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평가를 활용한 복합비료 생산 시스템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f Complex Fertilizers Production System by Using Life Cycle Assessmen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2, 2011년, pp.256 - 262  

정순철 (에코네트워크(주)) ,  박정아 (에코네트워크(주)) ,  허진호 (에코네트워크(주)) ,  소규호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까지 농작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주 투입 물질인 비료의 국내 LCI DB가 없어 외국 LCI DB를 사용하였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농작물의 생장을 위해 필수 요소로 투입되는 복합비료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함으로써 농작물의 탄소성적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농산물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과의 비교를 통해 복합비료가 차지하는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복합비료 사용량 감축 정책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복합비료 1 kg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21-17-17, 17-21-17, 15-15-15, 기타 각각 2.42E + 00, 2.10E + 00, 2.23E + 00, $3.56E+00kg\;CO_2\;eq.\;kg^{-1}$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작물에 투입되는 복합비료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온실가스는 쌀, 겉보리, 쌀보리, 노지고추, 양파 작물 대비 각각 48.3%, 47.6%, 40.4%, 32.3%, 29.0%로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맞춤형 비료 정책, 효율적인 시비 등의 노력을 기울여 복합비료 사용량을 감소시킨다면 농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또한 저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among the several methods to estimate an environmental impact of products, Life Cycle Assessment (LCA) technique is mostly use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been performed the carbon footprint labelling to give the carbon record of product by using this method. But the calculation of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는 농산물 생장에 있어 주요 물질로 투입되는 복합비료의 온실가스 기여도를 규명하여 복합비료의 감축 목표 설정 등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국내 농작물 5개 (쌀, 겉보리, 쌀보리, 노지고추, 양파)의 2007년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과, 이들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투입된 복합비료로 인한 온실가스 발생량을 Table 9와 같이 분석하였다.
  • LCI DB를 구축하여 생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농산물 생산에 있어 주요 물질로 투입되는 복합비료의 온실가스 배출량 기여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산정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 기법을 활용하여 복합비료 4종 (21-17-17 1 kg, 17-21-17 1 kg, 15-15-15 1 kg, 기타 1 kg)1) LCI DB를 구축하여 생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또한 농산물 생산에 있어 주요 물질로 투입되는 복합비료의 온실가스 배출량 기여도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산정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들의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 시행하려는 것은? 지난 100년 사이 지구의 평균온도가 약 2℃ 가량 높아지는 등 기후변화로 인해 세계 각지에서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협약 체결, 교토의정서 채택 등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적정 감축행동 (NAMA, Nationally Appropriate Mitigation Action) 목표를 설정하고 시행하려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저감 의무 부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증감 추세를 보아 큰 의무부담이 예상되지는 않으나 장기적인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농림수산식품부에서 계획하고 있는 것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여러 가지 시도 중 제품 환경성 평가를 통한 자발적 탄소저감 방법이 가장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농림수산식품부 또한 농산물 생산에 있어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량화 (kg CO2 eq. kg-1)하여 나타내는 탄소라벨링을 계획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2010). 이미 환경부에서는 탄소성적표지제도를 통해 전과정 (Life Cycle)을 고려하여 제품 기준 당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2010년 12월 현재 130개의 식품류에 인증을 부여해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환경부, 2010).
국내 국가 적정 감축행동을 위해 농업분야에 필요한 것은? 이에 전 세계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협약 체결, 교토의정서 채택 등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적정 감축행동 (NAMA, Nationally Appropriate Mitigation Action) 목표를 설정하고 시행하려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별 온실가스 배출저감 의무 부담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농업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증감 추세를 보아 큰 의무부담이 예상되지는 않으나 장기적인 농업분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농림수산식품부. 2010. 농림수산식품분야 탄소표시제 및 탄소포인트제 도입방안. 

  2. 환경부. 2010. 탄소성적표지 인증제품 현황. 

  3.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6. The Revised 1996 IPCC Guideline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Geneva. Switzerland. 

  4.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6. ISO 14040:2006(E) Environmental management - Life cycle assessment - Principles and Framework. 

  5. KFIA (Korea Fertilizer Industry Association). 2007. fertilizer production data. Korea Fertilizer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www.fert-kfia.or.kr. accessed on August 2010. 

  6. KAB (korea Accreditation Board). 1998. Theory and Guidelines of Life Cycle Assessment. Seoul, korea. 

  7.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9a.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griculture based on Inter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oul, Korea. 

  8.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9b. The World Agriculture Statistics (Major Agriculture Statistics in OECD countries).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