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외상외과에서의 중증외상환자 1년 치료 경험 분석
Experience with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Trauma at the Department of Trauma Surgery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for One Year 원문보기

大韓外傷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umatology, v.24 no.1, 2011년, pp.37 - 44  

김태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정경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권준식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지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백숙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송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강찬숙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이국종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social interest in an organized trauma system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has been increasing in government and academia and the establishment of trauma center is being considered across the country. However, establishing such a system has not been easy in Korea, because enorm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선진국형 외상외과 운영은 국내 현실에서 드문 경우이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1년간 본원 외상외과로 입원한 환자들의 수와 재원일수, 수술건수, 협진과 등의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세워지게 될 한국형 외상센터의 규모와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 발생 숫자는? 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는 매년 7만 3천명 발생하여 약 3만여명이 사망한다. 예방가능한 사망률이 1998년 50.
예방 가능한 사망률이 높은 원인은? 5%에 달하여(7) 전체적인 사망률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것은 중증외상환자들을 전담하여 치료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중증외상센터가 없기 때문이다.
중증외상 환자 중 지체장애인 발생률은? 6%로 감소하였으나 (1-3) 미국과 일본의 10%대에 비해(4-6) 여전히 높은 편이다. 다행히 사망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중증외상으로 인한 후유증으로 10명중 2명꼴로 지체장애인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중증외상의 사회경제적 부담은 연간 약 4조에 이른다고 보고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ung KY, Kim JS, Kim Y. Problems in trauma care and preventable deaths. J Korean Soc Emerg Med 2001;12:45-56. 

  2. Available at: http://www.nemc.or.kr/cyber_statistics. jsp 

  3. Jung KY, Kim SP, Kim SH, Kim H, Noh H, Jang HY. A study on emergency medical system performance indicator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8: 72-4 

  4. Esposito TJ, Sanddal TL, Reynolds SA, Sanddal ND. Effect of a voluntary trauma system on preventable death and inappropriate care in a rural state. J Trauma 2003;54:663-9. 

  5. Esposito TJ, Sanddal ND, Dean JM, Hansen JD, Reynolds SA, Battan K. Anaylysis of preventable pediatric trauma deaths and inappropriate trauma care in Montana. J Trauma 1999;47:241-51. 

  6. Kunihiro Mashiko. Trauma System in Japan: History, Pres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Nippon Med Sch 2005;72:194-202. 

  7. Kim Y, Jung KY, Cho KH, Kim H, Ahn HC, Oh SH, et al. Preventable trauma deaths rates and management errors in emergency medical system in Korea.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385-94. 

  8. Kim Y, Shin SD, Park JY, Lee TS, Ahn KO, Lee EJ, et al. A study of trauma care syste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1 

  9. Lee KJ, Kim JY, Lee KH, Suh GJ, Youn YK. General scheme for the level I trauma center in South Korea. J Korean Soc Trauma 2005;18:1-16. 

  10. Lee WC, Jo CH, Jung KW, Min YG, Choi SC, Kim KW, et al. Current state and problem of the transfer of severely injured patients in o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 Korean Soc Trauma 2010;23:6-15. 

  11. Townsend CM, Beauchamp RD, Evers BM. Textbook of surgery, 16th ed. St. Louis: W.B Saunders. 2001 

  12. Shackford SR, Hollingworth-Fredlund P, Cooper GF, et al. The effect of regionalization upon the quality of trauma care as assessed by a concurrent audit before and after institution of a trauma system: A preliminary report. J Trauma 1986;26:812-20. 

  13.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Committee on Trauma: Resources for optimal care of the injured patient. Chicago, 2006 

  14. Lee KJ. The necessity for a trauma surgeon and the trauma surgeon's role in the trauma care system. J Korean Soc Trauma 2008;21:1-7. 

  15. MacKenzie EJ, Rivara FP, Jurkovich GJ, et.al. A Nation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rauma-Center Care on Mortality. N Engl J Med 2006; 354: 366-78 

  16. Trunkey DD, Lim RC. Analysis of 425 consecutive trauma fatalities: An autopsy study. J Am Coll Emerg Phys 1974;3:368-74. 

  17. Draaisma JM, de Hann AF, Goris RJ. Preventable trauma deaths in the Netherland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Trauam 1989;29:1552-7. 

  18. Moylan JA, Detmer DE, Rose J, Schulz R: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hospital care for major trauma. J Trauma 1976;16:517-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