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 치평동 유적 출토 철기시대 토기의 제작특성과 매장환경 연구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Post-depositional Influence of Iron Age Pottery from Chipyeongdong Site in Gwangju,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no.2, 2012년, pp.157 - 167  

장성윤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문은정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기길 (조선대학교 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광주 치평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태토산지와 소성온도를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방법으로 해석하고 매장환경 하에서 토기의 변질을 조사하였다. 토기와 토양시료는 유사한 광물조성과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을 갖는 것으로 보아 재료로서의 유사성이 인정되며 토기는 유적의 인근 지역 토양을 이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해석된다. 광물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토기는 크게 $1,000{\sim}1,100^{\circ}C$에서 고온 소성된 그룹과 $700{\sim}1,000^{\circ}C$에서 저온 소성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고온 소성된 시료에서는 거정질 입자를 제거하는 수비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보이는데 저온 소성된 시료들과는 다른 시기 또는 용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저온 소성된 토기에서 매장환경 동안 P이 토기 내 Al, Fe 등과 반응하여 비결정질의 침전물을 형성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환경에 의한 토기의 변질 현상으로 해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provenance and firing temperature of pottery from Chipyeongdong site in Gwangju, Korea though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methods and also investigated the post-depositional alteration of pottery in burial environments. It is also presumed that they were made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구화학적 연구방법과 함께 광물학적 및 암석학적 연구방법을 정리하여 광주 치평동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태토산지를 추정하고 소성온도 등의 제작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유적이 파괴된 후 재퇴적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매장환경에 의한 토기의 변질과 풍화양상을 검토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광주 치평동에서 출토된 토기의 태토 산지와 소성온도를 포함하는 제작기법을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방법으로 탐색하고 매장환경에서 토기에 영향을 미치는 P의 부화현상과 존재형태를 검토하였다. 토기시료들은 대부분 기원전 1세기 전후의 철기시대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유적이 파괴된 후 재퇴적된 층에서 발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기의 연구방법 중, 주성분 분석과 판별분석이 폭넓게 활용된 까닭은 무엇인가? , 1994). 이 방법은 많은 시료를 효율적으로 통계처리하여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폭넓게 활용되었다.
토기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토기의 연구는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형식학적 연구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자연과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토기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은 주로 토기 재료의 선택, 지역적 차이, 소성온도, 토기의 이동을 통한 사회적 교류, 제작 연대 등이며 역사적 기록이 상대적으로 적은 고려시대 이전의 토기가 주요 대상이 되어 왔다.
토기가 중요한 자료로 취급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토기는 토양을 주 재료로 하는 문화재로서 발굴을 통해 가장 많이 출토되고 있으며 고고학적 시대 구분 및 사회시스템의 변천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Choi and Shin, 1998). 토기의 연구는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 형식학적 연구 위주로 진행되어 왔으며 1970년대 후반부터 자연과학적 기법을 도입하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ndy, N.C. and Weil, R.R. (1999)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Prentice Hall Inc., p.555-565. 

  2. Choi. M.L., Kang, H.T. and Shin, S.J. (1994) Scientific analysis on the pottery unearthed at Misa-ri(II). Journal of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tudies, vol.8, The museum if Dong-A University. 

  3. Choi, M.L. and Shin, S.J. (1998) Pottery analysis, In Choi.(ed.) Archaeological method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4. Freestone, I.C., Meeks, N.D. and Middleton, A.P. (1985) Retention of phosphate in buried ceramics: An electron microbeam approach. Archaeometry, v.27, p.161-177 

  5. Hong, S.H. and Yoon, W. (1986) Geologic report of Songjeong,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4-8. 

  6. Jackson, M. (1969) Soil chemical analysis -advanced course. Department of Soils, University of Wisconsin. 

  7. Jang, S., Lee, G., Moon, H. and Lee, C.H. (2009) Interpretation of material provenance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pottery and kilns from Gundong and Majeon sites in the 3rd Century at Yeonggwang,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1, p.101-114. 

