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미 품종별 발아 전후의 일반성분 분석과 ${\alpha}$-amylase 활성분석, GABA식이섬유 함량분석, 항산화 성분, 라디칼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일반현미는 0.07~28.24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아현미는 11.13~49.72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대체적으로 발아현미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큰눈(KN)과 수원595호(S595)의 발아현미가 일반현미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현미에서 일반현미에 비해 1.77~70.25배 더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에서 각각 10.52~36.38 및 11.38~26.33 mg/100 g으로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3.55~13.39 및 3.52~9.78 mg/100 g으로 나타났다. 일반현미와 발아현미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57.64~251.34 및 50.49~213.35 mg TE/100 g의 범위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 활성도 일반현미에서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항산화 성분 분석 결과에서 발아 후 함량이 감소하는 것은 발아과정에서 살수에 의해 수용성 항산화 성분이 씻겨 내려가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일반성분과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검정을 하였으며, 이는 현미와 발아현미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before (BG) and after germinated (AG) brown rice in order to promote the availability of these beneficial factors. The GABA content of BG and AG brown rice were 0.07~6.61 and 11.13~49.72 mg/100 g, resp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매년 수확되는 여러 가지 쌀 품종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평가는 쌀 소비 촉진과 쌀 가공식품 개발에 효율적인 이용증진을 위해 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품종별 현미와 발아현미에 대한 일반 성분과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검정하여 이를 이용한 가공품 제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아현미란 무엇인가? 발아현미는 적당한 온도와 수분, 산소 등을 공급해 현미를 발아시킨 것으로 조직을 연화시켜 질감을 개선시킬 뿐 아니라, 발아과정 중 식이섬유, 비타민 B1, B2, E,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γ-amino butyric acid(GABA), β-sitosterol 등 각종 미량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등 2007). 이와 같이 현미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아현미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Seo 등 2008), tocopherol, tocotrienol류, squalene, phytosterol류, GABA 등 기능성 물질의 함량(Jung 등 2008), 발아조건(Kim 등 2001a), 건조방법 및 가공 원료로서의 이용(Kum 등 2004)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고되어지고 있다.
현미의 단점은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식물성 섬유질을 비롯한 각종 효소,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현미가 가지고 있는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미는 단단한 껍질과 피틴산 등으로 인하여 식감이 거칠고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현미의 식미 향상 및 질감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Kim 등 2012).
발아현미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한 기능성 및 가공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현미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발아현미에 대한 연구는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 성분(Seo 등 2008), tocopherol, tocotrienol류, squalene, phytosterol류, GABA 등 기능성 물질의 함량(Jung 등 2008), 발아조건(Kim 등 2001a), 건조방법 및 가공 원료로서의 이용(Kum 등 2004)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렇게 발아 전후의 현미의 생리활성 성분에 대한 기능성 및 가공특성은 품종, 재배환경, 재배기술, 수확시기뿐만 아니라, 수확 후 관리기술 등에 의해서 품질이 좌우된다(Kim 등, 2011). 따라서 매년 수확되는 여러 가지 쌀 품종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평가는 쌀 소비 촉진과 쌀 가공식품 개발에 효율적인 이용증진을 위해 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381-387 

  2.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4959-4964 

  3.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361-377 

  4. Jung HY, Lee DH, Baek HY, Lee YS. 2008. Pre-and post 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53:37-43 

  5. Kim DJ, Oh SK, Yoon MR, Chun AR, Choi IS, Lee DH, Lee JS, Yu KW, Kim YK. 2011. The change in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81-789 

  6.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989-995 

  7. Kim JM, Yu MY, Shin MS. 2012. Effect of mixing ratio of white and germinated brown ric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ies of extruded rice flours. Korea J Food Cookery Sci 28:813-820 

  8. Kim SL, Son YK, Son JR, Hur HS. 2001a. Effect of germination condition and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routed brown rice. Korean J Crop Sci 46: 221-228 

  9. Kim SM, Cho YS, Sung SK. 2001b.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26-632 

  10. Kim SR, Ahn JY, Lee HY, Ha TY. 2004. Various properi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ns. Korea J Food Sci Technol 36:930-936 

  11. Lee GR, Ko YJ, Kim EJ, Seol HG, Kim EJ, Kim IH, Shim KH, Kim YG, Ryu CH. 2012. Quality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wheat meju according to milling degree of wheat and fermenting strains. Korean J Food Preserv 19:858-865 

  12. Lee YR, Kim JY, Woo KS, Hwang IG, Kim KH, Kim KJ, Kim JH, Jeong HS. 2007. Changes in the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Korean rough rice before and after germination. Food Sci Biotechnol 16:1006-1010 

  13.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nol 48:115-119 

  14. Nieva MM,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109-114 

  15.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152-159 

  16.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9-135 

  17. Song J, Lee KH, Choi HS, Hwang KA. 2015. Bioactive compounds of cheonggukjang prepared by different soybean cultivars with Bacillus subtilis HJ18-9. Korean J Food Preserv 22:535-544 

  18. Woo KS, Seo MC, Ko JY, Song SB, Lee JS, Kang JR, Kwak DY, Oh BG, Nam MH, Jeong HS, Lee 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available cereal crops in Korea.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27:40-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