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양한 페놀성 물질과 Folin-Ciocalteu 시약의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평가
Factors Affecting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with the Folin-Ciocalteu Reag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2, 2011년, pp.205 - 213  

홍정일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현정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과학부) ,  김지윤 (서울여자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_2CO_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F-C시약과 $Na_2CO_3$를 동시에 처리하는 경우 F-C시약을 선처리 하는 경우에 비해 각 페놀성 물질의 반응성이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원인은 페놀성 물질들이 산성인 F-C시약에서보다 $Na_2CO_3$ 용액의 알칼리 환경에서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pH 7.4 및 9의 환경에서 페놀성 물질로부터 생성된 산화물들은 F-C시약과의 반응성이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중에 같이 형성된 $H_2O_2$는 F-C와의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FeA와 SiA와 같은 monophenol류는 방법의 차이에 따라 큰 반응성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발색도는 느리지만 꾸준히 증가하는 kinetics 패턴을 보였다. 실제 시료에의 적용을 위해 연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정량방법에 대한 반응도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역시 $Na_2CO_3$ 처리환경에서 현저한 발색반응도 저하를 나타내었다. 보다 정확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을 위해 적절한 표준물질의 선택 및 정량 방법 등에 대한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lin-Ciocalteu (F-C) reagent has been extensively used for quantifying total phenolic contents in many different types of food materials. Since several different procedures of the assay methods using the F-C reagent have been applied, we investigated changes in reactivity of various phenolic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F-C시약을 이용한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에서 다양한 종류의 페놀성 성분들의 반응특성 및 반응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정량방법 중 Na2CO3를 선처리는 F-C시약을 먼저 처리하는 방법에 비해 대부분 페놀성 물질들의 발색반응도 감소를 야기하였으며, 특히 -OH 밀도가 높은 galloyl group을 가진 gallic acid 및 EGCG 등의 성분이 두드러진 감소를 나타내었다.
  • F-C시약을 이용한 정량은 페놀성 물질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러한 환원성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서로 다른 정량 방법 하에서 다양한 구조의 페놀성 물질에 대한 반응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물질은 페놀산 구조로서 하나의 -OH를 가진 ferulic acid (FeA)와 sinapinic acid(SiA), 2개의 -OH를 가진 caffeic acid(CaA)와 DHC, 3개의 -OH를 가진 페놀성 물질의 표준 물질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gallic acid(GA)와 그 중합체인 tannic acid(TA), flavonoid류로서 flavan 3-ol 형태의 (+)-catechine(Ctc)과 EGCG, flavonol류의 quercetin(Qct)이었다(Fig.
  • 지금까지 F-C시약을 이용한 페놀물질의 정량에 있어서 다양한 간섭물질과 요인들이 연구된 바 있으나, 연구자들에 의해 변형된 다양한 정량방법 간에 페놀성 물질들이 나타내는 반응성의 차이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총 페놀성 물질에 대해 신속하게 다량의 시료를 정량할 수 있는 microplate법을 응용하여(18), gallic acid를 포함한 10여종 페놀성 물질들의 각 조건 하에서 반응성 차이 및 반응영향인자 등을 조사하였고, 시료 중의 페놀물질 정량 시오차를 줄이기 위한 적정 처리방법 및 표준물질의 조건 등에 대한 관련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기능성식품 연구는 어떤 목적으로 진행되어 왔는가? 현재까지 상당수의 기능성식품 연구는 천연식품소재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가운데 생리활성을 가진 물질의 분리와 동정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추출 물질의 1차적 생리활성 검정을 위해 다양한 화학적 산화제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또는 항산화능 측정 등의 방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활성검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발굴되는 물질 중에는 페놀성 화합물이 상당수를 점유하고 있다(1,2).
추출 물질의 1차적 생리활성 검정을 위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상당수의 기능성식품 연구는 천연식품소재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가운데 생리활성을 가진 물질의 분리와 동정에 목적을 두고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추출 물질의 1차적 생리활성 검정을 위해 다양한 화학적 산화제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또는 항산화능 측정 등의 방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활성검증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발굴되는 물질 중에는 페놀성 화합물이 상당수를 점유하고 있다(1,2). 이러한 식이 페놀성 화합물들은 항산화 효과 외에도 다양한 생리활성으로 인하여(3-5) 식품의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이를 소재로 이용하는 관련 산업분야에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페놀성 물질의 함량 측정방법은 무엇이 있으며 어떤 성질을 이용하는 것인가? 따라서 다양한 식이소재 및 그 추출물 등에 대한 연구에서 페놀성 물질의 함량 측정이 일반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6), 각종 식품첨가물 등의 규격에도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7,8). 페놀성 물질의 정량방법으로 Folin-Denis 방법(9,10),Prussian blue assay(11) 및 Löwenthal 방법(12) 등이 있는데 이들은 페놀성 물질의 일반적인 oxidation-reduction 성질을 이용한 방법이다. 이중 Folin-Ciocalteu(F-C)시약을 이용하는 Folin-Denis 방법이 실험자들에게 있어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ai J, Mumper RJ. 2010. Plant phenolics: extraction, analysis and their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Molecules 15: 7313-7352. 

