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Functional Dyspepsia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4 no.1, 2016년, pp.3 - 8  

송경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7.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이런 증상들이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인 문제 없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대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위식도역류질환, 과민성 장증후군, 변비)과 공존할 때 더욱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과의 공존을 '중복 증후군'으로 칭한다. 중복 증후군 환자에서 불안, 신체화장애, 불면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가 보다 흔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진료의는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기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약효과는 40% 안팎으로 매우 큰 편이며, 위약대비 효과가 증명된 위장관 운동촉진제는 네 가지이다. 간혹 이러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의 장기간 투약은 비가역적이거나 치명적인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처방의사는 위장관 운동촉진제의 가능한 부작용과 연관된 위험인자를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병적 위산역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드물지 않으며, 위산분비억제제는 많은 부분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위장관 운동촉진제 만큼 효과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 dyspepsia is one of the most common bowel disorders as prevalent of 7.7% Korean population. The cardinal manifestations include bothersome postprandial fullness, early satiation, epigastric burning or pain. These features are chronic and should be presented recurrently with no other 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본 고에서는 Rome III 진단 기준과 기능성 소화불량증에서 흔히 사용되는 약물을 리뷰하였다. 또한 정신건강의 문제를 동반할 가능성이 더욱 높은 기능성 위장관질환의 중복증후군을 살펴보았다.
  • 소화기 기능성질환에 관한 모범처방은 없다. 본 고에서는 중복증후군 환자의 약물치료 시에 염두 해야 할 사항들을 일부 소개하고자 한다. 체중감소, 흑색변 등의 출혈 의심증세, 빈혈, 삼킴곤란 등의 경고 증상(alarm sign)을 가지는 소화불량증 환자나 헬리코박터 제균 여부와 관련된 문제는 내과 전문의에게 협진할 사항이다.

가설 설정

  • 1) 질환들이 우연히 중복된 것인가?

  • 2) 아형 분류는 치료방침 설정에 유용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주요 증상은? 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이런 증상들이 증상을 설명할 만한 기질적인 문제 없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몇 프로가 이환되어 있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우리나라 성인인구의 7.7%가 이환되어 있는 흔한 소화기 기능성질환이다. 주요 증상은 불편한 식후 충만감,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상복부 쓰림이다.
중복 증후군 환자와 흔히 연관되어 있는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는 무엇인가? 이러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과의 공존을 '중복 증후군'으로 칭한다. 중복 증후군 환자에서 불안, 신체화장애, 불면 등의 정신건강의학적인 문제가 보다 흔히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진료의는 소화불량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다른 소화기 기능성질환이 공존하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기저 정신건강의학적 문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ack J, Talley NJ. Functional dyspepsia-symptoms, definitions and validity of the Rome III criteria. J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3;10:134-141. 

  2. Min BH, Huh KC, Jung HK, Yoon YH, Choi KD, Song KH, Kim JW. Prevalence of Uninvestigated Dyspepsi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tudy Using the Rome III Criteria. Dig Dis Sci 2014;59:2721-2729. 

  3. Tack J, Talley NJ, Camilleri M, Holtmann G, Hu P, Malagelada JR, Stanghellini V.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06;130:1466-1479. 

  4. Aro P, Talley NJ, Ronkainen J, Storskrubb T, Vieth M, Johansson SE, Bolling-Sternevald E, Agreus L. Anxiety is associated with uninvestigated and functional dyspepsia (ROME III criteria) in a Swedish population based study. Gastroenterology 2009;137:94-100. 

  5. Santonicola A, Siniscalchi M, Capone P, Gallotta S, Ciacci C, Iovino P. Prevalence of functional dyspepsia and its subgroups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World J. Gastroenterol 2012;18:4379-4385. 

  6. Park JM, Choi MG, Cho YK, Lee IS, Kim JI, Kim SW, Chung IS.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agnosed by Rome III Questionnaire in Korea.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1;17:279-286. 

  7. Song KH, Jung HK, Min BH, Youn YH, Choi KD, Keum BR, Huh KC.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Rome III Questionnaire for diagnosi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3;19:509-515. 

  8. Hsu YC, Liou JM, Yang TH, Hsu WL, Lin HJ, Wu HT, Lin JT, Wang HP, Wu MS. Proton pump inhibitor versus prokinetic therap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is therapeutic response predicted by Rome III subgroups? J. Gastroenterol 2011;46:183-190. 

  9. Xiao YL, Peng S, Tao J, Wang AJ, Lin JK, Hu PJ, Chen MH. Prevalence and symptom pattern of pathologic esophageal acid reflux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based on the Rome III criteria. Am J Gastroenterol 2010;105:2626-2631. 

