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학하, 아산 음봉, 화성 소근산 그리고 공주 행정중심복합도시 출토 토기와 토양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토기의 탈염을 통해 용출되는 이온의 화학종과 용출속도를 조사한 결과, 토기의 기공크기와 흡수율에 따라 토기 내 이온유입이 달라졌다. 즉 $1,000^{\circ}C$ 이상의 고온 소성된 토기는 기공이 작고 흡수율이 낮아 매장환경의 염 유입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800^{\circ}C$ 이하의 저온 소성된 토기는 기공이 크고 흡수율이 높아 다량의 염이 유입되어 증류수 탈염을 통해 염을 제거하였다. 탈염 2일 만에 40~60%의 염이 제거되었고 탈염 1주일 만에 60~80%의 염이 제거되었다. 또한 토양에 포화되어 있는 이온은 대부분 토기에도 동일한 비율로 존재하고 $K_2SO_4$와 같이 토양에 잔존하는 비료의 성분도 검출되었다. 그러나 모래 함량이 상당히 높은 사질 토양시료에서는 함유 이온량이 적어 토기에 유입되는 이온의 영향이 비교적 적었고 미사 및 점토 함량이 높은 토양에 매장되었던 토기는 유입되는 이온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저온소성된 토기에서는 다량 유입된 염에 의한 손상이 우려되므로 세척 이외의 탈염을 통한 염 제거가 필요하며 그 기간은 토기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potential damages and conservation methods for the ceramics (without glaze) by examin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effects from the burial environments. For this study, pottery samples excavated from Daejeon Hakha, Asan Eumbong, Hwasung Sogeunsan and Kongju Haengbokdosi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학하, 아산 음봉, 화성 소근산 그리고 공주 행복도시 출토 토기와 토양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토기탈염을 통해 용출되는 이온의 화학종과 용출량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매장환경이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에서 유입되는 염의 차이와 토기 내 염 제거를 위한 보존처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매장환경이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에서 유입되는 염의 차이와 토기 내 염 제거를 위한 보존처리의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출토 토기의 손상은 크게 어떻게 나누어 지는가? 출토 토기의 손상은 크게 물리적, 화학적 원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1,2. 물리적 손상원인으로는 먼저 토기 제작상의 결함과 토압․식물뿌리 등에 의한 손상이 있다.
물리적으로 손상된 토기는 일반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보존처리 되는가? 물리적으로 손상된 토기는 일반적으로 세척, 건조, 강화 처리 등의 과정을 거쳐 보존처리 된다3,4. 그러나 화학적으로 손상된 토기는 손상상태와 원인에 따라 보존처리의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어디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는가? 이 연구는 토기 재질과 토양 특성에 따라 매장환경이 출토 토기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 학하, 아산 음봉, 화성 소근산 그리고 공주 행복도시 출토 토기와 토양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토기탈염을 통해 용출되는 이온의 화학종과 용출량을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토기에서는 4주 동안 50~160 S/㎝의 이온이 용출되었는데 경질토기와 도자기에서는 1~2 S/㎝의 용출량을 보여 토양 내 이온 유입이 매우 미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위광철, "출토 토기유물의 현장 수습방법에 관한 연구". 문화사학, 27, p1115-1127, (2007). 

  2. 위광철, "출토 연질토기의 손상원인 및 강화처리에 관한 연구". 문화사학, 31, p25-37, (2009). 

  3. 양필승, "토기 보존처리-연질토기를 중심으로-".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5, p53-62, (2000). 

  4. 양필승, "도.토기의 보존처리". 보존과학기초연수교육 교재, p123-129, (2005). 

  5. 장성윤, 남병직, 박대우, 강현미, 정용화, "태안 마도 출토 도자기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보존과학연구, 30, p190-202, (2009). 

  6. Jackson, M., "Soil Chemical Analysis - Advanced course". Department of Soils, University of Wisconsin, (1969). 

  7. White, G., Dixon, J., "Soil Mineralogy Laboratory Manual". 9th Ed., Department of Crop and Soil Sciences, Texas A&M University, (2003). 

  8. 신재순, 김원호, 이승헌, 김종근, 윤세형, 임영철, 임근발, "간척지 수수 수단그라스에 대한 유안 및 황산칼리비료 시용효과". 한국초지학회 학술발표회 심포지엄, p148-149, (2005). 

  9. 이창호, 임수길, "논 토양에 삼요소비료 시용시 이들 비료성분의 토양 내 잔존 형태와 용탈에 의한 수질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 p279-285, (1995). 

  10. Brady, C., Weil, R.,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12th Ed., Prentice Hall, (1999). 

  11. 장성윤, 이기길, 문희수, 이찬희, "영광 군동?마전 원삼국시대 토기와 가마의 제작특성 및 태토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101-114, (2009). 

  12. 김지영, 이찬희, 조선영, 김란희, 이호형, "아산 탕정지구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299-316, (2009). 

  13.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기흥 농서리유적 출토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255-271, (2009). 

  14. 김란희, 정해선, 정상훈, 이찬희, "대전 원신흥동 유적 츨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7, p163-179, (2011). 

  15.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16. Freestone, I.C., Meeks, N.D. and Middleton, A.P., "Retention of phosphate in buried ceramics: An electron microbeam approach". Archaeometry, 27, p161-177, (1985). 

  17. Johnson, J.S., "Soluble salts and deterioration of archaeological materials". Conserve O Gram number 6/5, National Park Service, p1-4, (1998). 

  18. Rijniers, L.A., "Salt crystallization in porous materials: and NMR study". Ph.D. research at Eindheven University of Technology, p1-5, (2004). 

  19. Ernesto, B., "ARC Laboratory Handbook- Salts,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Historic Structures and Materials". ICCROM?UNESCO?WHC, p3-5,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