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지식, 태도, 정확한 정량식 분무기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 Correct Metered Dose Inhaler Use,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OPD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4 no.2, 2012년, pp.160 - 170  

안민희 (전남대학원 대학원 간호학과)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knowledge, attitude, correct metered dose inhaler (MDI) use and compliance with self management among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09 COPD patients who were outpatient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따라서 MDI 사용법에 대해 정확도를 관찰하여 자가보고식으로 확인한 자가관리 이행이 완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COPD에 대한 지식은 자가관리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는데, 자가보고식 자가관리 이행보다는 정확한 MDI 사용과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 따라서 그 동안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부족하다고 생각되며, COPD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 네 변수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자가관리 이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개발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 또한 국내에서는 COPD 환자의 자가관리 이행과 관련된 변수를 확인하는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행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는 지식, 태도, 실천에 관한 것을 알아보는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KAP) 연구를 시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의 네 변수의 관계를 본 선행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를 대상으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의 네 변수의 관계를 본 선행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 중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자가관리 이행의 세 가지 변수에서 차이를 보인 특성은 학력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COPD에 대한 지식, 태도, 정확한 MDI 사용 및 자가관리 이행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PD 환자의 삶의 질이 낮아진 이유와 이것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87로 COPD 환자의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ung & Lee, 2011). 이러한 물적, 정서적 손실은 COPD의 악화로 인한 병원입원 때문이며, COPD 악화는 적절한 자가관리 이행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이는 지속적인 자가관리 이행을 통해 COPD 악화로 인한 계획적이지 못한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 횟수가 줄어든 연구결과(Bourbeau et al, 2003)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폐의 염증성질환으로 부분 가역적이며 점차 진행하는 기류제한을 보이는 호흡기질환이다(Rabe et al., 2007).
COPD환자가 이행해야 할 자가관리의 핵심은 무엇인가? 자가관리에는 약물요법, 증상에 따른 대처 등을 포함하는데, 지속적이고 장기간의 처방된 약물요법을 지키는 일은 자가관리의 핵심이면서 증상을 예방하고, 악화를 감소시키며, 일상생활에서 수행능력을 증진하게 된다(Fitch, Iwasaki, Pyenson, Plauschinat, & Zhang, 2011). 그런데, 문헌고찰 결과 이러한 약물요법을 준수하는 정도가 40~60%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이행의 형태는 과다사용, 과소사용, 부적절한 약물사용인 것으로 나타났다(Rand,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h, T., Inotai, A., & Meszaros, A.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piration, 82 , 328-334. 

  2. Annesi-Maesano, I., & Dab, W. (2006). Air pollution and the lung: Epidemiology approach. Medical Science, 22 , 589- 594. 

  3. Balcells, E., Gea, J., Ferrer, J., Serra, I., Orozco-Levi, M., de Batlle, J., et al. (2010).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COPD pati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8 , 108. 

  4. Bourbeau, J., Julien, M., Maltais, F., Rouleau, M., Neaupre, A., Begin, R., et al. (2003). Reduction of hospital utiliz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disease specific self management interventio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3 , 585-591. 

  5. Deerojanawong, J., Promsaka na Sakolnakorn, V., Prapphal, N., Hanrutakorn, C., & Sritippayawan, S. (2009). Evaluation of metered-dose inhaler administration technique among asthmatic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in Thailand. Asian Pacific Journal of Allergy and Immunology, 27 , 87-93. 

  6. Fitch, K., Iwasaki, K., Pyenson, B., Plauschinat, C., & Zhang, J. (2011). Variation in adherence with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drug therapy guidelines: A retrospective actuarial claims data analysis,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7 , 1425-1429. 

  7. Global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data. (2009, January 1).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www.goldcopd.com/download.asp?intID552 

  8. Goodyer, L., Savage, I., & Dikmen, Z. (2006). Inhaler technique in Turkish people with poor English: A case of information discrimination? Pharmacy World & Science, 28 , 107-114. 

