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 97명의 변증유형별 특성
Pattern Identification of 97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Type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2 no.2, 2011년, pp.42 - 62  

한가진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3내과) ,  김진성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3내과) ,  박재우 (강동경희대학교 한방병원 내과) ,  류봉하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3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explore the pathological patterns of functional dyspepsia (FD) patients. We also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by comparing it with other assessment tools for FD. Methods: We recruited 97 FD patients based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기능성 소화불량에 대한 한의학적 변증유형 개발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또한 변증설문을 적용시켜 소화불량 환자군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며, 더 나아가 각 유형별 소화불량정도, 우울정도, 삶의 질, 설태에 관한 지표를 비교하고, 변증설문과 타 진단 설문과의 비교를 통해 변증유형설문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부 위장관 증상의 전 세계 성인 유병률은 몇%인가? 상부 위장관 증상은 전 세계 성인 유병률이 10-40%가 될 정도로 빈도가 높은 질환이며1,2), 이 중에서도 기능성 소화불량은 국내 1차 의료기관에서 3차 기관으로 의뢰된 소화불량 환자가운데 70-92%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3). 또한 국내에서 한국판 단축형 36항목 건강 설문지(Short Form 36-Korean version)를 이용하여 조사한 소화불량 환자의 삶의질을 보면, 지역 사회 주민 및 소화성 궤양 환자와비교했을 때 모두 삶의 질 점수가 낮다는 연구가 있다4).
디지털 설진기는 무엇인가? 디지털 설진기(Digital Tongue Diagnosis System; DTDS)는 본래 한의학 고유의 舌診을 목적으로 표준화된 영상을 얻기 위하여 경희대학교 동서의료공학과 한의지식공학연구실에서 개발된 장치이다. 디지털 설진기는 크게 외관부, 조명부, 영상획득부, 위치제어부 및 소프트웨어로 나눌 수 있다.
소화불량 변증유형별 환자 중 脾虛痰濕型 다음으로 빈도가 많은 것은 무엇인가? 변증유형별 환자 빈도는 脾虛痰濕型이 가장 많았는데, 脾虛痰濕型은 脾虛하므로 運化기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불필요한 濕痰이 발생되어 ‘윗배가 더부룩하다’, ‘혀의 설태가 하얗고 두텁다’, ‘밥을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다’, ‘식사 후 배가 팽팽해진다’, ‘딸꾹질이나 트림이 잦다’, ‘대변이 묽고 끈적하다’, ‘쉽게 피곤해지고 기력이 없다’, ‘가래침의 분비량이 많다’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18) 이는 소화기의 무력감과 관계 된다17). 그 다음으로는 肝鬱脾虛型과 肝鬱氣滯型이 많았으며, 오히려 飮食積滯型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비율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본연구에 등록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들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게 되므로 食積과 같은 實證보다는 오히려 虛證의 경향성을 나타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 내원 시 적절히 虛實감별을 한 후 치료에 접근해야함을 시사해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ang SY, Lee OY, Bak YT, Jun DW, Lee SP, Lee SH et al. Prevalenc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s and uninvestigated dyspepsia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Dig Dis Sci. 2008;53(1):188-93. 

  2. Talley NJ, Lam SK, Goh KL, Fock KM. Management guidelines for uninvestigated and functional dyspepsia in the Asia-Pacific region: First Asian Pacific Working Party on Functional Dyspepsia. J Gastroenterol Hepatol. 1998;13(4): 335-53. 

  3. Kim JS, Lee KJ, Kim JH, Hahm KB, Cho SW.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Referred to Specialist Gastroenterologists in a Tertiary Hospital.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2):111-7. 

  4. 최명규. 기능성 위장질환에서 삶의 질. 대한소화기학회지. 2002;suppl:55-65. 

  5. Tack J, Talley NJ, Camilleri M, Holtmann G, Hu P, Malagelada JR et al.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130(5):1466-79. 

  6. 류기원, 장인규, 박동원, 류봉하, 윤상협. 탄산? 조잡에 응용되는 단삼보혈탕의 임상적 고찰. 경희의학. 1986;2(4):89-95. 

  7. 정승철, 김용진. 이진탕에 대한 문헌적인 고찰 (上).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2;11 (1):29-41. 

  8.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脾系內科學. 서울:군자출판사. 2009:77-86, 348-9. 

  9. Yoon SH, Ryu BH, Ryu KW, Kim JS. Evaluation for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Banwhasashimtang in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3;24(2):329-36. 

  10. Oh JH, Kim BS, Lim HY, Kim DW, Choi BH, Hur JI et al. Three Cases Report of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Who were Administered by LJTG(Lijintang-Gamibang). Korean J Orient Int Med. 2005;26(3):641-51. 

  11. Oh SD, Koog YH, Min JY, Lim SM, Paik ET, Ra SY. The Clinical Studies on Dyspepsia by Using Rotatory Manipulation. J Oriental Chr Dis. 2000;6(1):223-31. 

  12. Park YC, Jo JH, Son CG, Hong KE, Jeong IC, Kang WC et al.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7;24(1):1-12. 

  13. Jeon WH, Park JW, Kim JS, Hong JH, Hong SS. Park SK et al. Oriental Medical Treatment Can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1;22(3):361-6. 

