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중환자실에서의 중증외상환자 치료
Management of Severe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大韓外傷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umatology, v.24 no.2, 2011년, pp.98 - 104  

김지주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서길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정기영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권운용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김경수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이휘재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김영철 (서울대학교병원 외상외과) ,  최석호 (서울대학교병원 외상외과) ,  이영호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  이경학 (서울대학교병원 외상외과) ,  한국남 (서울대학교병원 외상외과) ,  제환준 (서울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김효철 (서울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rauma care system of our hospital, in which emergency physicians care for major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intensive care unit (ICU) in consultation with intervention radiologists and surgeon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차 의료기관의 응급의료센터 내의 응급중환자실에서 시행되었다. 2007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본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하여 응급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외상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후 응급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진의 중증 외상환자 진료 체계의 치료 효과를 평가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령별 사망원인에서 외상은 어떻게 보고되고 있는가? 산업화와 기계화 및 도시화의 발달로 말미암아 최근 중증 외상환자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09년 우리나라의 전체 사망원인에서 외상은 악성 신생물,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등에 이어 6위를 차지하였으며 연령별 사망원인에서 외상은 1~9세의경우 1위, 10~19세 경우 2위, 20~29세 경우 2위, 30~39세의 경우 3위로 40대 이하 연령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후 응급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외상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예후를 분석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중환자실로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후향적 연구로 응급실에서 사망한 중증 외상환자들, 응급 수술을 시행한 후 타 중환자실로 입원하거나 사망한 환자들은 연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둘째, 소아 청소년기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이 외상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5세 이상의 성인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증 외상 환자의 내과적 기저질환의 예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지 않았다.
외상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외상환자의 사망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외상 외과 전문의를 포함한 외상 전문 팀에 의한 조직적인 전문외상처치술(advanced trauma life support, ATLS)의 적용이 필요하며 특히 중증 외상환자에서는 수상 1시간 내 (golden hour)에 수술 등의 초기 처치가 시행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1-4) 외상 처치 체계가 잘 갖추어진 선진국의 경우 중증 외상환자가 발생하면 잘 훈련된 구급 인력에 의한 병원 전 처치 단계가 일차적으로 활성화되며 이들 환자가 외상 센터로 이송되면 병원 단계에서는 응급의학과 의사 및 외상외과 의사, 외상 전문 간호사 등의 인력이 신속하게 손상교정 수술(damage control surgery) 등의 초기 처치를 시행한 후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intensive care)를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ruitt BA, Pruitt JH, Davis JH. History In: Moore EE, Feliciano DV, Mattox KL, eds. Trauma 5th ed. New York: McGraw-Hill, 2004: 3-17. 

  2. Ali j, Adam R, Butler AK, Chang H, Howard M, Gonsalves D, et al. Trauma outcome improves following the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program in developing country. J Trauma 1993;34:890-899. 

  3. Ali j, Adam R, Stedman M, Howard M, Williams JI. Advanced trauma life support program increase emergency room application of trauma resuscitative procedures in a developing conutry. J Trauma 1994;36:391-394. 

  4. Ben-Abrahan R, Stein M, Kluger Y, Blumenfeld A, Rivkind A, Shemer J. ATLS course in emergency medicine for physicians. Harefuah 1997;132:695-697. 

  5. Edlich RF, Wish JR, Britt LD, Long WB. An organized approach to trauma care: legacy of R Adams cowley. J Long Term Eff Med Implants 2004;14:481- 511. 

  6. Peter A Cameron, Belinda J Gabbe, D James Cooper, Tony Walker, Rodney Judson John McNeil. A statewide system of trauma care in Victoria: effect on patient survival; MJA 2008;189:546-550. 

  7. Waibel BH, Rotondo MF. Damage control in trauma and abdominal sepsis; Crit Care Med 2010;39:421-430. 

  8. Muller T, Doll D, Kliebe F, Rycggoltz S, Kuhne C. Damage control in trauma patients with hemodynamic instability. Anasthesiol intensivmed Notfallmed Schmerzther 2010;45:626-633. 

  9. Champion HR, Copes WS, Sacco WJ, Lawnick MM, Keast SL, Bain LW Jr, et al. The Major Trauma Outcome Study: establishing national norms for trauma care. J Trauma 1990;30:1356-1365. 

  10. Wu SC, Chow KC, Lee KH, Tung CC, Yang AD, Lo CJ. Early selective angioembolization improves success of nonoperative management of blunt splenic injury. Am Surg 2007;73:897-902. 

  11. Gaarder C, Dormagen JB, Eken T, Skaga NO, Klow NE, Pillgram-Larsen J, et al. Nonoperative management of splenic injuries: improved results with angioembolization. J Trauma 2006;61:334-339. 

  12. Letoublon C, Morral I, Chen Y, Monnin V, Voirin D, Arvieux C. Hepatic arterial embolization in the management of blunt hepatic trauma: 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J Trauma 2011;70:1032-1036. 

  13. Fang JF, Shin LY, Wong YC, Lin BC, Hsu YP. Angioembolization and laparotomy for patients with concomitant pelvic arterial hemorrhage and blunt abdominal trauma. Langenbecks Arch Surg 2011;396: 243-250. 

  14. Brewer ME Jr, Strnad BT, Daley BJ, Currier RP, Klein FA, Mobley JD, et al. Percutaneous embol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grade 5 renal trauma in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initial experience. J Urol 2009;181:1737-1741. 

  15. Nicola M, Gulfi G, Pea U, Bozzola A, De luca F, Seregni R, et al. Renal artery embolization for kidney trauma. Arch ital Urol Androl 2007;79:176-178. 

  16. Boufi M, Bordon S, Dona B, Hartung O, Sarran A, Nadeau S, et al. Unstable patients with retroperitoneal vascular trauma: an endovascular approach. Ann Vasc Surg 2011;25:352-358. 

  17. Salazar GM, Walker TG.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ute vascular trauma. Tech Vasc Interv Radiol 2009;12:102-116. 

  18. van der Vlies CH, Olthof DC, van Delden OM, Ponsen KJ, de la Rosette JJ, de Reijke TM, et al. Mangement of blunt renal injury in a level 1 trauma centre in view of the European guidelines. Injury 2011 in press 

  19. Dabbs DN, Stein DM, Scalea TM. Major hepatic necrosis: a common complication after angioembolization for treatment of high-grade liver injuries. J Trauma 2009; 66:621-627. 

  20. Raju AD, Doshi M. Percutaneous transrenal embolization of vascular complication of nephrostomy. J Vasc Interv Radiol 2010;21:1465-1466. 

  21. Herrera DA, Vargas SA, Dublin AB. Endovascular treatment of penetrating traumatic injuries of the extracranial carotid artery. J Vasc Interv Radiol 2011; 22:28-33. 

  22. Sarkar B, Brunsvold ME, Cherry-Bukoweic JR, Hemmila MR, Park PK, Raghavendran K, et al.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committee on trauma performance improvement and patient safety program: maximal impact in a mature trauma center. J Trauma 2011;71:1447-1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