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햇순나물비빔밥 개발 및 영양성 평가
Development of Haetsun Bibimbab and Its Nutritional Estim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2, 2011년, pp.191 - 198  

김민하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혜림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남조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세영 ((주)KMF) ,  정용진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윤경영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두릅, 엄나무순, 오가피순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지역향토 음식, 햇순나물비빔밥을 개발하고 영양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햇순나물 이외 비빔밥의 부재료를 선정하기 위하여 503명을 대상으로 비빔밥 재료에 대해 기호도를 조사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해 선정된 재료와 햇순나물의 비율, 그리고 햇순나물간의 비율을 결정하였다. 기호도 조사결과, 표고버섯, 콩나물, 애호박, 당근을 부재료로 선정하였으며, 햇순나물과 부재료의 비율은 1:1. 햇순나물간의 비율은 오가피순:두릅:엄나무순의 비율을 1:1:1로 결정하였다. 햇순나물비빔밥의 영양성을 평가한 결과, 총 중량은 404 g이며, 열량 463.7 kcal, 단백질 16.48 g, 지방 13.99 g, 탄수화물 75.93 g으로 나타났다. 조섬유와 무기질의 함량을 살펴보면, 조섬유 3.1 g, 칼슘 97.11 mg, 인 133.81 mg, 철 2.66 mg, 나트륨 1314.65 mg, 칼륨 444.79 mg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ment of Haetsun Bibimbam as local food and estimated nutritional value of Haetsun Bibimbam. Preference on Bibimbab materials of 503 subjects was surveyed to select ingredients of Haetsun Bibimbab except for Haetsun vegetables. As results of survey, soybean spr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햇순나물을 활용한 향토음식 개발 및 식소재의 상품화를 위한 일환으로 우수한 생리활성을 지닌 두릅, 엄나무순, 오가피순과 같은 친환경 농산물을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의 지역향토 음식, 햇순나물비빔밥을 개발하고 영양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Data with the different letter in the column are significand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Park SH, Seo YS (2010) Identifying the determinations of food tourism behavior: A focus impact of the placeness and involvement. J Tourism Sci, 34, 149-169 

  2. Ko BS, Kim HK, Par SM (2002) Insulin sensitizing and insulin-lik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NAKAI in 3T3-L1 adipocyte. J Korean Soc Agr Chem Biotechnol, 45, 42-46 

  3. Chung HS, Youn KS (2005)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 204-208 

  4. Shin KH, Cho SY, Lee MK, Lee JS, Kim MJ (2004) Effects of Aralia elata, Acanthopanacis cortex and Ulmus davidiana water extracts on plasma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57-1462 

  5. Shin KH (2006) Effects of Araliaceae water extracts on blood glucose leve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diabetic rats. Korean J Nutr, 39, 721-727 

  6. Jhee OH, Choi Y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oncentration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Seemann var. Goma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01-607 

  7. Kang YS, Cho TO, Hong J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Sulgidduk containing added Aralia elat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93-599 

  8. Souri E, Amin G, Farsam H, Andaji S (2004)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commonly used vegetables in Iranian diet. Fitoterapia, 75, 585-588 

  9. Lee YJ (2006) Impact of the 'Korean wave'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to Korean traditional food -Among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J East Asian Dietary Life, 16, 497-505. 

  10. Park ML, Kim YA, Yoon KS, Liu F, Byun GI (2009) A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 in Shenyang region of China -Focuced on Bibimbap. Korean J Curinary Res, 15., 169-180 

  11. Kim US, Yoon HK, Koo SJ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Korean J Soci Food Cookery Sci, 20, 677-683. 

  12. Han KS, Pyo SH, Lee EJ, Lee HA (2008)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Korean cooked rice varietyes-Bibimbab, Bean Sprout Bab, and Fried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80-592 

  13. Kye SH, Moon HK, Yum CA, Song TH, Lee SH (1995)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ation methods of Korean Foods (III) -For the focus on Bibimbab (Mixed Rece). Korean J Soc Food Sci, 11, 557-564 

  14.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69-74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식품성분표, 7th Revision 

  1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11) KFDA Food Nara. Available from: http://foodnara.go.kr. Accessed Jan 20 

  17. Han JS, Kim JS, Kim MS, Choi YH, Minamide T, Huh SM (1999) Changes on meneral contents of vegetable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5, 382-387 

  18. Cha M, Oh MS (1996) Changes in mineral content in several leaf vegetables by various cooking methods. Korean J Soc Food Sci, 12, 34-39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M, Lee YK (2010)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prequency questionaire (DFQ 55). Korean J Nutr, 43, 79-8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