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한약복합제의 치료 효과: 무작위배정 표준치료제 위약 대조군 연구
Effect of Herb Medicine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and Compared Standard Treatment Trial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會誌 =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31 no.1, 2010년, pp.1 - 13  

김연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박양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조정효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강위창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응용통계학) ,  손미원 (동아제약) ,  홍권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Functional dyspepsia is a prevalent disease. It impedes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quivalent effect of herb medicine treatment (DA-9701) for functional dyspepsia. Methods: In this randomized, single-blinded, placebo-controlled study, we 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녀비, 평균연령, 키, 몸무게 등의 인구학적 요소들에서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치료 전 증상의 정도 역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따라서 본 연구는 비교성과 객관성의 확보에서 적절하였다고 생각된다. 단, 남녀비가 각각 5:9, 1:13, 3:11로 전반적으로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국내의 다른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로5,13) 여성호르몬이 위장관 운동을 억제시키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31,32).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증형 임상시험을 위한 예비 연구(pilot study)로써,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42명을 배정 후, 대상으로 한약 복합제(DA-9701)와 표준 치료제(mosapride) 및 위약(placebo)을 투여한 후 기능성 소화불량증 특이적 삶의 질 평가도구인 Nepean Dyspepsia Index(이하 NDI)와 Functional Dyspepsia Quality of Life(이하 FD-QOL)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한약 복합제(DA-9701)와 표준 치료제(mosapride) 및 위약(placebo)을 투여한 후 NDI와 FD-QOL을 이용하여 투여 전후의 증상과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한약 복합제(DA-9701)와 표준 치료제(mosapride) 및 위약(placebo)을 투여한 후 NDI와 FD-QOL을 이용하여 투여 전후의 증상과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A-9701군에서 NDI의 소화불량 관련 주요 증상이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고 mosapride군, placebo군에 비하여 호전율이 높았으나 군 간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2. DA-9701군과 mosapride군에서 오심과 숨쉬기 힘듬이 placebo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 DA-9701군에서 NDI 삶의 질이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으나 군 간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4. DA-9701군과 mosapride군에서 FD-QOL 점수가 placebo군에 비하여 개선되었으나 군 간 차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양상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2), 그 양상이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3).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란 무엇인가?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l dyspepsia)은 기질적인 원인 없이 지속적이거나 반복되는 상복부의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임상증후군으로1,2), 그 양상이 복통이나 복부 불쾌감, 식후 포만감, 조기 만복감, 복부 팽만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트림, 쓰림, 역류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박영태.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진단적 접근: 대한소화관운동학회. 기능성 소화불량증. 서울: 진기획. 2006:13-29. 

  2. Talley NJ, Stanghellini V, Heading RC, KochKL, Malagelada JR, Tytgat GN.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ut. 1999;45(Suppl II):37-42. 

  3. Huh C, Yang CH, Jang JG, Lee DH, Lee KL, Seol SY, et al. Functional Dyspepsia and Subgroups in Korea and Short Term Outcome of Therapeutic Trial of Cisapride ; Multicenter Study.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1998; 4(1):1-12. 

  4. 최명규.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역학. 대한 소화관운동학회 학술집담회. 2000;6:235-40. 

  5. Rhie SY, Choi CH, Lee HW, Do MY, Lee SH, Han SP, et al. The Frequency of Functional Dyspepsia Subtypes and its Related Factors for Health Check up Subjects.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1-7. 

  6. Jeon WH, Park JW, Kim JS, Hong JH, Hong SS, Park SK, et al. Oriental Medical Treatment Can Impro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1;22(3):361-6. 

  7. Lee KJ.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3;9:85-91. 

  8.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비계내과학. 서울: 도서출판동우. 2000:51-62, 65-74, 83-8,154-9. 

  9. Paakkari I. Cardiotoxicity of new antihistamines and cisapride. Toxicol Lett. 2002;127:279-84. 

  10. Ji SW, Park HJ, Lee PR, Lee OY, Kim DK. Effects of Mosapride on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1):27-34. 

  11. Han YS, Chang YW, Chang R. A Randomized Study to Compare Domperidone Maleate with Itopride Hydrochloride in Dysmotility-type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Gastroenterol. 2003;41:284-9. 

  12. Kim JY, Lee JY, Yoon SH. Effect of Naesowhajung- tang on Electrogastrography in children with functional dyspepsia. J Korean Orient Pediatrics. 2002;16(2):199-213. 

  13. Yoon SH, Ryu BH, Ryu KW, Kim JS. Evaluation for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Banwhasashimtang in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3;24(2):329-36. 

