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평초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Total Phenol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odela polyrhiza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2 = no.202, 2017년, pp.180 - 186  

송원영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정화 (한국국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부평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100{\sim}2,500{\mu}g/ml$의 부평초의 농도를 이용하여 in vitro 실험으로 관찰하였다. 먼저 부평초 추출물을 농도별로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열수추출물에서 52.75~293.4 mg/g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60.12~398.4 mg/g의 함량이 관찰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열수추출물(38.25~67.75 mg/g)에 비해 에탄올추출물(38.25~159.4 mg/g)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2.87~59.5%)과 에탄올추출물(4.12~81.52%)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에탄올추출물은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거능이 관찰되어졌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8.30~83.16%, 에탄올추출물에서 13.11~80.34%로 농도 의존적인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평초 추출물의 $IC_{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ABTS radical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의 경우, $2,100{\mu}g/ml$, $798.7{\mu}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에는 $1,034{\mu}g/ml$, $457.1{\mu}g/ml$으로 나타났다. 환원력$500{\sim}4,000{\mu}g/ml$의 농도에서 관찰되어 졌는데, 열수추출물에서 0.055~1.122, 에탄올 추출물에서 0.140~1.428로 농도가 증가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추출물이 열수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염증 효능을 관찰하기 위한 SLO를 측정한 결과는 열수추출물에서 157.7~168.0% 그리고 에탄올추출물에서 148.0~169.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부평초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뛰어난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항염증에도 관여할 수 있음이 사료되어지며, 항산화 효능에 대한 천연식물소재로서의 이용가치가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Spirodela polyrhiza (SP) through in vitro assay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SP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52.75-293.4 and 60.12-398.4 mg/g,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SP ethanol extract (38.25-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생리활성 성분이 있음에도 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지지 않은 수생식물의 일종인 부평초 또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천연식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평초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경제 성장이 인간의 건강과 관련해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급속한 경제 성장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증가시켰으며, 삶의 질의 향상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특히 노화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에 대한 관심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노화와 함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들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생체 내에서 생리활성 과정 중에 생성되기도 하고, 오염물질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거나 약물,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하여 생성되기도 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인 활성이 매우 높아서 주위에 있는 생체분자인 세포막을 이루는 지질이나 단백질 등에 반응함으로써 이들 생체분자를 공격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차단하게 된다[1].
Lemnae Herba의 생리활성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이는 수면에 떠 있는 작은 풀로 개구리밥의 전초를 부평초라고도 한다. 부평초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개구리밥의 전초에 flavonoid, anthocyanin 및 tannin 등이 있으며[7], sterol의 campesterol, ß-sitosterol, flavones-O-glycoside의 apige-nin-7-O-ß-D-glucoside, luteolin-7-O-ß-D-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되었다[8, 9]. 또한 엽록소, 초산칼륨 및 염화칼륨 등의 성분도 알려져 있는 데, 이는 한방작용으로 강심작용과 해혈작용 효과와 함께 면역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0].
활성산소종은 어떤 과정이나 원인에 의해서 생성되는가? 급속한 경제 성장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증가시켰으며, 삶의 질의 향상과 함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특히 노화의 원인이 되는 인자들에 대한 관심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노화와 함께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들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도 생체 내에서 생리활성 과정 중에 생성되기도 하고, 오염물질이나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거나 약물,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하여 생성되기도 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화학적인 활성이 매우 높아서 주위에 있는 생체분자인 세포막을 이루는 지질이나 단백질 등에 반응함으로써 이들 생체분자를 공격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차단하게 된다[1]. 결국 활성산소종은 산화스트레스를 일으키고 이에 따라 DNA 손상, 암, 파킨슨병,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및 염증반응 등 여러 질병과 노화를 일으키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uoma, O. I., Kaur, H. and Halliwell, B.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human diseases. J. R. Soc. Health 111, 172-177. 

  2. Anwar, F., Shaheen, N., Shabir, G., Ashraf, M., Alkharfy, K. M. and Gilani, A. H. 2013.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e flowers and leaves of Ghaneri (Lantana camara L.) as affected by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Int. J. Pharmacol. 9, 442-453. 

  3. Kim, E. J., Choi, J. Y., Yu, M. R., Kim, M. Y., Lee, S. H.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4. Hyun, M. R., Lee, Y. S. and Park, Y. H.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of Chrysanthemum zawadskii flowers. Kor. J. Hort. Sci. Technol. 29, 68-73. 

  5. Chang, Y. S., Choi, U., Shin, D. H. and Shin, J. I. 1992. Synergistic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thanol extract containing several synergist. Kor. J. Food Sci. Thechnol. 24, 149-153. 

  6. Suh, J. H., Paek, O. J., Kang, Y. W., Ahn, J. E., Yun, J. S., Oh, K. S., An, Y. S., Park, S. H. and Lee, S. J. 2013.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e various vegetables. J. Fd. Hyg. Safety 28, 337-341. 

