Nurs, 34(7), 1315-1325. 

  22. Lee, M. H. (2004). The effect of ventilator associated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perception, performance and nosocomial infection for critical care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23. Lee, M. R., So, H. Y., & Cho, M. K. (2005). Determinants of nurses' handwashing practice. J Korean Acad Adult Nurs, 17(2), 268-275. 

  24. Luyt, C. E., Chastre, J., & Fagon, J. Y. (2004) Value of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for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tensive Care Med, 30, 844-852. 

  25.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System (2004).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 Surveillance (NNIS) system report, data summary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2004, issued October 2004. Am J Infect Control, 32(8), 470-485. 

  26. Park, E. S., Park, M. R., Jin, H. Y., Kim, J. E., Choi, J. S., Song, Y. K., Choi, Y. H., Lee, W. G., Hong, S. K., Huh, A. J., Yang, D. K., & Kim, J. M. (2003). Multicenter ICU surveillance study for nosocomial infection in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8(1), 23-33. 

  27. Pittet, D., Hugonnet, S., Harbath, S., Mourouga, P., Sauvan, V., Touveneau, S., & Perneger, T. V. (2000). Effectiveness of a hospital-wide programme to improve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Lancet, 356(9238), 1307-1312. 

  28. Thompson, L. (2000). Tracheal suctioning of adults with an artificial airway. Best Practice: Evidence Based Information Sheets for Health Professionals, 4(4), 1-6. 

  29. Yoo, M. S., Ban, K. O., & Yoo, I. Y. (2003). Recognition, self and objective evaluation of nosocomial respiratory infection control practices by ICU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9(3), 349-3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