  14. Kim HK, Yoon SH, Ryu JM, Jang SY, Lee JS, Eom GH et al. Association of Skin Sympathetic Tone or Cardiovascular Reactivity on the Fatigue Index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5;26(2):390-7. 

  15. Ryu JM, Yoon SH, Jang SY, Kim HK, Lee JS, Eom GH et al.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5;26(2):360-8. 

  16. Han SY, Lim JH, Ryu JM, Jang SY, Kim HK, Lee JS et al. Analysis of symptom pattern through comprehensive diagnosis of Qui Xui Shui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4;15(1):224-37. 

  17. Park YC, Cho JH, Choi SM, Son CG. Analytic Study of 68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c cording to Syndrome Differentia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8;29(3):574-81. 

  18. ??生, 汪?兵, 李乾?. 功能性消化不良中?? ??范(草案). 中?中西??合消化?志. 2002;4:2. 

  19. Madisch A, Holtmann G, Mayr G, Vinson B, Hotz J.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with a Herbal Preparation: A Double-Blin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Trial. Digestion. 2004;69(1):45-52. 

  20. Holtmann G, Gschossmann J, Mayr P, Talley NJ.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simethicone and cisaprid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liment Pharmacol Ther. 2002;16(9):1641-8. 

  21. Holtmann G, Gschossmann J, Karaus M, Fischer T, Becker B, Mayr P et al. Randomised doubleblind comparison of simethicone and cisapride in functional dyspepsia.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11):1459-65. 

  22.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 561-71. 

  23. Fauci, Braunwald, Kasper, Hauser, Longo, Jameson et al. Harrison's 내과학 Vol 2. 17th ed. 서울:도서출판 MIP. 2010:3262. 

  24. Lee EH, Hahm KB, Lee JH, Park JJ, Lee DH, Kim SK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FD-QOL) scale in South Korea. J Gastroenterol Hepatol. 2006;21(1 pt 2):268-74. 

  25. Lim JS, Park YB, Park YJ, Lee SC, Oh HS.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yungweesan Patternization Questionnaire by the Pathogenesis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7;11(2):59-67. 

  26. Lim JS, Park YB, Lee SC, Oh HS. Developing Questionnaire for Pathogenesis Analysis of Pyungweesan Symptom.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7;11(1):72-81. 

  27. 김구영. 병인론. 서울:선. 2001:11-23. 

  28. 허준. 동의보감. 서울:남산당. 2001:149-50, 433-5. 

  29. 장개빈. 경악전서. 서울:정담. 1999:326-7, 352-3, 391, 397, 400-6, 411-4, 430-6, 454-8, 491-9, 1167. 

  30. 박찬국. 병인병기학. 서울:전통의학연구소. 1992: 164-9. 

  31. Kim YK, Ryu BH, Park DW, Ryu KW. A Study on the Effects of Pyungwee-san in the Movement of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s, Antlcatharsis, and Central Nervous System. Journal of Kyung Hee Oriental Medical College. 1999;22(1):185-202. 

  32. Park SH, Kim JS, Ryu BH, Park DW, Ryu KW. A Study on the Effects of Pyungwee-san and Compounding of Medicine in Pyungwee-san on the Movement of Gastrointestinal Smooth Muscles, Anticatharsis and Central Nervous System. J Oriental Chr Dis. 2000;6(1):197-207. 

  33. Eo YH, Kim JG, Yoo HS, Kim JY, Park KM. Quantitative Study on Tongue Images according to Exterior, Interior, Cold and Heat Patterns. J Korean Oriental Med. 2006;27(2):134-44. 

  34. Jung YJ, Kim JS, Oh SH, Han GJ, Kim YS, Hong IA et al. Evaluation of Tongue Coating by Digital Tongue Diagnosis System between Halitosis and Non-Halitosis Patients. J Korean Oriental Med. 2010;31(1):23-9. 

  35. Winkel EG, Roldan S, Van Winkelhoff AJ, Herrera D, Sanz M. Clinical effects of a new mouthrinse containing chlorhexidine, cetylpyridunium chloride and zinc-lactate on oral halitosis. A dual-center,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Clin Periodontol. 2003;30(4): 300-6. 

  36. Kim HK, Yoon SH, Lee JS, Eom GH, Lee SY, Kim SY et al. Correlation Study between Fatigue Degree and Comprehensive Diagnosis of Qui Xui Shui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2):510-20. 

  37. 許國楨. 御藥院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2: 34. 

  38. Wilhelmsen I. Somatization, sensitization, and functional dyspepsia. Scand J Psychol. 2002; 43(2):177-80. 

  39. Shin YJ, Kim YB, Nam HJ, Kim KS, Cha JH. A Literature Review on Diagnostic Importance of Tongue Diagnos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3):118-26. 

  40. O'Brien KA, Abbas E, Zhang J, Guo ZX, Luo R, Bensoussan A et al. Understanding the reliability of diagnostic variables in a Chinese Medicine examination. J Altern Complement Med. 2009;15(7):727-34. 

  41. Kim JS, Jung YJ, Park KM, Park JW. A digital tongue imaging system for tongue coating evaluation in patients with oral malodour. Oral Dis. 2009;15(8):56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