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지천식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청상보하탕(淸上補下湯)의 임상적 관찰
A Clinical Observation of Chungsangboha-tang's Effects on Asthmat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2 no.1, 2011년, pp.10 - 25  

방지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  정희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  정승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sthma is considered an inflammation disease characterized by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pulmonary eosinophilia. Chungsang boha-tang is a herbal medication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We aimed to observe the clinical effects of Chung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치료 효과 판정을 살피는 지표로 폐기능 검사와 혈청 내 eosinophil count 및 IgE 수치 변화를 관찰하였다. 폐기능의 변화 분석은 2007년의 NAEPP guideline에서 폐기능이 천식의 진단에 사용 되며, 치료의 목표도 폐기능의 최적화임을 밝힌 것에 근거가 있다5.
  • 본 연구의 목적은 증상 호전 뿐 아니라 폐기능의 호전과 혈청학적으로 IgE, eosinophil count의 저하에도 효과적인지, 투여 후 어느 시기에 효과가 나타나는지, 또한 장기간의 투여가 환자에게 부작용은 없는 지 살펴보기 위함이었다. 연구의 의의는 첫째, 기존의 많은 연구가, 계획하에 환자를 모집하여 실시한 임상 연구임에 반해 이 연구는 외래 내원한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실제적인 임상 치료의 효과를 보여준 결과물이라는 점이다.
  • 마지막으로 淸上補下湯 단독 투여로도 폐기능 향상 및 IgE, eosinophil count의 저하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관찰은 淸上補下湯의 투여가 스테로이드 절약 효과가 있음을 밝힌 황25, 정14 등의 연구에 착안하여 실제 임상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투여했을 때에도 같은 결과나 나오는 지 살펴보았다. 스테로이드 병용 투여군의 환자수가 16명으로 충분하지 않고 두 군간의 치료 전 검사결과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淸上補下湯과 스테로이드의 효능 비교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된다.
  • 그러나 淸上補下湯의 치료로 혈청학적 지표상에도 유의하게 호전되는 효과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또한 임상 연구가 최대 8주 이내의 치료를 받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함으로서 그 이상의 장기적 투여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 5내과(알레르기 호흡기내과)에 내원한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淸上補下湯의 치료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8주 이상 장기간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폐기능 검사와 혈청학적 검사 소견을 분석하고, 투여기간별 치료 효능을 분석하였으며, 남녀간 치료 효능 및 스테로이드 병용 투여군과 한약 단독 투여군의 치료 효능을 비교 분석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또한 임상 연구 기간이 최대 8주 이내의 투여 환자군을 대상으로 함으로서 그 이상의 장기 투여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에 내원한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淸上補下湯의 치료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폐기능 검사와 혈청학적 검사 소견을 8주 이상 장기간 치료를 받은 환자를 포함하여 분석하고, 투여기간별 치료 효능을 분석하였으며, 남녀간 치료 효능 및 스테로이드 병용 투여군과 한약 단독 투여군의 치료 효능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지천식이란 무엇인가? 기관지천식(이하 천식)은 병리적으로 많은 세포와 세포성 요소들이 역할을 하는 만성 염증성 기도질환이다. 만성 염증은 기도의 과민성을 야기하며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천명, 호흡곤란, 가슴 조임, 기침 등의 증상을 일어나게 한다1.
淸上補下湯의 처방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淸上補下湯은 1615년에 저술된 龔廷賢의 壽世寶 元34에 최초로 수록되어있는 淸上補下丸의 용량을 조절한 처방으로35 上氣, 喘息, 咳嗽, 痰涎上壅 등에 사용 가능하다. 淸上補下湯의 처방 구성은 補肺脾腎하는 熟地黃, 山藥, 牧丹皮, 澤瀉, 山茱萸, 白茯과 瀉肺熱하는 黃芩, 黃蓮, 燥濕祛痰의 半夏, 斂肺시키는 五味子, 潤肺시키는 麥門冬, 天門冬, 祛痰鎭咳하는 貝母, 桔梗, 枳實, 杏仁 瓜蔞仁으로 이루어져 있어36 능히 補陰 潤肺化痰 淸熱行氣의 효능으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5내과(알레르기 호흡기내과)에서 천식 등 만성 호흡기 질환에 빈용하는 처방이다. 
기관지 천식에서 기도의 저항이 증가되는 기전은 무엇인가?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 기도 폐쇄, 기도 염증 반응 및 과민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각종 기도 자극성 화학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발병되는 가장 대표적인 호흡기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는 여러 요인에 의하여 기관지 평활근의 비후와 기관지 점막과 점막하의 부종이 유발되어 기도가 광범위하게 수축되어 좁아지고 이에 따라 기도의 저항이 증가되는 가역적인 기관지의 과민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ateman ED, Hurd SS, Barnes PJ, Bousquet J, Drazen JM, et al.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GINA executive summary. Eur Respir J. 2008 Jan;31(1):143-78. 