  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8). 200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www.hira.or.kr/ 

  10. Hesselink, A. E., Penninx, B. W., Wijnhoven, H. A., Kriegsman, D. M., & van Eijk, J. T. (2001). Determinants of an incorrect inhalation technique in patients with asthma or COPD. Scandinavian Journal of Primary Health Care, 19 , 255-260. 

  11. Jun, J. J., Kim, A. K., Choi, S. O., Ae, J. H., Choi, M. K., & Jang, S. A. (2003).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self-care for Korea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3 , 9-16. 

  12. Jung, S, H. (2007).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management of cancer pain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3. Jung, Y. M., & Lee, H. Y. (201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Prevalence, risk factors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1 , 149-156. 

  14. Khassawneh, B. Y., Ali, M. K., Alzoubi, K. H., Batarseh, M. Z., Safi, S. A., Sharara, A. M., et al. (2008). Handling of inhaler devices in actual pulmonary practice: Metered-dose inhaler versus dry powder inhalers. Respiratory Care, 53 , 324-328. 

  15. Kim, M. S. (2005). A stud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 male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 344-352. 

  16. Lahdenpera, T. S. (2001). Level of compliance shown by hypertensive patients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ir illn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4 , 189-195. 

  17. Lemmens, K. M., Nieboer, A. P., Molken, M. P. R., Schayck, C. P., Asin, J. D., Dirven, J. A., et al. (2010). Application of a theoretical model to evaluate COPD disease management.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6 , 10-18. 

  18. Mannino, D. M., Homa, D. M., Akinbami, L. J., Ford, E. S., & Redd, S. C. (2002).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urveillance-United States, 1971-2000.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Surveillance Summaries, 51 (6), 1-16. 

  19. Martin, M. A., Mosnaim, G. S., Rojas, D., Hernandez, O., & Sadowski, L. S. (2011). Evaluation of an asthma medication training program for immigrant Mexican community health workers. Progress in Community Health Partnerships, 5 , 95-103. 

  20. Park, S. C., Cheong, H. J., Sohn, J. W., Choi, S. J., Eom, J. S., Woo, H. J., et al. (2004). Efficacy of influenza vaccination among chronic ill patients: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Infection and Chemotherapy, 36 , 207-212. 

  21. Pollock, S. E., & Duffy, M. (1990). The Health-Related Hardiness Sca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nalysis. Nursing Research, 39, 218-222. 

  22. Rabe, K. F., Hurd, S., Anzueto, A., Barnes, P. J., Buist, S. A., Calverley, P., et al. (2007).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executive summa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6, 532-555. 

  23. Rand, C. S. (2005). Patient adherence with COPD therapy. European Respiratory Review, 214 , 97-101. 

  24. Rowe, B. H., Villa-Roel, C., Guttman, A., Ross, S., Mackey, D., Sivilotti, M. L., et al. (2009). Predictors of hospital admission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exacerbations in Canadian emergency department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16 (4), 316-324. 

  25. Ryu, K. H. (2004).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with asthm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6. Scherer, Y. K., & Bruce, S. (2001). Knowledge, attitude, and self efficacy and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number of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hospitalization in adults with asthma. Heart & Lung, 30, 250-257. 

  27.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data. (2010, January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trieved February 15, 2011, from http://knhanes.cdc.go.kr 

  28. White, R., Walker, P., Roberts, S., Kalisky, S., & White, P. (2006). Bristol COPD Knowledge Questionnaire (BCKQ): Testing what we teach patients about COPD. Chronic Respiration Disease, 3 (3), 123-131. 

  29. Woo, S. H., & Kim, K. H. (2008). Knowledge related to diseas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halers use in asthmatic patient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 418-427. 

  30.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8).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trieved September 1, 2011, from http:// www.who.int/respiratory/copd/causes/en/index.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