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벚나무 수피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tii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2 = no.165, 2011년, pp.155 - 160  

이경인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양선아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표병식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김선민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on antioxidative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s of acn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75% EtOH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bark of Prunus sargen tii.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content of the EtOAc fraction were found to be 378.0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산벚나무 수피의 추출물 및 용매분획별 시료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 등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 측정 결과, 75% EtOH 추출물 중 polyphenol 함량이 215.
  • 본 연구에서는 화피의 75% 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별 항산화활성과 피부질환 중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피부 미백관련 활성으로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생약재를 활용한 피부 관련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벚나무 수피의 주요성분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효능으로는 청열(靑熱), 해독(解毒), 거담(去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효능을 바탕으로 염증성 질환이나 피부관련 질환에 빈번히 이용되어왔다.1-3) 지금까지 밝혀진 주요성분으로는 sakuranin을 포함 하여 taxifolin, naringenin, pinostobin 등이 있으며, 관련된 활성으로 항산화 활성과 면역억제 활성, 아토피성 염증 억제, tyrosinase 저해 활성 등이 연구되어 왔다.4-9,26) 그러나 연구의 수준이 추출물을 단계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고 동명의 생약재인 자작나무 유래의 화피에 대해서만 용매분획에 따른 항체생산능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벚나무 유래의 화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드름의 원인인 세균 감염을 개선하기 위해 항생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어떤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가? acnes 뿐만이 아니라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등과 같은 피부 상재균들이 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3,14)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세균 감염에는 tetracycline, clindamycin 등과 같은 항생제의 사용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 시의 부작용이나 내성의 발현 등의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15)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할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여드름의 발생원인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들어서 피부 분야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특정 연령층이나 성별에 따라 현저한 관심도의 차이가 있었던 과거와 달리 건강한 피부를 추구하는 경향에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피부 질환 중 대표적인 여드름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피지생산의 증가, Propionibacterium acnes의 모낭 증식 및 유전적 소질 등의 주요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물론 미생물학적인 원인균도 단순히 P. acnes 뿐만이 아니라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등과 같은 피부 상재균들이 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3,14)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세균 감염에는 tetracycline, clindamycin 등과 같은 항생제의 사용으로 개선시킬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 시의 부작용이나 내성의 발현 등의 문제점을 가져 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신민교 (2006) 臨床本草學, 399-400, 도서출판 영림사, 서울. 

  2. Kam, W. S. (1981) Pharmaceutical botany. 305-306, National Chinese Medicine Institute. 

  3. Park, E. S., Shin, M. K. and Song, H. J. (1998) A study on the antiallergic effect of Cortex Betula Platyphyllae or Cortex Pruni Serrulatae extract. Kor. J. Herbology 13: 57-68. 

  4. Lee, H. J., Lee, S. S., Choi, D. H. and Atsushi, K. (2001)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Flavonoids in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Mokchae Konghak 29: 133-139. 

  5. An, B. J., Cho, Y. J., Son, J. H., Park, J. M., Lee, J. Y. and Park, T. S. (2006)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extract of Prunus sargentii Rehde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45-148. 

  6. Lee. H. J., Lee, S. S. and Choi, D. H. (2003)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I)-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Mokchae Konghak 31: 16-23. 

  7. Han, B. H. and Han, Y. N. (1978) Immunosuppressant activity of cherry bark extract. Kor. J. Pharmacogn. 9: 173-175. 

  8. Park, J. M., Lee, J. Y., Park, T. S., Park, G. H., Park, K. S., Kim, T. H., Cho, Y. J., Kwon, O. J., Choi, K. I. and An, B. J. (2008) Biological activity investigation, and phenol compounds isolation from barks of Prunus sargentii 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173-182. 

  9. Kang, G. J. (2007)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extracts from Prunus yedoensis Matsum barks on the atopic dermatitis-like inflammation. Master's Thesis in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Cheju National University, 56-60. 

  10. Lim, B. O., Park, D. K., Shin, H. M. and Kim, S. H. (2000) Effects of BuOH fractions isolate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Euginia aromaticz, Sorbus commixta, Betula mandshrica on antibody productivity, metabolism of unsaturated fatty acid and lipid hydroperoxides. Korean J. Oriental Medical Pathology 14: 171-182. 

  11. Burton, J, L, and Shuster, S. (1971)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vulgaris. Br. J. Dermatol. 84: 600-604. 

  12. Cunliffe, W. J., Holland, D. B. and Jeremy, A. (2004) Come-done formation: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Clin. Dermatol. 22: 367-374. 

  13. Ahn, Y. G., Kim, S. K., Shin, C. S. and Min, J. H. (2002) Inhibitory effects of wax gourd extract on melanin formation and acne-forming bacterial growth. Kor. J. Food Nutr. 15: 137-143. 

  14. Ki, H. G., Yun, S. J., Lee, J. B., Kim, S. J., Lee, S. C. and Won, Y. H. (2005) Microorganism isolated from acne and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Kor. J. Dermatol. 43: 871-875. 

  15. Lim, Y. S., Myung, K. B., Chung, N. E. and Chung, W. S. (1995) A study on the MIC of antibiotics for Propionibacterium acnes in patients with acne. Kor. J. Dermatol. 33: 437- 444. 

  16. Sohn, H. Y., Kim, Y. S., Kum, E. J., Kwon, Y. S. and Son, K. H. (2006) Screening of anti-acne activity of natural product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65-272. 

  17. Kim, N. R., Lim, Y. H., Park, S. W. and Nam, E. S. (200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anti-acne compounds from natural source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80-84. 

  18. Yang, H. J., Kim, E. H., Kang, S. T. and Park, S. N. (2009) Antibacterial activity of Platycarya strobilacea extract and stability of the extract-containing crea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7: 170-175. 

  19. Jung, S. W., Lee, N. K., Kim, S. J. and Han, D. 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2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Otto, F.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ogical Chemistry 12: 239-243. 

  22. Moreno, M. I. N, Isla, M. I. N., Sampietro, A. R. and Vattuone, M. 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 109-114. 

  23. Oh, Y. J., Seo, H. R., Choi, T. M. and Jung, D. S. (2010)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aerial parts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373-378. 

  24. Yin, Y., Heo, S. I., Jung, M. J. and Wang, M. 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Pharmacogn. 40: 1-5. 

  25. Eom, H. J., Kim, S. M., Pyo, B. S. and Lee, K. I. (2009) Changes of physiological activity by drying temperature in leaf of Eriobotrya japonica. Kor. J. Pharmacogn. 40: 178- 183. 

  26. Park, J. M., Lee, J. Y., Park, T. S., Hyun, S. J., Kim, H. H., Cho, Y. J., Kwon, O. J., Son, A. R., Kim, D. S. and An, B. J. (2008)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70-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