  2. Division of Chronic Disease Surveillanc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07 :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1st year Seoul: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p. 71. 

  3. 양동규, 김영삼, 안철민, 고원기, 장준, 김성규. 천식 환자에서 Fluticasone propionate와 Beclomethasone dipropionate의 치료 효과 비교. 결핵 및 호흡기질환. 1999;47(5):629-41. 

  4. 김상훈, 고형기, 강윤정, 성윤업, 박인원, 최병휘.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Disodium Cromoglycate 흡입 치료 후의 말초 혈액 호산구 수와 IgE치의 변화. 알레르기. 1995;15(2):230-4. 

  5.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III: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7 July:1-440. 

  6. Moorman JE, Rudd RA, Johnson CA, King M, Minor P, Bailey C, et al. National surveillance for asthma-United States, 1980-2004. MMWR Surveill Summ. 2007 Oct 19;56(8):1-54. 

  7. 최인선. 조절된 만성천식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흡입제 중단에 의한 실험적 천식 악화. 천식 및 알레르기. 2001;21(1):80-9. 

  8. 라제현, 심봉암, 정승기, 김진주. Ovalbumin으로 유도된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백련초의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4):788-98. 

  9. 염종훈, 이형구, 정승기, 정희재. 香附子가 천식 관련 Th1/Th2 세포 관련 cytokine 분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3):451-64. 

  10. 정승연, 김진주, 정희재, 정승기. Splenocyte, BMMC, eosinophil을 통해 본 丹蔘이 천식 관련 염증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1):9-23. 

  11. 주창엽,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杏仁이 천식관련 chemokine 분비와 호산구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1):208-20. 

  12. 황우석, 정승연, 김진주, 정희재, 정승기. 한국인 천식환자의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MCP-1)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1):32-41. 

  13. 이건영, 정승연, 최준용, 이재성, 정희재, 이형구. 가미청상보하탕 엑기스제 치료 중단 후 천식 환자의 임상 증상 변화 관찰.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04;56-64. 

  14. 정세연, 김창현, 민인규, 황재웅, 최창민, 홍진우, 등. 천식 환자에 대한 柴朴湯의 증상 개선 및 스테로이드 부작용 감소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06:1-7. 

  15. 정승기, 정희재, 이재성, 이건영, 정승연, 이형구. 加味淸上補下湯엑기스제의 기관지천식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110-8. 

  16. 정승기, 황우석, 주창엽, 이재성, 조일현, 정희재. 淸上補下湯의 기관지 천식 환자에 대한 임상적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2;23(4):151-60. 

  17. 정승연, 이재성, 최준용, 이건영, 정희재, 이형구. 천식 완해기 유지치료로서 AF-365의 임상적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1):1-11. 

  18. 최준용, 정희재, 이재성, 조일현, 이건영, 정승연, 등. 가미청상보하탕과 Th2 가설-미완의 천식이론. 대한한방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지. 2004:28-40. 

  19. 최준용, 황우석, 이재성,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기관지 천식환자의 허실변증에 따른 청상보하탕의 임상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지. 2003:1-9. 

  20. 최준용, 황우석, 이재성,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加味貝母湯의 기관지 천식환자에 대한 객담배출 용이도에 따른 임상적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3):588-96. 

  21. 허태석, 황우석, 주창엽,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小靑龍湯이 기관지천식 환자의 폐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1;22(4):131-41. 

  22. 황우석, 이재성, 주창엽,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기관지 천식 환자의 변증유형에 따른 청상보하탕의 임상효과.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2002; 8(1):53-63. 

  23. 황우석, 정희재, 주창엽, 이재성, 이경기, 이형구, 등. 소청룡탕치료 기관지 천식 환자의 혈액내 호산구수와 혈청 IgE 및 T림프구 아형의 변화.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2;23(1):83-90. 

  24. 황우석, 최준용, 이재성, 정희재, 이형구, 정승기. 淸上補下湯치료중단이 기관지 천식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3;24(3):184-91. 

  25. 황우석, 최준용, 이재성, 주창엽, 정희재, 이형구, . 청상보하탕의 기관지 천식환자에 대한 스테로이드 절약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1):1-10. 

  26. Bousquet J, Jeffery PK, Busse WW, Johnson M, Vignola AM. Asthma. From bronchoconstriction to airways inflammation and remodeling.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 May;161(5) :1720-45. 