  7. Suh, S. S. and Shin, J. S. 1969. Studies on phytosterols. Yakhakhoe Chi 13, 144-146. 

  8. Wallace, J. W. 1975. Biosynthetic studies on flavones and C-glycosylflavones:B-ring oxidation patterns. Phytochemistry 14, 1765-1768. 

  9. Harborne, J. B. 1986. The natural distribution in angiosperms of anthocyanins acylated with aliphatic dicarboxylic acids. Phytochemistry 25, 1887-1894. 

  10. Ahn, Y. S., Seong, N. S., Ham, I. H. and Choi, H. Y. 2004. Study on the effect of medicinal herbs used as Bu-pyung (S. polyrhiza and L. paucicostata) on immune and anti-cancer. Kor. J. Herbology 19, 117-127. 

  11. Yoo, D. H., Joo, D. H., Lee, S. Y. and Lee, J. Y. 2015. Antioxidant effect of Nelumbo nucifera G. leaf extract and inhibit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expression in a B16F10 melanoma cell line. J. Life. Sci. 25, 1115-1123. 

  12. Zhu, M. Z., Wu, W., Jiao, L. L., Yang, P. F. and Guo, M. Q. 2015. Analysis of flavonoids in Lotus (Nelumbo nucifera)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using macroporous resi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LC-MS/MS and antioxidant biochemical assays. Molecules 20, 10553-10565 

  13. Nam, J. J., Lee, K. E., Park, J. E., Moon, S. J. and Youm, J. K. 2014. Inhibitory effect of fractionated Trapa Japonica extracts on UVB-induced skin photoaging. J. Soc. Cosmet. Sci. Korea 40, 321-330. 

  14. F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 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 J. Biol. Chem. 12, 239-243. 

  15. Moreno, M. I., Isla, M. I.,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ogy 71, 109-114. 

  16.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Mutr. 44, 307-315. 

  19. Koshihara, Y., Neichi, T., Murota, S., Lao, A., Fujimoto, Y. and Tatsuno, T. 1984. Caffeic acid is a selsctive inhibitor for leukotriene biosynthesis, Biochim. Biophys. Acta. 792, 92-97. 

  20. Sreel, R. G. D. and Torrie, J. H. 199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ow Hill, New York, NY, USA. 

  21. Kim, I. W., Shin, D. H. and Choi, U.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31, 855-863. 

  22. Lee, S. O., Lee, H. J., Yu, M. H., Im, H. G. and Lee, I. 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3. Song, W. Y., Byeon, S. J. and Choi, J. H. 2015.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asa borealis extract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9, 145-154. 

  24. Lee, K. S., Oh, C. S. and Lee, K. Y. 2006.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 Soc. Food Sci. Nut. 35, 219-223. 

  25. Heo, B. G., Park, Y. S., Hou, W. N., Im, M. H., Park, Y. J., Kim, H. J., Sin, J. S. and Cho, J. Y. 2008. In vitro assay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lower and leaf extracts of red lotus. Kor. J. Sci. Technol. 26, 331-337. 

  26. Kwon, S. H., Na H. R, Jung, J. D., Baek, N. I., Park, S. K. and Choi, H. K. 2012. A comparison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ano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aquatic vascular plants. Kor. J. Limnol. 45, 11-20. 

  27. Park, S. J. and Lee, H. Y. 2015.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asabi japonica Matsum leaves. Kor. J. Med. Crop. Sci. 23, 207-213. 

  28. Miller, N. J., Rice-Evans, C., Davies, M. J. and Gopinathan, V. 1993. A novel method for measuring antioxidant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to monitoring the antioxidant status in premature neonates. Clin. Sci. 84, 407. 

  29. Park, G., Sim, Y., Lee, W., Sung, S. H. and Oh, M. S.2016. Protection on skin aging mediated by antiapoptosis effects of the water lily (Nymphaea Tetragona Georgi) via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in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Pharmacology 97, 282-293. 

  30. Sa, Y. J., Kim, J. S., Kim, M. O., Jeong, H. J., Yu, C. Y., Park, D. S. and Kim, M. J. 2010.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educing power, antimicrobial activity and inhibition of ${\alpha}$ -glucosidase by Sorghum bicolor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2, 598-604. 

  31. Jeong, C. H., Son, K. B., Kim, J. H., Kang, S. K., Park, E. Y., Seo, K. I. and Shim, K. H.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2010. Kor. J. Food Preserv. 17, 131-138. 

  32. Jeong, K. S. 2012.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umex crispus and metal adsorptivity of it's roo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934-940. 

  33. Jeong, J. M. 2008.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7, 1109. 

  34. Jang, M. J., Rhee, S. J., Cho, S. H., Woo, M. H. and Choi, J. H. 2006.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thrombogenic effects of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35, 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