  10. Tack J, Masclee A, Heading R, Berstad A, Piessevaux H, Popiela T, Vandenberghe A, Kato H. A dose-ranging, placebo-controlled, pilot trial of acotiamid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Neurogastroenterol. Motil 2009;21:272-280. 

  11. Matsueda K. Therapeutic efficacy of novel agent (Z 338) in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2005;128:A467. 

  12. Matsueda K, Hongo M, Tack J, Saito Y, Kato H. A placebocontrolled trial of acotiamide for meal-related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Gut 2012;61:821-828. 

  13. Gwee KA, Chua ASB. Functional dyspeps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re they different entities and does it matter? World J Gastroenterol 2006;17:2708-2712. 

  14. Talley NJ, Zinsmeister AR, Schleck CD, Melton LJ. Dyspepsia and dyspepsia subgroups: a population-based study. Gastroenterology 1992;102:1259-1268. 

  15. Crean GP, Holden RJ, Knill-Jones RP. A database on dyspepsia. Gut 1994;35:191-202. 

  16. Agreus L, Svardsudd K, Nyren O, Tibblin 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spepsia in the general population: overlap and lack of stability over time. Gastroenterology 1995;109:671-680. 

  17. Lee SY, Lee KJ, Kim SJ, Cho SW.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Overlaps betwee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yspeps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Digestion 2009;79:196-201. 

  18. Corsetti M, Caenepeel P, Fischler B, Janssens J, Tack J. Impact of coexisting irritable bowel syndrome on symptoms and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in functional dyspepsia. Am J Gastroenterol 2004;99:1152-1159. 

  19. Nam SY, Ryu KH, Park BJ. Irritable Bowel Syndrome Is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Symptom but Not Erosive Esophagitis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3;19:521-531. 

  20. Stanghellini V, Tosetti C, Paternico A, De Giorgio R, Barbara G, Salvioli B, Corinaldesi R. Predominant symptoms identify different subgroups in functional dyspepsia. Am J Gastroenterol 1999;94:2080-2085. 

  21. Si JM, Wang LJ, Chen SJ, Sun LM, Dai N. Irritable bowel syndrome consulters in Zhejiang province: the symptoms pattern, predominant bowel habit subgroups and quality of life. World J Gastroenterol 2004;10:1059-1064. 

  22. Schmulson M, Lee OY, Chang L, Naliboff B, Mayer EA. Symptom differences in moderate to severe IBS patients based on predominant bowel habit. Am J Gastroenterol 1999;94:2929-2935. 

  23. Kaji M, Fujiwara Y, Shiba M, Kohata Y, Yamagami H, Tanigawa T, Watanabe K, Watanabe T, Tominaga K, Arakawa T. Prevalence of overlaps between GERD, FD and IBS and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 Gastroenterol Hepatol 2010;25:1151-1156. 

  24. Lee HJ, Lee SY, Kim JH, Sung IK, Park HS, Jin CJ, Kang SG, Yoon H, Chun HJ. Depressive mood an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fferences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overlap syndrome. Gen Hosp Psychiatry 2010;32:499-502. 

  25. van Bommel MJ, Numans ME, de Wit NJ, Stalman WA. Consultations and referrals for dyspepsia in general practice-a one year database survey. Postgrad Med J 2001;77:514-518. 

  26. Enck P, Horing B, Weimer K, Klosterhalfen S. Placebo responses and placebo effects in functional bowel disorders.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12;24:1-8. 

  27. Shin HW, Kim MJ, Kim JS, Lee MC, Chung SJ. Levosulpiride-induced movement disorders. Mov Disord 2009;24:2249-2253. 

  28. Kessing BF, Smout AJ, Bennink RJ, Kraaijpoel N, Oors JM, Bredenoord AJ. Prucalopride decreases esophageal acid exposure and accelerates gastric emptying in healthy subjects. Neurogastroenterol Motil 2014;26:1079-1086. 

  29. Jackson JL, Malley P, Tomkins G, Balden E, Santoro J, Kurt Kroenke K.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with Antidepressant Medications: A Meta-Analysis Am J Med 2000;108:65-72. 

  30. Tack J, Janssen P, Masaoka T, Farre R, Van Oudenhove L. Efficacy of buspirone, a fundus-relaxing dru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2;10: 1239-1245. 

  31. Fass R, Fullerton S, Tung S, Mayer EA. Sleep disturbances in clinic patients with functional bowe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00;95:1195-20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