  14. Oh JH, Kim BS, Lim HY, Kim DW, Choi BH, Hur JI, et al. Three Cases Report of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Who were Administered by LJTG(Ljintang-Gamibang). Korean J Orient Int Med. 2005;26(3):641-51. 

  15. Won JM, Yoon SH, Kim JS, Ryu BH. Effect of Yukgunjatang Granule on Gastric Emptying in Ra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7;28(2):242-9. 

  16. Kim JS, Yoon SH. Effect of Naeso-san on Gastric Motility between Normal Intact and Antral Dilatated Ra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8; 29(1):117-29. 

  17. Nam HI, Kim HY, Son HS, Lim SW. Effect of Jungjungamiyjintang(JGT) on Gastric Emptying of Spregue-Dawley rat. Korean J Orient Int Med. 2007;28(2):209-16. 

  18. Cho YK, Choi MG, Kim SH, Lee IS, Kim SW, Chung IS, et al. The Effect of Mosapride on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Gastroenterol. 2004;43(3):160-7. 

  19. Lee JH, Kim HY, Rho SH, Yoon DH, Kim KH, Choi JH, et al. Dyspepsia in Korean Population Who Needs Endoscopy?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1;22(1):1-7. 

  20. Kim JS, Lee KJ, Kim JH, Hahm KB, Cho SW.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Patients Referred to Specialist Gastroenterologists in a Tertiary Hospital.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0(2):111-7. 

  21. Jones RH, Lydeard SE, Hobbs FD. Dyspepsia in England and Scotland. Gut. 1990;31:401-5. 

  22. Agreus L, Svardsudd K, Nyren O, Tibblin 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dyspepsia in the general population: overlap and lack of stability over time. Gastroenterology. 1995;109:671-80. 

  23. Kim DJ. Irregular, quick meal is associated with non-ulcer dyspepsia. J Korean Acad Fam Med. 1999;20(2):176-85. 

  24. 이광재.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5;11(3):25-9. 

  25. 고경봉.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정신사회학적 측면.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0;6(2):258-66. 

  26.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본초학. 서울: 영림사. 2000:252-4, 413-4, 453-4. 

  27. 식품의약품안전청편집부. 대한약전 제8개정 의약품각조 제2부. 서울: 식품의약품안전청. 2002:1230-1, 1239, 1565. 

  28. 지형준, 이상인. 대한약전 및 대한약전 외 한약규격 주해. 서울: 한국메디칼인덱스사. 1988:79-80, 664-5. 

  29. Ruth M, Hamelin B, Rohss K, Lundell L. The effect of mosapride, a novel prokinetic, on acid reflux variables in patients with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liment Pharmacol Ther. 1998; 12:35-40. 

  30. Taniyama K, Makimoto N, Furuichi A, Sakurai- Yamashita Y, Nagase Y, Kaibara M, et al. Functions of peripheral 5-hydroxytryptamine receptors, especially 5-hydroxytryptamine4 receptor, in gastrointestinal motility. J Gastroenterol. 2000; 35(8):575-82. 

  31. Bond EF, Heitkemper MM, Bailey SL. Estrogen suppresses gastric motility response to thyrotropinreleasing to hormone and stress in awake rats. Res Nurs Health. 1998;21(3):221-8. 

  32. Heitkemper MM, Bond EF. Gastric motility in rats with varying ovarian hormone status. Res Nurs Health. 1995;17(1):9-19. 

  33. 신현규. 한약제제등의 임상시험가이드라인 제정 연구(II). 서울: 식품의약품안정청연구결과보고서. 2005:135-44. 

  34. Park YC, Jo JH, Son CG, Hong KE, Jeong IC, Kang WC, et al.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for Functional Dyspeps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2007;24(1):1-12. 

  35. Talley NJ, Haque M, Wyeth JW, Stace NH, Tytgat GN, Stanghellini V,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25-35. 

  36.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m J Gastroenterol. 1999;94(9):2390-7. 

  37.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responsiveness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nd development of a new 10-item short form. Aliment Pharmacol Ther. 2001;15(2):207-16. 

  38. Katz S. The science of quality of life. J Chronic Dis. 1987;40:459-63. 

  39. 최명규. 기능성 위장질환에서 삶의 질.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2002;spr:55-65. 

  40. Lee EH, Hahm KB, Lee JH, Park JJ, Lee DH, Kim SK,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unctional dyspepsia-related quality of life (FD-QOL) scale in South Korea. J Gastroenterol Hepatol. 2006;21(1 Pt 2):268-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