  27. Park CS, Kang HY, Kwon I, Kang DR, Jung HY. Cost-of-illness Study of Asthma in Korea: Estimat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39(5):397-403. 

  28. Aaron S, Vandemheen K, Boulet L, McIvor R, Fitzgerald J, Hernandez P, et al. Overdiagnosis of asthma in obese and nonobese adults. CMAJ. 2008;179(11) :1121-31. 

  29.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II: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1997 July:1-146. 

  30.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Update on selected topics 2002.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002 July:1-129. 

  31. 대한천식및알레르기학회. 천식과 알레르기 질환. 서울: 군자출판사; 2002, p. 279-80, 447-73. 

  32. 편복양. 기관지 천식에서 흡입 스테로이드 사용의 효과 및 부작용. 알레르기. 1994;14(2):183-7. 

  33. 전국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 교실 편저, 東醫肺 系內科學. 서울: 도서출판 국진기획; 2007, p. 192. 

  34. ?廷賢. 壽世寶元.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4, p. 169-70. 

  35. 정승기, 이형구. 청상보하환이 O3 및 CCl4 인한 백서 폐손상에 미치는 영향 경희의학. 1986;2(1):119-27. 

  36.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본초학. 서울: 영림사; 1991, p. 121-5, 35-6, 334-5, 448-9, 540-1, 81-2, 622-3. 

  37. Baldini M, Lohman IC, Halonen M, Erickson RP, Holt PG, Martinez FD. A Polymorphism* in the 5' flanking region of the CD14 gene is associated with circulating soluble CD14 levels and with total serum immunoglobulin E.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9 May;20(5):976-83. 

  38. Allen M, Heinzmann A, Noguchi E, Abecasis G, Broxholme J, Ponting CP, et al. Positional cloning of a novel gene influencing asthma from chromosome 2q14. Nat Genet. 2003 Nov;35(3) :258-63. 

  39. Shaaban R, Zureik M, Soussan D, Neukirch C, Heinrich J, Sunyer J, et al, Rhinitis and onset of asthma: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Lancet. 2008 Sep 20;372(9643):1049-57. 

  40. Weinmayr G, Weiland SK, Bjorksten B, Brunekreef B, Buchele G, Cookson WO, et al, Atopic sensitization and the international variation of asthma symptom prevalence in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 Sep 15;176(6):565-74. 

  41. Arbes SJ, Jr., Gergen PJ, Vaughn B, Zeldin DC. Asthma cases attributable to atopy: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Allergy Clin Immunol. 2007 Nov;120(5):1139-45. 

  42. Johnston SL, Pattemore PK, Sanderson G, Smith S, Lampe F, Josephs L, et al. Community study of role of viral infections in exacerbations of asthma in 9-11 year old children. BMJ. 1995 May 13;310(6989):1225-9. 

  43. Papadopoulos NG, Psarras S, Manoussakis E, Saxoni-Papageorgiou P. The role of respiratory viruses in the origin and exacerbations of asthma.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3 Feb;3(1):39-44. 

  44. Gilliland FD, Islam T, Berhane K, Gauderman WJ, McConnell R, Avol E, et al. Regular smoking and asthma incidence in adolescen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6 Nov 15;174(10):1094-100. 

  45. Jaakkola JJ, Gissler M. Maternal smoking in pregnancy, fetal development, and childhood asthma. Am J Public Health. 2004 Jan;94(1):136-40. 

  46. Hanrahan JP, Tager IB, Segal MR, Tosteson TD, Castile RG, Van Vunakis H, et al. The effect of maternal smoking during pregnancy on early infant lung function. Am Rev Respir Dis. 1992 May;145(5):1129-35. 

  47. Jang A, Park J, Lee J, Park S, Kim D, Uh S, et al. The Impact of Smoking on Clinical and Therapeutic Effects in Asthmatics. J Korean Med Sci. 2009;24(2):209-14. 

  48. Thomson NC, Spears M. The influence of smoking on the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asthma.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5 Feb;5(1):57-63. 

  49. Chalmers GW, Macleod KJ, Little SA, Thomson LJ, McSharry CP, Thomson NC. Influence of cigarette smoking on inhaled corticosteroid treatment in mild asthma. Thorax. 2002 Mar;57(3):226-30. 

  50. Althuis MD, Sexton M, Prybylski D. Cigarette smoking and asthma symptom severity among adult asthmatics. J Asthma. 1999 May;36(3):257-64. 

  51. Chaudhuri R, Livingston E, McMahon AD, Thomson L, Borland W, Thomson NC. Cigarette smoking impairs the therapeutic response to oral corticosteroids in chronic asthm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 Dec 1;168(11):1308-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