  2. Jacobo-Velazquez DA, Cisneros-Zevallos L. 2009. Correlations of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phenolic content revisited: a new approach in data analysis for food and medicinal plants. J Food Sci 74: R107-113. 

  3. Bravo L. 1998. Polyphenols: chemistr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 Rev 56: 317-333. 

  4. Guo W, Kong E, Meydani M. 2009. Dietary polyphenols, inflammation, and cancer. Nutr Cancer 61: 807-810. 

  5. Scalbert A, Manach C, Morand C, Remesy C, Jimenez L. 2005. Dietary polyphenols and the prevention of diseases. Crit Rev Food Sci Nutr 45: 287-306. 

  6. Prior R,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7. KFDA. Korea Food additives codes, Natural additives, 120. Defatted rice bran extract. available at: http://fa.kfda.go.kr/foodadditivescode.html. accessed Oct. 1, 2010. 

  8. KFDA. Korea Food additives codes, Natural additives, 117. Tea extract. available at: http://fa.kfda.go.kr/foodadditivescode.html. accessed Oct. 1, 2010. 

  9. Folin O, Den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0.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1. Budini R, Tonelli D, Girotti S. 1980. Analysis of total phenols using the Prussian blue method. J Agric Food Chem 28: 1236-1238. 

  12. Snyder H. 1893. Notes on Lowenthal'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annin. J Am Chem Soc 15: 560-563. 

  13. Bray HG, Thorpe WV. 1954.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of interest in metabolism. Meth Biochem Anal 1: 27-52. 

  14. Salunkhe DK, Chavan JK, Kadam SS. 1990. Dietary tannins: consequences and remedies.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p 84-87. 

  15. Peterson GL. 1979. Review of the Folin phenol protein quantitation method of Lowry, Rosebrough, Farr, and Randall. Anal Biochem 100: 201-220. 

  16. Box JD. 1983. Investigation of the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polyphenolic substances in natural waters. Water Res 17: 511-525. 

  17. Ikawa M, Schafer T, Dollard C, Sasner J. 2003. Utilization of Folin-Ciocalteu reagent for the detection of certain nitrogen compounds. J Agric Food Chem 51: 1811-1815. 

  18. Ainsworth EA, Gillespie KM, 2007.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content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in plant tissues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Nature Protocols 2: 875-877. 

  19. Kang S, Hong J. 2009. Ferrous ion chelating and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lotus (Nelumbo nucifera G.). J Natural Science SWINS 21: 35-42. 

  20. Bahorun T, Luximon-Ramma A, Crozier A, Aruoma OI. 2004. Total phenol, flavonoid, proanthocyanidin and vitamin C leve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uritian vegetables. J Sci Food Agr 84: 1553-1561. 

  21. Kaur C, Kapoor HC. 2002.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some Asian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 37: 153-161. 

  22. Altunkaya A, Gokmen V. 2008. Effect of various inhibitors on enzymatic browning,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of fresh lettuce (Lactucasativa). Food Chem 107: 1173-1179. 

  23. Dudonn S, Vitrac X, Coutire P, Woillez M, Mrillon JM. 2009.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30 plant extracts of industrial interest using DPPH, ABTS, FRAP, SOD, and ORAC assays. J Agric Food Chem 57: 1768-1774. 

  24. Ha TY, Kang SH, Kwon TY, Ahn JY, Kim SR, Kim DS.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s of bioactive components in polar microalgae. Ocean Polar Res 28: 37-43. 

  25. Lee NH, Hong JI, Kim JY, Chang MH. 2009. Antioxidant proper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nal cell dam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87-92. 

  26.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7. Minussia RC, Rossic M, Bolognac L, Cordib L, Rotilioc D, Pastorea GM, Durand N. 2003.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commercial wines. Food Chem 82: 409-416. 

  28. Pinelo M, Rubilar M, Jerez M, Sineiro J, Nunez MJ. 2005. Effect of solvent, temperature, and solvent-to-solid ratio 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rad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different components of grape pomace. J Agric Food Chem 53: 2111-2117. 

  29. Rababah TM, Hettiarachchy NS, Horax R. 2004.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nugreek, green tea, black tea, grapeseed, ginger, rosemary, gotukola, and ginkgo extracts, vitamin E, and tert-butylhydroquinone. J Agric Food Chem 52: 5183-5186. 

  30.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cereal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31. Pastrana-Bonilla E, Akoh CC, Sellappan S, Krewer G. 2003.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muscadine grapes. J Agric Food Chem 51: 5497-5503. 

  32. Manzocco L, Calligaris S, Mastrocola D, Nicoli MC, Lerici CR. 2000. Review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antioxidant capacity in processed foods. Trends Food Sci Tech 11: 340-346. 

  33. Snell FD, Snell CT, Snell CA. 1961. Colorimetric methods of analysis. 3rd ed. Van Nostrand, Princeton, NJ, USA. Vol 3, p 77. 

  34. Everette JD, Bryant QM, Green AM, Abbey YA, Wangila GW, Walker RB. 2010. Thorough study of reactivity of various compound classes toward the Folin-Ciocalteu reagent. J Agric Food Chem 58: 8139-8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