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 외상환자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Severe Trauma Pati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3, 2018년, pp.224 - 231  

박빛나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김은주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with severe trauma patients.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from May 1, 2018 to May 31, 2018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 2017 to April 30, 2018 in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증 외상환자의 VAP 발생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증 외상환자의 VAP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VAP을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기 위해 중증 외상환자의 의무 기록을 토대로 진행한 후향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외상환자의 VAP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VAP 예방과 감염관리 전략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증 외상환자를 대상으로 VAP 발생률, VAP 예방 bundle 적용 현황 그리고 VAP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중증외상환자의 VAP 예방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중증 외상환자의 VAP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 하여 중증 외상환자의 VAP 예방 중재 개발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성인의 주요 사망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성인의 주요 사망원인은 암, 뇌졸중, 심장질환, 당뇨병으로 알려져 있는데, 경제활동인구인 44세 미만은 외상이 1위이다[1]. 중증외상이란 둔상이나 관통상 같은 외상으로 인해 뇌, 폐, 심장, 간 등 인체 내부주요 장기에 손상이 있고 이로 인해 쇼크나 다발성 장기기능부전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는데 최근 권역 응급의료센터들의 확대 운영으로 초기 수술과 치료의 기회가 확장되고 있다[2].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나? 인공호흡기는 급․만성 호흡 부전과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기본적인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기계 환기 자체로 인해 VAP 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중환자의 사률과 이환율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3]. VAP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기도 내 삽관, 스테로이드 사용, 항생제 사용, 구강 인두 및 하부기도 내 분비물, 위․장내균의 집락화,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등이 있으며 이외 제산제, 항생제, 면역억제제 사용, 환자의 자세, APACHE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Ⅱ 점수, 혼수척도, 수술경험과 기도삽관 종류 등이 관련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8]. 중증 외상환자는 두부손상과 흉부손상을 보이는 경우들이 다수이며, 이로 인해 의식저하와 폐 손상으로 인해 인공호흡기를 적용하는 경우들이 다수이므로 중증 외상환자는 VAP 발생에 더욱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9].
인공호흡기 사용은 폐렴 발생의 위험도를 어느정도 증가시키는가? 00건이었다[6]. 특히, 인공호흡기 사용은 폐렴 발생의 위험도를 6-21배 증가시키고 인공호흡기 유지기간이 길어질수록 폐렴 발생의 위험은 인공호흡기 기구 사용시간과 비례하였다[7]. 인공호흡기는 급․만성 호흡 부전과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기본적인 장치임에도 불구하고 기계 환기 자체로 인해 VAP 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는 중환자의 사률과 이환율 증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Statistics Information Service. Burden of injury in Korea-the cause of death statistics(2016, 201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 

  2. Park JM. Outcomes of the support services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level 1 trauma center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6;59(12):923-930. https://doi.org/10.5124/jkma.2016.59.12.923 

  3. Park SY, Lee HB.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4;86(5): 537-545. https://doi.org/10.3904/kjm.2014.86.5.537 

  4. Yun J, Oh B, Ryu S, Jang W. Clinical analy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chest trauma. Korean Journal of Thoracic Cardiovascular Surgery. 2008;41(6):736-741. 

  5. KONIS Manual 2016. 6th ed. Seoul Korea, KONIS. Seoul: Ceed Communications, 2014. 

  6. Kwak YG, Choi JY, Yoo H, Lee S, Kim HB, Han SH, et al. Korean national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summary of data from July 2014 through June 2015. Korean Journal of Healthcare Association Infection Control Prevention. 2016;21(2):37-49. https://doi.org/10.14192/kjhaicp.2016.21.2.37. 

  7. Fagon JY, Chastre J, Hance AJ, Guiguet M, Trouillet JL, Domart Y, et al. Detection of nosocomial lung infection in ventilated patients: use of a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quantitative culture techniques in 147 patients. American Review of Respiratory Disease. 1988;138(1):110-116. https://doi.org/10.1164/ajrccm/138.1.110 

  8. Yoo SY. Impact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Ulsan: Ulsan University; 2015.p8-9. 

  9. Kim MH, Kim MH, Park JH. Characteristics and nursing activities of severe trauma patients regarding the main damaged body parts.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4):210-218. http://dx.doi.org/10.7586/jkbns.2013.15.4.210 

  10. IHI. How-to guide: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oston, USA :Cambridge MA. 2012. p.10-19. Available from www.ihi.org. 

  11. Nerida B, Zsolt JB. The definition of polytrauma: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nsensus. Injury. 2009;40(4):S12-S22. https://doi.org/10.1016/j.injury.2009.10.032 

  12. Bonten MM, Kollef MH, Hall JB. Risk factor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from epidemiology to patient management. Healthcare Epidemiology. 2004;38(15):1141-1149. https://doi.org/10.1086/383039 

  13. Elorza JM, Ania NG, Agreda MS, Del MB., Margall MC, Asiain ME. Nursing care in the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Enfermeria Intensiva. 2011;22(1):22-30. https://doi.org/10.1016/j.enfi.2010.11.006 

  14. Wang L, Li X, Yang Z, Tang X, Yuan Q, Deng L, Sun X. Head bed elevation versus flat bed for preventing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adul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6;1CD009946:1-7. http://doi.org/10.1002/14651858.CD009946.pub2 

  15. Osti C, Wosti D, Pandey B, Zhao Q.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role of nurses in its prevention. Journal of the Nepal Medical Association. 2017;56(208):461-468. 

  16. Augustyn, B.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isk factors and prevention. Critical Care Nurse. 2007;27(4):32-39. 

  17.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Text of infection control. Seoul: Hyunmoonsa; 2013. p.239 

  18. Klompas M, Branson R, Eichenwald EC, Greene LR, Howell MD, Lee G, et al. Strategies to prevent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cute care hospitals: 2014 update.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4; 35(S2): S133-S154. https://doi.org/10.1086/67714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