  8. Kang, H.T. (1990) Classification of archaeological samples by pattern recognition methods.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v.3. 

  9. Kim, G.B., Lee, B.J. and Hwang, S.G. (1990) Geologic report of Gwangju,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p.8-15. 

  10. Kim, R.H., Cho, M.S., Yeon, W., Seo, J.S. and Lee, C.H. (2010) Interpretation of material homogenity and making techniques of the jar coffins from the Oryangdong kiln site and the Ungokdong tomb site in Na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6(3), p.229-245. 

  11. Kim, Y.O. (1976) A study of iron age pottery in Korea. Baeksan Hakbo, v.20. 

  12. Lee, G.G. and Lee, M.W. (1990) Provenance study of pottery of neolithic and bronze age.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v.25, p.23-46. 

  13. Lee, S., Kim Y. and Moon, H. (1998) An investigation of the transformation sequence from kaolinite to mullite. J. Miner. Soc. Korea, v.11, p.32-44. 

  14. Maggetti, M. (1982) Phase analysis and its significance for technology and origin. In Archaeological ceramics. Edited by Olin, J. S. and Franklin, J. D., Smithonian Institution Press, p.121-133. 

  15. Maritan, L., Angelini, I. and Artioli, G. (2009) Secondary phosphates in the ceramic materials from Frattesina.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v.10, p.144-151. 

  16. Maritan L. and Mazzoli, C. (2004) Phosphate in archaeological finds;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urial. Archaeometry, v.46, p.673-683. 

  17. Maritan, L., Mazzoli, C., Nodari, L. and Russo, U. (2005) Second iron age grey pottery from Este (northeastern Italy): study of provenance and technology. Applied Clay Science, v.29, p.31-44. 

  18. Maritan L., Nodari, L., Mazzoli, C., Milano, A. and Russo, U. (2006) Influence of firing conditions on ceramic products: Experimental study on clay rich in organic matter. Applied Clay Science, v.31, p.1-15. 

  19. Masucci, M. and Macfarlane, A. (1997) An application of geological survey and ceramic petrology to provenance studies of Guangala phase ceramics of ancient Ecuador. Geoarchaeology, v.12, p.765-793. 

  20. Mommsen, H. (2001) Provenance determination of pottery by trace element analysis; problems, solutions and applications.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v.247, p.657-662. 

  21. Moon, H. (1995) Clay mineralogy. Minumsa. 

  22. Moon, H. and Lee, G. (1996) Analysis of raw materials and firing temperature of roof tiles, bricks and pottery from Joseon Dynasty Era. Journal of the Korean Archaeological Society, v.34, p.161-194. 

  23. Moon, H., Lee, D. and Lee, G. (1999) Analysis of raw materials and firing temperature from Ttukme site,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v.30, p.7-26. 

  24. Nockolds, S.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v.65, p.1007-1032. 

  25. Park, Y., Noh, Y. and Lee, C. (1995) Rb-Sr Isotopic study of granitoid rocks in the Gwangju-Naju area,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16-3, p.247-261. 

  26. Rice, P. M. (1987) Pottery analy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80-109. 

  27. Secco, M., Maritan, L., Mazzoli, C., Lampronti, G., Zorzi, F., Nodari, L., Russo, U. and Mattioli (2011) Alteration process of pottery in lagoon-like environments. Archaeometry, v.53-4, p.809-829. 

  28. White, G. and Dixon, J. (2003) Soil mineralogy laboratory manual. 9th Ed., Department of Crop and Soil Sciences, Texas A&M University. 

  29. Wakita, R., Rey, P. and Schmitt, R.A. (1971) Abundances of the 14 rare-earth elements and 12 other trace elements in Apollo 12 samples. Proc. 2nd Lunar Sci. Conf. Pergamon Press, Oxford, p.1319-1329. 

  30. Yim, Y.J. and Seo, H.J. (1997) Chipyeong site, Gwangju. The Museum of Jeonnam University.Gwangju Metropolitan cit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